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취하여 텅 빈 산에 누우니

취하여 텅 빈 산에 누우니

(술과 한시)

유병례, 윤현숙 (지은이)
뿌리와이파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취하여 텅 빈 산에 누우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취하여 텅 빈 산에 누우니 (술과 한시)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88964622117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4-11-25

책 소개

이백이 친구와 모여 술 마시는 정경을 읊은 시 「친구와 모여 하룻밤을 묵다友人會宿」에서 취했다. 천고의 시름을 잊고자 술을 마시는 이백과 그 친구들, 그 많은 시름 잊기 위해서는 술 백 병도 모자란다.

목차

서문

제1부 술, 사람을 만나다
제1장 나와 술의 첫 만남
제2장 술만 마시면 신선이 되는 술고래를 아시나요
제3장 술이 센 자만이 천고의 절창을 남긴다?
제4장 음주 후의 추태는 인류의 DNA?

제2부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제5장 전원생활의 외로움을 술로 달래며 세상을 비판하다
제6장 이 강물 변해서 모두 술이 된다면
제7장 영원히 취해서 깨어나지 말았으면
제8장 도처에 외상술 달아놓고 술 마신 두보
제9장 술은 사람이 만들었지만 술도 사람을 만든다
제10장 주흥이 일어날 때 포부를 말하다
제11장 금주령禁酒令 내리면 밀주 담아 마시지요

제3부 이 세상에서 가장 슬픈 술잔
제12장 사랑, 사랑, 어이하나
제13장 술, 옛사랑의 추억을 마시다
제14장 그저 단 한 사람의 연인으로 살고 싶었을 뿐
제15장 술이 아니면 그 세월을 견딜 수 없었을 거예요
제16장 언제 술 생각이 가장 간절한가요?

제4부 ‘혼술’, 홀로 유유자적하며 즐기다
제17장 달을 벗 삼아 그림자를 친구 삼아
제18장 천하에서 주량이 가장 센 유령, 술을 예찬하다
제19장 친구여, 좋은 술과 함께
제20장 세상만사 다 마음먹기 나름
제21장 취향醉鄕, 우리 옛 선조의 유토피아

작가 및 작품 찾아보기
도판 출처

저자소개

유병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명예교수. 숙명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사범대학에서 백거이 시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신여대 인문과학대 학장, 한국중어중문학회 부회장을 지냈다. 저서에는 『서리맞은 단풍잎, 봄꽃보다 붉어라: 유병례 교수와 함께하는 시니어 한시 산책』, 『당시 30수』, 『송사 30수』, 『당시, 황금빛 서정』, 『송사, 노래하는 시』, 『톡톡 시경본색』, 『엄마아빠가 읽어주는 당시』, 『그래도 인생은 아름다워라』가 있고, 역서에는 『전목의 중국문학사』(공역), 『장한가』, 『중국 시학의 이해』, 『중국문학이론비평사』(공역), 『시인의 죽음』이 있다.
펼치기
윤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신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박사과정 재학 중에 중국과 국교가 수립되어 꿈꾸어왔던 유학의 길에 올랐다. 중국 남경대학에서 오신뢰·유위민 교수의 지도하에 중국고전희곡을 공부하여 「이옥시사극연구李玉時事劇硏究」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중국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에는 『원곡, 불우한 이들의 통곡』과 이옥 및 고전희곡과 관련한 다수의 논문이 있고, 역서에는 『전목의 중국문학사』(공역), 『중국문학이론비평사』(공역)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고려 문호 이규보는 “술 없으면 시 짓는 일 멈춰야 하고, 시 없으면 술 마시는 일 그만두어야 하리無酒詩可停, 無詩酒可斥”라고 하였다. 시와 술은 이렇듯 동전의 양면처럼 슬픔과 불평과 분노를 녹여주고 감정을 순화시켜 심리적 평형을 이루는 데 기여하였다. 물론 과도한 음주는 건강을 해침은 물론 가까이는 가정을 파괴하고 멀리는 나라를 망치는 사례가 되었음을 역사는 증명한다. 그러나 주지육림酒池肉林으로 인한 망국의 한보다는 여전히 술에서 탄생한 명시들이 우리 마음을 촉촉이 적신다. (서문)


어느 날 밤 두강의 꿈속에 하얀 수염을 기른 노인이 나타나서 이렇게 말했다. 너에게 맑은 샘물을 줄 테니 앞산에 들어가서 아흐레 이내에 세 방울의 서로 다른 피를 구해 와서 샘물에 부으면 천하에서 제일 맛있는 음료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이튿날 아침 일어나 문 앞에 나가보니 과연 노인이 말한 대로 맑고 투명한 샘물이 하나 있었다. 두강은 세 방울의 피를 찾기 위해 즉시 앞산으로 들어갔다.


좌상 이적지는 천보天寶 원년에 좌승상에 임명되었는데, 천보 5년(746)에 간신 이임보李林甫의 배척을 받아 재상직에서 물러났다. 이적지는 “흥이 나면 하루에 만 냥을 술값으로 쓰고, 고래처럼 온 강물 들이켰는데 청주만 즐기고 탁주는 피했”다고 한다. 술 많이 마시는 사람을 술고래라고 하는데 이 말의 어원이 바로 「음중팔선가」 중 이적지를 묘사한 말에서 나왔다. 주량이 얼마나 센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낙성피현 樂聖避賢’에서 ‘성’은 청주를, ‘현’은 탁주를 의미한다. 그럼 왜 청주를 ‘성’이라 하고 탁주를 ‘현’이라고 할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