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성공 > 성공학
· ISBN : 978896540388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4-05-27
책 소개
목차
준비: 변화의 뉴 모델, 견고한 유연성
왜 그리고 어떻게, 우리는 변화를 오해하는가
변화와 무질서를 탐색하는 신모델
신항상성을 알면, 어디서나 보이기 시작한다
견고한 유연성
견고한 유연성의 법칙
도로와 오솔길
첫 번째 스텝: 견고하고 유연한 사고방식
[키워드 1. 개방성] 삶의 흐름에 열려 있어라
변화는 혼란스럽다
진보, 저항, 사회 변화에 대한 간략하지만 중요한 딴소리
수용에 도달하기
소유 vs. 존재
피할 수 없는 방아쇠
덧없음 가운데 깊이와 의미가 있는 삶
#마음을 열어라
[키워드 2. 기대 컨트롤] 최악을 예상하라
기대가 현실을 어떻게 바꾸는가
뇌는 예측 기계다: 기대의 신경과학
비극적 낙관주의
비극적 낙관주의가 통하는 이유에 대한 과학적 이론
현명한 희망과 현명한 행동
고통은 통증 곱하기 저항
견고하고 유연한 사고방식
#힘든 상황을 예상하라
두 번째 스텝: 견고하고 유연한 정체성
[키워드 3. 유동적 자기] ‘나’를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지속성은 복잡성을 좋아한다
독립성 vs. 상호 의존성
변화를 통한 강하고 안정적인 정체성
견고하고 유연한 자아 개발하기
관습적 자기와 궁국적 자기
우리는 다수를 포함한다
#유동적 자기감을 길러라
[키워드 4. 핵심 가치] 나의 자화상, 견고하고 유연하게
견고한 경계
유연한 적용
조직군 생태학
자신만의 진화 이끌기
#견고하고 유연한 경계를 가꾸어라
세 번째 스텝: 견고하고 유연한 행동
[키워드 5. 4P] 대응하라, 반응하지 말고
잔심
반응 대신 대응하기: 행동 활성화와 신경과학
대응의 놀라운 힘
4P: 자기 효능감을 위한 증거 기반 방법
미디어는 메시지다
#반응보다는 대응하라
[키워드 6. 적기] 성장, 의미 그리고 시간에 너그러워져라
의미와 성장은 때가 되면 스스로 나타난다
힘든 시간은 왜 영원할 것만 같을까
고통에서 목적으로
‘해결’의 한계와 겸손함
도움 요청하고 도움받기
자발적 단순성
진짜 피로 vs. 가짜 피로
진흙 속에 피는 꽃
힘든 시간은 언제나 어렵지만, 연습하면 쉬워진다
#의미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라
도약: 견고한 유연성을 위한 다섯 가지 질문 & 열 가지 도구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다섯 가지 질문
견고한 유연성을 개발하기 위한 열 가지 도구
감사의 말
일반적인 핵심 가치 목록
더 읽을거리
리뷰
책속에서
항상성이 질서, 무질서, 질서의 패턴을 설명하는 반면, 신항상성은 질서, 무질서, ‘재’질서의 패턴을 설명한다. (...) 항상성은 대체로 잘못된 명칭이다. 우리를 포함해 모든 것은 항상 변화하고 있다. 우리는 질서, 무질서, 재질서의 끊임없는 순환 어딘가에 있다. 우리의 안정감은 이 순환을 항해할 수 있는 능력에서 비롯되거나, 스털링과 아이어가 말한 것처럼 “변화를 통해 안정 상태에 도달한다.” 나는 이 문구를 이중적인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변화의 과정을 통해 안정을 유지하는 방법은, 최소한 어느 정도는 변화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말이다.
목표는 안정적이 되어 절대 변하지 않게 되는 것이 아니다. 삶의 변덕에 소극적으로 굴복하며 모든 안정감을 희생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목표는 이러한 특성들을 결합해 내가 ‘견고한 유연성rugged flexibility’이라 부르는 특성을 함양하는 것이다. 견고함이란 강인하고, 단호하며, 지속적이라는 것이다. 유연함이란 바뀐 상황이나 상태에 의식적으로 대응하고, 부러짐 없이 쉽게 적응하고 굽힌다는 것이다. 이들이 합쳐지면 굳센 지구력, 즉 변화를 견딜 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도 번영하는 반취약성anti-fragility이 된다.
콜드웰은 그의 손가락이 돌아오지 않는다는 걸 알고 있었다. 크리스틴은 코로나19가 하룻밤 새 사라지지 않으리란 걸 알고 있었다. 두 사람 모두 각자의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했다. 무언가를 현재 그 순간에 바꿀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이면, 그것이 사라지길 바라거나 자기 방식대로 조종하려는 시도를 멈출 권한을 자기 자신에게 부여하게 된다. 이는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수용과 진전에 쏟을 수 있게 해준다. 핵심은 자신의 현실을 ‘진정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수용에 대해 생각하거나, 말하거나, 바라는 게 아니라 실제로 수용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 거짓말을 할 때, 마음은 그것을 너무나 쉽게 알아차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