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브 라코스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9년 모로코 페스에서 태어나 유서 깊은 지역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후 프랑스로 건너가 공부했다. 20대 초에 베르베르족을 연구하기 위해 알제리로 갔으며, 전쟁이 일어난 1955년 수도 알제에서 장 드레슈Jean Dresch의 지도 아래 지리학으로 국가박사학위를 마치고 지리학 교수 자격을 얻었다. 당시 프랑스의 식민 지배에 항의하는 급진적인 청년들처럼 1956년 프랑스 공산당원이었고 이후에도 제3세계 문제를 파고든 주요한 지정학자이다. 그의 지정학은 특히 사람을 중시하는 특성을 갖는데 1956년 발간한 《저개발의 지리학》은 15개국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1960년대 초부터 진취적인 파리 뱅상대학(파리 제8대학)에서 강의했고, 베트남 현지 조사로 미군의 홍하 제방 폭격을 비판했으며 《지리는 우선 전쟁 수행에 봉사한다》(1976)를 출간하였다.
주요 저서로 《제3세계의 통일성과 다양성》(1980), 《반제3세계주의자들과 어떤 제3세계주의자들에 대한 반론》(1985), 《프랑스 지역 지정학》(1986)이 있으며, 《마그레브의 사람과 문명》(1994)은 인류학자인 부인 카미유 라코스트 뒤자르뎅Camille Lacoste Dujardin과의 공저다.
1976년 지리와 역사, 지정학을 일반에 알리기 위한 잡지 〈헤로도토스〉를 창간했고, 1989년에는 프랑스 지정학연구소를 창설했다. 2000년에 지리학 분야에서 유명한 보트랭 루드Vautrin Lud 상과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현재 파리 제8대학 명예교수를 지내고 있고 〈헤로도토스〉 대표로도 활동 중이다.
펼치기
박은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장 지로두와 신화의 연극적 재현〉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교수 과제로 〈‘텍스트의 귀환’ 이후 프랑스 연극의 스펙트럼〉 연구를 수행 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강의하고 있다. 장 지로두의 연극에 대한 연구(〈장 지로두의 무대화 전략 : 〈아가〉의 경우〉, 〈장 지로두와 팔랭프세스트의 글쓰기 : 북유럽 신화와 〈지그프리트〉를 중심으로〉, 〈장 지로두의 극중극 연구 : 〈38번째의 암피트리온〉에서 〈샤이오의 광녀〉까지〉, 〈기억과 망각의 변증법 : 치유의 글쓰기 : 장 지로두의 연극을 대상으로〉, 〈장 지로두의 벨락의 아폴론 읽기 : 아폴론을 중심으로〉, 〈장 지로두의 〈샤이오의 광녀〉에 나타난 광기와 헤테로토피아〉) 외에 〈장-뤽 라가르스의 〈뒤카텔 씨 댁의 하녀〉의 연극 구조〉, 〈자기 애도와 서사의 교착 : 장-뤽 라가르스의 〈단지 세상의 끝〉을 중심으로〉, 〈소수자의 삶의 크로노토프와 연극의 형상화 : 장-뤽 라가르스의 〈난 집에서 비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어〉를 중심으로〉, 〈장-뤽 라가르스의 〈머나먼 나라〉 : 〈단지 세상의 끝〉 다시 쓰기와 커밍아웃〉, 〈연극 속 ‘그’의 관점에서 본 ‘타자’ : 플로리앙 젤레르의 〈타자〉를 대상으로〉, 〈플로리앙 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노년과 상실 : 〈아버지〉, 〈어머니〉를 대상으로〉 외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역서로 《맞춤 육체》, 《패션》, 《에곤 실레》, 《베토벤》, 《루브르》, 《세계의 물》, 《지구가 멈추는 날》 등이 있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