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영호의 서울생활

태영호의 서울생활

태영호 (지은이)
기파랑(기파랑에크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영호의 서울생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영호의 서울생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523606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4-06

책 소개

북한 주민들의 일상을 소프트한 문체로 얘기해 주는 책이다. 전반적인 사회 문제부터 드라마나 스포츠, 음식, 여가 생활에 이르기까지 남한에서 의 온갖 체험들이 재미있게 펼쳐진다.

목차

1
틀면 나오는 서울 수돗물
‘야메 면허’로 해외 운전 20년
평양서 대박 난 아메리카노
귤은 예나 지금이나 사회적 지위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눈이 오면 주민 동원해 싹 치우는 평양
北외교관들 영어 비결?
마주 앉으면 터져 나오는 군대 이야기
북한에선 상상도 못할 김치의 무한, 무료 제공
北 설날은 ‘술날’
북한 대학생 겨울방학은 작업 동원 기간
정전 걱정 없는 평양 지하철역은 도서관이 된다
제일 처음 본 한국 드라마는 「불멸의 이순신」
북한에서도 부동산 거래가?
영국에서 공부시킨 아이들에게 자유도 주고 싶어졌다
남한 3명의 대통령도 묵은 북한의 1호 영빈관 ‘백화원초대소’

2
기적처럼 만난 5촌 당숙 가족과 첫 ‘차례’
평양냉면이 내 입맛에 제일 좋은 식당은 옥류관
金씨 가문, 3대째 애연가. 금연 구역서도 김정은은 예외
여성의 날에 ‘혁명 자금’ 깨는 평양 남자들
남한의 고속도로 화장실은 세계 최고의 시설
생활쓰레기 처리에서 나타나는 남북 격차
외교관이 해외서 계좌 개설하면 국가반역죄
세금 없앴다는 북한, 자금 모자라면 수시로 돈·물품 걷는다
맥주는 술 아닌 청량음료
북한에선 마약 재배사업을 백도라지 사업이라 부른다
공휴일의 제정과 변화를 보면 그 나라의 정체성이 보인다
수업 ‘뚜꺼먹은’ 날, 21세 선생님은 종아리를 때렸다
북한의 스님은 양복에 구두 신고 ‘절’로 출근한다
北에선 집에서 장례, 수의 대신 양복이나 한복으로
김일성종합대 졸업생이 택시 운전사를 꿈꾼다

3
개인적인 해외여행은 불가능한 북한
한국의 대표 스포츠인 야구는 북한에 없다
개성에도 성균관대학이 있다는 사실을 아십니까
‘기차로 베를린까지’ 손기정 이후 우리가족이 처음
김정일 “쭈더가 누군가” 호통에 다시 ‘주덕’으로
‘취재 경쟁’보다는 ‘충성 경쟁’
가족과 함께 여행가겠다고 휴가 신청하면 정신 나간 사람 취급
말로만 반일, 상류층은 일본 상품 애호가
세계 흐름에 따라 제일 빨리 변하는 것은 여성들의 옷차림이다
‘삶은 소대가리도 웃다가 꾸레미 터진다’
위기 극복의 주체가 되는 여성
스펙 쌓으려고 김일성 동상 청소도
외국 대사 불러 항의할 때 나라 비중에 따라 다른 표현 쓴다
북한에서 삭발은 항의 의미가 아닌 당국의 요구에 복종하겠다는 뜻
북한 변호사는 개인의 권익을 보호하기보다 당의 지시를 우선시한다

4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에 놀랐다
런던에서 힘들게 구해 보낸 말안장
백두산 기(氣)는 김씨 일가만 받는다고 선전
장벽 붕괴 때, 모아놓은 동독 돈 교환하여 대박 난 외교관
미신 숭배는 마약, 밀수와 같은 중대범죄,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김정은이 남한 오면 인천공항을 보여주자
“약주 좀 하십니까”
호적제 폐지하며 족보도 모두 불태웠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찾아봤다
‘굿모닝’을 ‘좋은 아침’이라 통역하면 처벌감
엄동설한에 백두산을 행군하며 정신력 키우라니
「사랑의 불시착」 북에서 인기 있을 것
첫 연말정산, 세금 무서운 줄 처음 알았다
북핵 실험에 더 불안정해진 백두산
사스 때 북한 주민들은 ‘떼돈 벌 기회’라며 반겼다

저자소개

태영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북한 평양시 출생. 학력 1974년 평양외국어학원(중등교육) 영어과 입학 1976-1980년 중국 유학: 베이징 외국어대학 부속중학교 영어과 졸업 1980-1984년 북한으로 귀국: 평양국제관계대학 입학, 졸업 1984-1988년 다시 중국 유학: 베이징 외국어대학 영문학부 졸업 경력 1988년 10월 중국 유학 후 귀국하여 북한 외무성 유럽국 지도원으로 입직 1988년-1996년 북한 외무성 유럽국 지도원 1996-1998년 덴마크 주재 북한대사관 3등 서기관 1998-2000년 스웨덴 주재 북한대사관 2등 서기관 2000-2004년 북한외무성 유럽국 영국 및 북유럽 담당과 과장 2004-2008년 영국 주재 북한 대사관 참사 2008-2013년 북한외무성 유럽국 부국장 2013년 4월 - 2016년 여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 2016년 여름 대한민국으로 망명 2017년 1월- 2018년 5월까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자문연구위원 2018년 5월- 자유민주주의 통일운동가 2019년 3월-2020년 2월 남북함께 시민연대 상임대표
펼치기
태영호의 다른 책 >

책속에서

평양 거리에 커피숍이 처음 나타난 것은 2008년 초다. 그전에는 호텔 안에만 카페가 있어 외국인들이나 찾는 호화스러운 장소로 여겨졌다. 커피 한 잔에 큰 잔은 거의 5달러, 작은 잔은 3달러 정도였다. 당시 외무성 국장의 월급조차 1달러 정도밖에 안 되는 북한 실정에서 커피숍 커피를 마신다는 것 자체가 상식에 맞지 않는 일이었다. 커피 한 잔 마시고 화장실에 가면 소변으로 다 나가는데 차라리 커피 한 잔 마실 돈으로 고급 냉면 한 그릇 잘 먹자고들 했다.
그럼에도 외무성 등 북한 상류층에서는 커피가 오래전부터 없어서는 안 될 음료였다. 외무성은 2000년대 초부터 아침에 출근하면 물을 끓여 인스턴트 커피를 마시면서 하루 일과를 시작했다. 외국에 출장 갔다 올 때면 말보로나 로스만과 같은 좋은 외국 담배와 함께 커피를 사다 간부들에게 ‘고이는’(뇌물을 주는) 게 관례였다.
- ‘평양서 대박 난 아메리카노’ 중


연금제도가 허물어지면서 부패도 심해졌다. 간부들은 힘들게 벌어들인 외화로 주택 건설을 하기 시작했다. 북에서는 국가가 주택을 건설해 주민에게 무상으로 준다. 이때 주택 소유권은 주지 않고 사용권만 준다. 그런데 장마당에서 돈을 번 사람들이 불법으로 돈을 주고 좋은 주택 사용권과 교환했다. 1990년대 말까지만 해도 사용권 교환이 힘들었지만 2000년대 들어서 간부들이 슬며시 사용권 교환을 합법화했다.
간부들은 기관 자금으로 서너 칸짜리 좋은 주택을 건설한 뒤 그 주택을 분양받고 퇴직 후 그 집으로 들어가 자식과 함께 산다. 자식이 능력이 안되면 3칸 주택을 보유한 사람의 경우 본인용 1칸, 맏자식용 2칸짜리로 나눠 사용권을 교환한다. 4칸짜리 주택에 살았으면 한 칸은 돈을 받고 판다.
이렇게 주택 교환이 활발해지니 정식 부동산 거래소는 없지만 불법 브로커와 불법 주택 거래 장소가 생겼다. 평양시 대동교 주변 강변이 불법 주택 거래 시장인데 브로커들이 교환 가능한 모든 주택 목록을 가지고 있다. 브로커가 평양시 인민위원회 주택 배정처와 손잡고 주택입사증(사용증서)을 교환해 준다. 일반적으로 브로커와 주택 배정처의 관계자에게 각각 100달러씩 줘야 한다.
- ‘북한에도 부동산거래가?’ 중


영국에서 외교관 생활할 때 개인 계좌가 없었을뿐더러 2016년부터는 대사관 자체도 모든 영국 은행에서 퇴출당해 대사관 계좌도 없었다. 2003년 런던에 처음 북한 대사관을 개설할 때, 주변 HSBC은행에 찾아가 대사관 계좌를 열겠다고 하니 지점장이 나와 모든 편의를 다 제공해 줬다. 그런데 2005년 9월 미국 재무부가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은행에 있던 북한 자금 2천400만 달러를 동결시키자 영국 HSBC은행도 놀라 북한 대사관 계좌를 폐쇄해 줄 것을 요구했다. 다른 영국 은행을 찾아다녔는데 처음에는 개설해 주었다가 몇 달이 지나면 무슨 영문인지 없애 달라고 요구했다. 이렇게 1년에 몇 번씩 은행을 바꾸다 마지막에 찾아간 것이 인도 바로다(BARODA) 은행 런던 지점이었다. 같은 아시아 국가여서인지 흔쾌히 계좌를 열어줬지만 2016년 2월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하자 인도 은행도 계좌 폐쇄를 요구했다. 혈맹 관계인 중국은행(Bank of China) 런던지부에도 찾아가 봤지만 대북 제재 때문에 곤란하다고 했다. 결국 2016년 북한 대사관은 은행 계좌가 없는 대사관이 됐다.
- ‘외교관이 해외서 계좌 개설하면 국가반역죄’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