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몽골의 유라시아 정복과 문화

몽골의 유라시아 정복과 문화

토머스 올슨 (지은이), 조원 (옮긴이)
길(도서출판)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몽골의 유라시아 정복과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몽골의 유라시아 정복과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중앙아시아사
· ISBN : 978896445297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5-06-09

책 소개

몽골의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지난 30여 년 사이에 많이 변화했다. 저자 토마스 올슨의 이 책은 몽골제국사 연구에서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저작 가운데 하나이다.
몽골사를 세계사적 시각으로 볼 것을 제시하다
특히 이 책은 몽골제국사 연구의 ‘문화적 전환’을 가져온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몽골제국 시기 유라시아의 동방 중국과 서방 이란의 몽골 정권 사이에 이루어졌던 상품, 기술, 지식의 교류를 면밀히 분석해 독자들을 몽골제국 시기의 문화 교류 공간으로 이끌고 있다. 저자는 한문, 페르시아어, 아랍어, 러시아어 등의 다양한 사료를 활용해 유라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전개된 문화적 교류의 실상을 촘촘한 서술을 통해 사실적으로 드러냈다. 그런데 이 책은 단순히 인적 이동과 상품 이동을 중심으로 한 교류의 양상을 보여 주는 데 그치지 않고, 교류가 전개된 각 지역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비롯해 교류의 주체와 문화 상품의 선택 과정에서 몽골인들의 주체적 역할을 함께 드러냄으로써 교류사의 총체적 연구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역동적인‘교류의 시대’이자‘교환의 시대’
제1부에서 저자는 몽골제국 시기 유라시아의 다양한 정치체 가운데에서도 중국과 이란의 두 몽골 정권의 관계를 중심으로 천문학과 농업 등과 같은 특정한 문화 상품에 집중해 그 이동과 교류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교류에서 유목민들의 중심적 역할에 주목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범위한 문화 교류가 몽골의 제국 경영의 일환에서 이루어졌다고 보고 몽골의 문화적 자원 선별의 기제와 동기에 관해 이 책의 마지막에서 다룰 것임을 예고한다.
제2부에서는 몽골제국에서 문화적 교류가 전개된 배경으로서 원 제국과 일칸국 간의 정치적, 경제적 관계의 추이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즉 대칸의 조정과 일칸의 정치적 관계를 시기별로 서술하고 있는 것은 거의 한 세기 동안 지속되었던 양자 사이의 문화적 교류가 이러한 긴밀한 정치적 연대에 기반해 이루어졌음을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제3부 ‘중개자들’은 몽골제국에서 문화 교류를 수행했던 인물들을 조명하고 있다. 특히 문화 교류에서 ‘브로커’(Broker) 역할을 했던 대표적 인물은 원 제국 조정에서 활약하고 생애 후반부를 이란의 궁정에서 보낸 볼라드(Bolad, ?~1313)였다. 그는 한문 사료들에서 마르코 폴로(Marco Polo)와 혼동되어 왔던 볼라드의 실체를 둘러싼 논의들을 밝히고, 폴로와 다른 인물인 몽골인 볼라드를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대칸의 케식 출신이었던 그는 쿠빌라이의 신임을 기반으로 원나라 조정의 주요 기관 설립을 주관했으며, 시의사, 어사대, 대사농사, 비서감, 선휘사, 추밀원 등의 장관직을 두루 역임했다. 이러한 이력은 그가 이후 이란의 일칸국 조정에서 활동하는 동안 문화 교류의 매개, 주요 전달자로서 활약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했다.
제4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문화 교류’의 구체적 사례들을 모두 7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특히 제12장 ‘사서 편찬’에서는 라시드 앗딘의 『집사』(集史)에 기록되어 있는 세계사 집필을 가능케 한 정보원들을 추적해 간다. 그는 볼라드와 그와 연관된 여러 정보원을 통해 몽골과 인도를 비롯해 유라시아 동부의 방대하고도 상세한 역사가 기록될 수 있었음을 밝혔다. 아울러 제16장 ‘의학’에서는 몽골제국에서 중시되었던 정복지 의료인들과 그들을 통해 이루어진 의학 지식의 교류에 주목했다. 몽골제국 초기부터 중국 의료인들은 몽골 통치자들을 수행했고, 서아시아의 일칸 궁정에서도 중국 의학은 중시되어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역으로 원 제국에서도 네스토리우스 기독교 출신 의사들이 활약했으며, 그들을 통해 유입된 서아시아의 의학 지식이 원 제국에서 활용되었다.
제5부에서는 제4부에서 풍부하게 다루어진 ‘문화 교류’의 양상을 어떤 틀에서 이해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적 질문을 던지면서 이에 답하고 있다. 저자 올슨은 19~20세기에 걸쳐 유행했던 문화 전파론과 문화 적응론의 틀에서 몽골제국 시기의 문화 교류를 분석하는 한계점들을 지적하면서 인류학자들과 고고학자들에 의해 대두된 ‘지역 간 상호작용’의 개념을 제시한다. 문명 교류의 글로벌한 역학을 드러내는 이 개념은 이주와 사람들의 이동을 통한 문화적, 경제적 교류와 기술과 지식의 전파를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저자는 이 책이 문화 교류에 관한 앞선 이론에서부터 최신 이론을 두루 수용한 결과물임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 장이 ‘요약’ 부분에서는 이 책에서 다룬 내용들을 통해 도달한 여섯 가지 결론이 제시되고 있으며, 몽골 유목민들이 이 교류의 개시자이자 촉진자, 행위자였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몽골인, 세계사적 교류를 활성화한 장본인!
이 책은 몽골사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에 결정적 역할을 끼친 몽골사 분야의 문제작으로서, 몽골사가 ‘교류의 시대’이자 ‘교환의 시대’였음을 밝혀냈다. 무엇보다 세계사의 주변부로 인식되어 왔던 유목민, 특히 몽골인에 대해 문명의 발전을 후퇴시킨 자들이 아니라 문명과 지역을 연결하고 세계사적 교류를 활성화한 장본인으로서의 그들을 세계사의 제대로 된 주체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 9

제1부 배경
제1장 머리말 17
제2장 몽골인 출현 이전 25

제2부 정치-경제 관계
제3장 일칸의 형성, 1251~65 37
제4장 대칸과 일칸, 1265~95 47
제5장 가잔 시기의 지속과 변화, 1295~1304 58
제6장 술탄과 대칸, 1304~35 65
제7장 경제적 연대 74
제8장 중국과 이란 조정 간의 관계 개관 88

제3부 중개자들
제9장 마르코 폴로와 볼라드 99
제10장 쿠빌라이와 볼라드 아카 105

제4부 문화 교류
제12장 사서 편찬 135
제13장 지리학과 지도학 166
제14장 농업 184
제15장 요리 202
제16장 의학 224
제17장 천문학 253
제18장 인쇄술 277

제5부 분석과 결론
제19장 유형과 방법론 295
제20장 주체 301
제21장 선별 316
제22장 요약 327

약어표 331
참고문헌 335
찾아보기 369

저자소개

토머스 올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몽골 연구 분야의 탁월한 학자로, 몽골제국사에 대한 기존의 이해가 정치사 서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이를 유라시아적 규모의 사상적, 상업적, 물질적, 문화적 교류에 관한 연구로 재정립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그는 1962년 포틀랜드 주립 대학을 졸업했으며, 워싱턴 대학과 오리건 대학에서 각각 러시아학과 도서관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9년 미네소타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해에 웨스턴 켄터키 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80년 그는 트렌턴 주립 대학 사학과 교수로 부임했으며, 2002년 뉴저지 칼리지를 끝으로 교수직에서 물러났다. 1986년부터 2013년까지 학술 저널 Archivum Eurasiae Medii Aevi의 편집진으로 오랫동안 활동했으며, 이에 대한 공로로 그의 75회 생일을 맞아 2014년 제21권(2014~15)이 기념 논문집으로 그에게 헌정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 Mongol Imperialism: The Policies of the Grand Qan Mongke in China, Russia and the Islamic Lands, 1251~1259(1987), Commodity and Exchange in the Mongol Empire: A Cultural History of Islamic Textiles(1997), The Royal Hunt in Eurasian History(2006), The Steppe and the Sea: Pearls in the Mongol Empire(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조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중국 중앙민족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베이징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와 서울대 역사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부산대 사학과 교수로 있다. 주요 논문으로 「大元帝國 法制와 高麗의 수용 양상」( 『이화사학연구』 54, 2017), 「元 후기 經世大典의 편찬과 肉典體制」(『동양사학연구』 141, 2017), 「元 중후기 醫政제도의 변화와 실상: 至正條格의 관련 條文을 중심으로」(『역사와세계』 60, 2021), 「원제국 외래 香藥과 카안의 賞賜: 南海海上 생산 香藥을 중심으로」(『동양사학연구』 159, 2022)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제국과 변경』(공저, 혜안, 2017), 『유라시아로의 시간 여행』(공저, 사계절, 2018), 『몽골 평화시대 동서문명의 교류』(공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조선에서 만난 원제국 법률문서』(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1), 『관용적인 정복자 대원제국』(공저, 청아출판사, 2023), 『몽골제국 다루가치 제도 연구』(혜안, 2025)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