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주역
· ISBN : 9788964474228
· 쪽수 : 660쪽
· 출판일 : 2025-09-1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_ 방건웅, 신재용
머리말
서장╻과학이 발견한 역경의 원리
I. 역경 연구의 필요성
II. 역경 속의 현대과학
III. 역경 창안자에 대한 의문
1장╻도(道)와 태극(太極)
I. 도(道)
II. 태극
2장╻음양(陰陽)
I. 음양의 일반적 개념
II. 음양이론의 여섯 가지 기본 원리
III. 우주의 음양
IV. 파동의 음양
V. 율려(律呂)와 황종(黃鍾)
VI. 두뇌의 음양
VII. 사람의 음양
VIII. 정치의 음양
IX. 경제의 음양
X. 음식의 음양
XI. 맛의 음양
3장╻삼위일체(우주 · 지구 · 나)
I. 역경은 2와 3의 조합
II. 삼태극
III. 우주의 3
IV. 우주의 코드 역경과 생명의 코드 유전자
V. 양자컴퓨터의 3
VI. 물질의 3
VII. 상수학(象數學)에서 3의 의미
VIII. 인체 구조와 작용의 3
IX. 심리의 3
X. 판단의 3
XI. 정치의 3
XII. 연금술의 음악과 3
XIII. 피라미드의 3
XIV. 종교와 철학에서의 3
XV. 3의 중요성
4장╻사상(四象)
I. 사상의 종류
II. 사상의 상호관계
III. 만물의 사상 분류
IV. 사상의학
5장╻오행(五行)
I. 음양 사상과 오행
II. 오행의 종류와 성질
III. 오행의 법칙
IV. 하도와 낙서
V. 색깔의 오행
VI. 소리의 오행
VII. 냄새의 오행
VIII. 맛의 오행
IX. 인체 생리의 오행
X. 병리와 치료의 오행
XI. 진단의 오행
XII. 오행에 의한 약효 추정법
6장╻팔괘(八卦)
I. 팔괘
II. 팔괘의 뜻
III. 복희 팔괘와 문왕 팔괘
IV. 사대 원소와 팔괘
V. 가족과 팔괘
VI. 직업의 팔괘
VII. 인체의 팔괘
VIII. 동물과 팔괘
IX. 자연환경의 팔괘
X. 음악의 팔괘
XI. 64괘
XII. 군주괘
7장╻천부경(天符經)과 역경
I. 천부경과 역경
II. 천부경은 부적이며 주문
III. 천부경의 핵심 숫자는 3
IV. 천부경은 중(中)의 사상
V. 천부경은 기본 수학
VI. 수와 우리 민족
VII. 천부경의 기하학
VIII. 기본수 1, 2, 3이 만들어내는 변화
IX. 수도법으로서의 천부경
8장╻삶 속의 주역
I. 주역과 피라미드
II. 주역과 가톨릭의 묵주
III. 성소와 주역
IV. 바둑과 팔괘
V. 윷놀이
VI. 도리도리 짝짜꿍
VII. 주역과 여러 문명의 태극
보태는 글
주역의 道人, 나의 스승님들
인터넷 주역 상담
책속에서
역경은 아이디어의 광산과 같은 책이다. 고민하면 고민한 만큼 아이디어를 역경에서 캘 수 있다. 서양에서는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안목을 가진 학자들이 역경을 연구하고 있다.
역경은 경(經)자를 쓴 만큼 경전으로서 권위가 있는 책이다. 역경의 가치가 다른 경전과 다른 것은 글이 아니라 부호로 쓰여 있다는 점이다. 역경은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물이나 현상의 변화 패턴만을 도시(圖示)한 책이 아니다. 우리가 육안으로 볼 수 없는 소립자의 세계나 은하계 밖의 몇 억 광년 떨어진 별에 사는 미물에게도 적용되는 공통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만물의 공통 패턴을 가리켜 ‘도(道)’라 하는데, 역경은 음양이라는 디지털 부호로 그 도를 도시한 책이다.
〈서장 _ 과학이 발견한 역경의 원리〉 중에서
최근에 역경의 핵심사상인 음양이 다시 한번 과학적으로 표현된 예가 있다. 바로 아인슈타인이 지적한 ‘먼 거리에서 일어나는 유령 같아 보이는 작용’(spooky action at a distance) 즉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서로 얽힌 두 광자는 불가분한 관계에 있어 아무리 먼 거리에 있어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서로 영향을 준다.
〈서장 _ 과학이 발견한 역경의 원리〉 중에서
태극은 통일이다. 태극은 분화의 시점이자 통일의 완성이다. 어떤 일이나 물건의 성질을 알기 위해서 세밀히 분석하다 보면 부분만을 알고 전체를 잃어버리기 쉽다. 나무를 보다 보면 숲을 보기 어렵고 숲을 보다 보면 나무를 보기 어렵다.
역경과 과학을 비교할 때 과학은 직접 걸어 다녀서 그 동네를 속속들이 아는 학문이고, 역경은 지도를 보고 그 동네를 대충 아는 학문이라 한다. 과학은 그 동네를 자세히 알 수는 있으나 발길이 닿지 않는 다른 동네는 깜깜하게 모른다. 역경은 그 동네를 자세하게는 알 수 없지만 대충 알고 다른 동네도 대충 안다.
〈1장 _ 도(道)와 태극(太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