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과 일본의 정보력

중국과 일본의 정보력

이용식 (지은이)
진영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1,500원
28,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과 일본의 정보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과 일본의 정보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65417149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5-08-13

책 소개

국내 최초로 다양한 측면에서 중국과 일본의 현재 정보력과 미래 정보력 건설 방향을 평가한 것으로, 앞으로도 지속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한반도 주변국 관련 정치, 외교, 역사 관련 임무를 수행하는 정책, 국방 및 외교부서 요원, 정보분야에 근무하는 군 간부, 관심 있는 군 요원, 주변국을 연구하는 연구자 또는 학생들에게 많은 참고서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장 정보의 개념과 분류
1.1. 정보의 개념 19
1.1.1. 첩보와 정보 19
1.1.2. 정보의 기능 20
1.1.3. 정보의 특성 23

1.2. 국가정보의 분류 24
1.2.1. 국가정보와 부문정보 24
1.2.2. 국가정보의 분류 25
1.2.2.1. 분석 형태별 분류(기본정보, 현용정보, 정세 판단 정보) 25
1.2.2.2. 기능별 분류 26
1.2.2.3. 수집 출처에 의한 분류 26

1.3. 군사정보의 분류 28
1.3.1. 정보 운용에 의한 분류(전략정보, 작전술 정보, 전술정보) 28
1.3.2. 수집 출처에 의한 분류 29
1.3.3. 국가정보와 군사정보의 관계 29

1.4. 수집 출처에 의한 정보의 개념 31
1.4.1. 인간정보(HUMINT)의 개념 31
1.4.2. 공개정보(OSINT)의 개념 33
1.4.3. 기술정보(TECHINT)의 개념과 분류 35
1.4.3.1. 신호정보(SIGINT) 36
1.4.3.2. 신호정보의 분류 36
1.4.3.2.1. 통신정보(COMINT) 37
1.4.3.2.2. 전자정보(ELINT) 38
1.4.3.2.3. 계기정보(FISINT) 38
1.4.3.3. 신호정보의 수집 플랫폼 39
1.4.4. 계측 및 기호정보(MASINT) 41
1.4.5. 영상정보(IMINT) 42
1.4.6. 지리공간정보(GEOINT) 43

2장 정보활동의 발달 과정
2.1. 정보활동의 시작 47

2.2. 고대 정보활동 48
2.2.1. 인류역사상 최초의 첩보전 오디세우스의 트로이 전쟁 48
2.2.2. 최고의 병법서 손자병법의 첩보활동 교범 50
2.2.3. 모세의 정탐활용 56
2.2.4. 삼국시대 HUMINT의 귀재 김유신 57

2.3. 중세 정보활동 61
2.3.1. 칭기즈칸의 현대판 정보네트워크 역참제도 운용 62
2.3.2. 조선시대 정보전달을 위한 봉화제도 운영 64
2.3.3. 임진왜란 정보활동 67
2.3.3.1.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투옥한 일본의 정보작전 67
2.3.3.2. 이순신 장군의 지리공간정보(GEOINT) 활용 69
2.3.3.3. 에도막부시대 HUMINT와 OSINT의 정보수집 활동 71

2.4. 근대 정보활동 73
2.4.1. 미 남북전쟁과 공개정보(OSINT)의 출현 75
2.4.2. 최초 통신정보(COMINT), 전자정보(ELINT) 등장 78
2.4.2.1. 통신정보(COMINT) 수집 및 암호해독, 방향탐지 78
2.4.2.2. 전자정보(ELINT) 수집 및 방향탐지 80
2.4.2.3. 제1차 세계대전 미국의 참전을 불러온 신호정보 81
2.4.3. 제2차대전 일본의 정보기관 활동 84
2.4.3.1. 유능한 정보장교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 84
2.4.3.2. 중국에서 일본의 특무기관 중심 정보활동 85
2.4.4. 영상정보(IMINT) 출현 및 발전 87
2.4.5. 암호해독의 중요성을 확인한 태평양전쟁 93

2.5. 현대 정보활동 96
2.5.1. 한국전에서 HUMINT, COMINT 실패 96
2.5.2. HUMINT와 COMINT에 의한 중동 3차전(6일 전쟁) 100
2.5.3. 계측 및 기호정보(MASINT)의 출현 104
2.5.4. 사이버 정보의 등장과 사이버 전쟁 107
2.5.5.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2022)에서 통합정보전 등장 109
2.5.5.1.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역사적, 지정학적 정보환경 109
2.5.5.2. 러시아의 정보전 수행 110
2.5.5.3. 전자전 수행 115
2.5.5.4. 최초 대무인기(Counter UAV) 전자전 수행 119
2.5.5.5. 우주 정보전 수행 122
2.5.5.6. 러시아의 사이버전 수행 124

3장 정보수집 및 처리체계 핵심기술
3.1. 통신정보(COMINT)의 원천 무선통신 시스템 129
3.1.1. 무선통신 시스템이란? 129
3.1.1.1. 이동통신 시스템 132
3.1.1.2. 위성통신 시스템 134
3.1.1.3. 무선인터넷 시스템 136
3.1.1.3.1. 고정형 무선접속 138
3.1.1.3.2. 정지형 무선접속 138
3.1.1.3.3. 이동 중 접속 138
3.1.1.4. 와이파이(Wifi) 139
3.1.2. 차세대 인터넷 기술 139
3.1.2.1. 사물인터넷(IOT) 139

3.2. 통신정보(COMINT) 분석 기술 140
3.2.1. 정보를 부호화(Source coding)하는 기술 141
3.2.1.1. 음성신호의 아날로그 변조 141
3.2.1.1.1. 진폭변조(AM) 141
3.2.1.1.2. 주파수변조(FM) 142
3.2.1.1.3. 위상변조(PM) 142
3.2.1.1.4. 음성신호의 디지털변조 143
3.2.1.2. Text 데이터 144
3.2.1.3. 컴퓨터 데이터 144
3.2.2. 신호 다중화 방식 148
3.2.2.1. 주파수분할 다중화 방식(FDM) 148
3.2.2.2. 시분할 다중화 방식(TDM) 149
3.2.2.3. 코드분할 다중화 방식(CDM) 151

3.3. 암호화 기술 152
3.3.1. 고대암호(고대 그리스~19세기 말) 154
3.3.2. 근대암호(전신의 발명~제2차 세계대전) 155
3.3.3. 현대암호(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157
3.3.3.1. 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159
3.3.3.1.1. 블록암호알고리즘 159
3.3.3.1.2. 스트리밍 암호 알고리즘(Stream Cipher) 161
3.3.3.2.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비대칭키 알고리즘) 162
3.3.3.3. 양자 암호 알고리즘 163
3.3.3.4. 해쉬함수(hash algorithm) 164

3.4. 전자정보(ELINT) 분석 기술 164
3.4.1. 전자정보와 전자전 164
3.4.2. ELINT 파라미터(전자정보)의 전자지원(ES) 165
3.4.3. ELINT 파라미터의 전자공격(EA) 적용 167
3.4.4. 전자신호 파리미터 종류 및 정의 168
3.4.4.1. ELINT 수신기에서 수신전력 세기 168
3.4.4.2. 펄스반복주파수(PRF) 169
3.4.4.3. 펄스반복간격(PRI) 171
3.4.4.4. 펄스진폭(Pulse Amplitude), 펄스폭(Pulse Width) 171
3.4.4.5. ELINT신호 처리 시스템 구조 173
3.4.4.6. 전자보호(EP)를 위한 펄스반복간격(PRI) 변경 174
3.4.5. 레이더 ANT Scan 유형 175
3.4.5.1. 고정 Scan 176
3.4.5.2. 원형 Scan 176
3.4.5.3. 섹터 Scan 177
3.4.5.4. Conical Scan 177
3.4.5.5. Raster Scan 178
3.4.5.6. Helical Scan, Spiral Scan 178

3.5. 방향탐지 기술(DF) 178

3.6. 영상정보(IMINT) 분석 기술 181
3.6.1. 전자광학(EO) 영상 181
3.6.2. 적외선(IR) 영상 182
3.6.3. 레이더(SAR) 영상 183

3.7. 사이버 공격 기술 186

4장 중국의 정보수집 능력
4.1. 우주자산을 이용한 정보수집 195
4.1.1. 정지궤도위성(GEO) 정보수집 197
4.1.2. 저궤도위성(LEO) 정보수집 200
4.1.2.1. 전자신호(ELINT) 수집 위성 201
4.1.2.2. 영상정보(IMINT) 수집 위성 208
4.1.2.3. 저궤도 다중 위성 열(列) 212

4.2. 항공기와 무인기를 이용한 정보수집 213
4.2.1. 항공기를 이용한 정보수집 214
4.2.2. 무인기를 이용한 정보수집 219

4.3. 지상 정보수집체계 223

4.4. 해상 정보수집체계 225

4.5. 중국군의 전자전 능력 228
4.5.1. 전자전 추진 전략 228
4.5.2. 지상 이동형 전자전체계 231
4.5.3. 대방사(ARM) 무기체계 233
4.5.4. 대우주(Counter-space) 전자전체계 235
4.5.5. 중국군의 전자기 스펙트럼 작전(EMSO) 236

4.6. 사이버영역에서 정보수집 237

4.7. 중국의 민간기업을 이용한 정보수집 239
4.7.1. 통신기기의 해킹용 임베디드시스템(embedded system) 239
4.7.2. IT업체를 이용한 정보수집 241

5장 일본의 정보수집 능력
5.1. 일본의 정보활동 역사 245
5.1.1. HUMINT 업무 시작 245
5.1.2. 일본의 SIGINT 업무 태동과 발전 246
5.1.3. 종전 후 정부기관 중심의 정보활동 249

5.2. 자위대의 정보수집 능력 250
5.2.1. 육상자위대의 SIGINT 수집체계 250
5.2.2. 해상자위대의 정보수집체계 252
5.2.2.1. 해상자위대의 정보수집 아키텍쳐 252
5.2.2.2. 해상자위대 지상 ELINT 수집체계 256
5.2.2.3. 해상자위대 정보수집함 258
5.2.2.4. 해상자위대 항공기 정보수집 264
5.2.2.5. 해상자위대 해저 감시체계(SOSUS) 270
5.2.2.6. 해상자위대의 ELINT정보 전송체계 273
5.2.3. 항공자위대의 정보수집체계 274
5.2.3.1. 항공자위대의 정보수집 아키텍쳐 274
5.2.3.2. 지상 방공관제 조기경보체계(JADGE) 276
5.2.3.3. 항공자위대 지상 SIGINT 수집체계 280
5.2.3.4. 항공기 COMINT, ELINT 수집체계 283
5.2.3.5. 무인기 SIGINT, IMINT 수집체계 287

5.3. 저궤도 감시정찰 위성 289

5.4. 탄도미사일(BM) 감시체계 290

5.5. 지상 및 공중 전자전체계 292

5.6. 항법위성(QZSS) 위성 294
5.7. 미국과 정보업무 교류 295
5.7.1. 일본과 미국의 군사동맹 변천과정 295
5.7.2. 조기경보자료 공유 298
5.7.3. 미 DSP위성 영상자료 공유 299
5.7.4. 신호정보 수집 및 암호분석 기술 공유 299

6장 중국과 일본의 정보조직
6.1. 중국의 정보조직 305
6.1.1. 시진핑 시대 중국군의 정보조직 변화 305
6.1.2. 정보전을 대비한 전략지원군(SSF) 창설 307
6.1.3. 정보지원군, 항공우주군, 사이버군 창설(2024.4) 316
6.1.4. 5대 전구와 한반도지역 정보지원을 위한 정보조직 320
6.1.5. 해ㆍ공군ㆍ로켓군 작전지원을 위한 정보조직 322
6.1.6. 중국 국가안전부((MSS) 323
6.1.6.1. 임무와 기능 323
6.1.6.2. 조직 구성 및 활동 329

6.2. 일본의 정보조직 336
6.2.1. 일본의 정보조직 태동 336
6.2.2. 일본 정부 정보기관 구조 338
6.2.2.1. 내각정보조사실(CIRO) 340
6.2.2.2. 위성운영센터(CSIC) 342
6.2.3. 방위성 정보본부(DIH) 345
6.2.4. 외무성 국제정보통괄관, 경찰청 경비국 346
6.2.5. 육상ㆍ해상ㆍ항공자위대 정보 조직 347
6.2.6. 사이버 운영조직 352
6.2.7. 일본판 CIA 창설 노력 355

7장 한국의 국가 정보조직 발전방향
7.1. IT기술 발전에 따른 정보환경 변화 359
7.1.1. 미래전의 핵심 정보전(IW) 359
7.1.2. 북한의 정교한 사이버공격 능력 361
7.1.3. 디지털 환경의 정보수집 및 처리체계 364
7.1.4. 우주와 해양 정보전으로 확장 365
7.1.5. 현대 정보의 핵심 기술정보(TECHINT) 367

7.2. 미국의 정보조직과 특징 369
7.2.1. 미국의 정보공동체(IC) 369
7.2.2. 미국의 정보조직 특징 374

7.3. 일본의 정보조직 특징 375

7.4. 영국과 독일의 정보조직 특징 377

7.5. 우리나라 정보조직 발전방향 379
7.5.1. 국가정보기관 간 정보공유 379
7.5.2. 북한과 그 우호 세력의 사이버 위협 대응 380
7.5.3. 국가 핵심 산업기술 유출방지 382
7.5.4. 군 작전지원을 위한 강건한 정보체계 384
7.5.5. 지ㆍ해ㆍ공군 고유 작전 수행을 위한 정보수집체계 구축 386
7.5.6. 정보수집 및 처리체계 개발, 분석조직 전문화 388

참고문헌 390

저자소개

이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국립구미전자공고 공군사관학교(학사) 미국 플로리다공과대학(FIT) 대학원(석사) 한양대학교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대학원 (박사수료) 아주대학교 NCW공학(박사) 경력 공군중령(예) 정보본부 부이사관(3급) 국방과학연구소 수석연구원 정보통신기술사 연세대 객원교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