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65251019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11-03-25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문
| 제1장| 북송의 사회개혁운동과 리학사조의 흥기
| 제2장| 북송 중기 학파간의 투쟁과 낙학의 형성
제1절 염학과 낙학의 사승관계
제2절 낙학과 관학
제3절 낙학과 신학
제4절 낙학과 상수학
제5절 낙학과 촉학
| 제3장| 낙학의 창시인 정호ㆍ정이
제1절 정호의 정치와 학술활동
제2절 정이의 정치와 학술활동
| 제4장| 이정의 철학(상)
제1절 이정의 천리론
1. 천리관념의 형성
2. 기화론
3. 리기의 관계
4. 리일분수설
제2절 이정의 범신론
| 제5장| 이정의 철학(중)
제3절 이정의 격물치지론
1. 격물설
2. 지행관
제4절 이정의 인성론
1. 성의 구분에 대하여
2. 인성의 선악에 대한 해석
3. 인성의 수양방법
제5절 이정의 리욕관
| 제6장| 이정의 철학(하)
제6절 이정의 성인관
1. 이정 이전의 성인관
2. 이정의 성인관
3. 이정의 성인관이 끼친 영향
제7절 이정사상의 동이
| 제7장| 낙학의 계승자들(상)
제1절 사량좌
1. 천인합일설
2. 禪으로써 儒를 증명한다.
3. 사량좌에 관한 평가
제2절 양시
1. 양시: 신학의 격렬한 비판자
2. 양시: 낙학의 자각적 전파자
3. 양시: 민학의 적극적인 창시자
| 제8장| 낙학의 계승자들(하)
제3절 유작
1. 생애와 저술
2. 리학사상의 내용과 특색
제4절 여대림
1. ‘경세실제’의 관학 학풍
2. ‘의리를 함영한다’는 낙학의 특징
3. ‘중화’의 논쟁
제5절 윤돈
1. 생애ㆍ저작과 학술활동
2. 윤돈의 철학사상
| 제9장| 낙학의 심학화
제1절 장구성
제2절 육구연
| 제10장| 낙학의 민학화
제1절 나종언
제2절 이통
제3절 주희
1. 주희의 리기론
2. 주희의 격물치지론
3. 주희의 심성학설
| 제11장| 금ㆍ원시대 낙학의 북방으로의 전파와 발전
제1절 조복
제2절 학경
1. 학경의 범주론
2. 학경의 경사론
3. 학경의 이하론
제3절 허형
1. 허형의 천도관
2. 허형의 지행관
3. 허형의 인성론
4. 허형의 정치사상
| 제12장| 결론 ― 낙학의 지위와 변천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