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학회/무크/계간지
· ISBN : 9788964471029
· 쪽수 : 319쪽
· 출판일 : 2009-12-14
책 소개
목차
특집
촛불과 광장, 정치와 종교
촛불의 정치학, 광장의 종교학 - 한국 시민사회의 종교적 기원과 위기 _정용택
조울증 ‘대한민국 팬클럽’이 불/가능해지는 지점 _황용연
이명박 정부와 기독교 모더니티의 위기 _김상근
긴급토론회
홀로코스트 종교를 넘어서 - 팔레스타인에 대한 이스라엘의 적대는 어떻게 생산되는가
‘홀로코스트 이후’의 신학은 가능한가 _ 김진호
맑스코뮤날레
세계화 시대의 이주와 사회적 고통 - 결혼 이주를 통해 보는 한국사회의 감성적 경계의 재영토화
결혼이주자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민중신학의 해석적 실천을 통한 ‘범주론’ 넘어서기 _ 유승태
포럼
아시아의 빈곤과 한국교회의 과제
A Call to Community Ministry _ Rev. D.N. Francisco
한국의 발전전략은 아시아 빈곤 현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_ 이상준
2009년 월례포럼
빈곤의 문제와 김용기 _ 김장생
최근 독일의 종교교육학 스케치 - 오늘 우리의 교회교육을 성찰하기 위하여 _ 손성현
일반논문
하토야마 시대 아시아의 협력과 시민단체 교류 _ 양미강
마태공동체 연구사 비판적 고찰과 전망 _ 김학철
今日の韓?社?とキリスト? - 民主化20年とキリスト?社?運動を中心として _ 崔亨?
Meta-reconciliation and a Reconciliation through Healing _ Chang-Nack Kim
거룩함을 지키기 위한 싸움 - 우리시대의 ‘제물’, 용산참사를 보면서 _ 김경호
생활신앙운동: 성찰, 참여, 소통 ver1.5 - 현 시기 기독학생운동론에 대한 소고 _ 김오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기독교는 아직 프리-모던과 모던이 혼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 교회가 프리-모던의 무규범성, 급작스러움, 비보편적 메시지의 공유현상을 보이고 있다면, 이 프리-모던의 한계를 먼저 깨달은 일부 대형 교회 목회자들이 모던의 산뜻함을 추구하여 이른바 “대형교회 선호도”를 강화시키고 있다. 이른바 강남 대형교회가 주는 모던한 느낌은 강력한 리더의 카리스마를 바탕으로 한 목회 조직의 안정감(전문화된 사역과 다양한 스탭/부목사), 법제화를 통한 규범성의 모범(장로, 목사의 임기제 혹은 중간평가), 그리고 논리에 기초해 있으면서도 동시에 강력한 동원력을 가진 합리적인 메시지(TV, 라디오, 인터넷을 통한 설교방송)가 결합되어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대형교회의 모더니티가 주는 매력은 대형교회의 패권주의를 경계하는 진보주의적 시각에 의해 늘 부정되거나 평가절하되어 왔다. ― 김상근의 「이명박 정부와 기독교 모더니티의 위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