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6523499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4-05-1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8
1장 고종의 조선
고종 시대의 개막 16
임오군란과 그 후 18
외세개입과 파벌형성 23
개명과 부패 27
대한제국의 실패 33
시대정신과 인재의 상실 39
2장 이토 히로부미의 일본
유신과 새 나라 건설 46
메이지 일본과 ‘조선 문제’ 50
청일전쟁과 그 후 53
이토 히로부미와 메이지 건설 58
이토와 ‘조선 문제’ 62
3장 망국의 서막
전쟁의 시작과 한국과 일본 67
한일의정서: “망국의 시발점” 70
‘밀지(密旨)’ 정치 72
‘밀약’ 협상과 ‘밀약’ 파기 76
‘공약’ 한일의정서 81
이토의 한국방문 84
고종과 이토의 내알현 88
하야시 곤스케 98
고종의 이토 재방한 요청 106
한일협약 112
4장 병탄의 전주곡
명암의 1905년 116
고종의 정략 120
일한동지조합과 이권 계약 127
일본의 정략 131
이토의 방한과 을사조약 133
귀국 인사 147
‘역적’의 상소 151
하야시 곤스케의 보고서 161
고종과 을사조약 163
5장 고종과 통감지배
1906년의 시작 175
이토 히로부미의 ‘열복론’ 178
고종과 이토의 통감 통치 184
이토의 시정개선 철학 190
갈등의 관리와 조정 195
갈등의 표출 198
궁금숙청(宮禁肅淸) 201
홍삼전매권 갈등 211
고종의 대응 218
고종의 폐위구상 225
6장 고종 폐위
국민적 주권회복 운동 232
어수선한 정국 239
폐위와 개각 사이에서 243
이토의 공격 246
개각 251
박영효 사면 259
헤이그 밀사 사건 261
고종의 폐위 270
황제와 통감의 마지막 내알현 275
태황제 고종과 이토 279
이토의 사임 286
에필로그 290
자료에 대한 이야기 295
후기 305
참고도서 및 문헌 307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장과 제2장에서는 러일전쟁에 이르기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모습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904년 이토가 메이지 천황의 특파대사로 고종을 예방하여 한국 병탄의 서막이라 할 수 있는 한일의정서를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고종과 이토의 역할과 정략을 추적했다.
제4장은 일본이 러일전쟁에서 승리를 이어가면서 한국 병탄의 청사진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현하여 을사조약을 이루어냈는지 따라가 보았다. 그 과정에서 고종과 이토 그리고 대한제국과 일본 정부의 계획과 역할을 볼 수 있다.
제5장에서는 통감으로 부임한 이토의 보호통치 과정에서 고종의 황권을 해체하려는 이토와 이에 저항하는 고종의 정략을 분석했고, 제6장에서는 고종의 폐위를 몰고 온 헤이그 밀사 사건을 둘러싸고 전개된 고종과 이토의 대치와 갈등을 추적했다.
마지막은 이 책의 바탕으로 활용한 중심 자료에 대한 이야기와 저자가 자료를 수집하면서 자료의 한계와 불균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이야기를 함께 풀어놓으며 출간의 의미와 목적을 되새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