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6564188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6-09-28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며: 지식과 윤리 문제
2장 대학 강의실에서의 페미니즘
여성주의 강좌와 남학생들의 저항
남학생들의 저항 유형
저항을 줄이기 위한 이론적 전환
: 출발 지점: 공감 효과의 한계 / ‘복잡한’ 가부장제 / 역차별 논쟁: 정치 할당제와 군대 문제
3장 경합하는 페미니즘‘들’
페미니즘이 하나라는 착각
다양한 여성 주체와 다양한 이론
: 물결 담론과 하이픈 페미니즘 / 패러다임의 재구성: 샌도벌의 피억압자의 저항 의식
제3세계 페미니즘의 계보와 이론적 함의
: 억압/저항의 다층성 / 차이와 연대의 문제
4장 사회 분석의 범주, 젠더
정치학과 페미니즘
근본적인 질문: ‘성 변수’로부터 피억압자의 경험과 지식으로
분석 사례: 민족국가와 젠더, 억압과 저항, 교차성 이론
5장 또 다른 가부장적 시선: 한국 페미니즘은 서구 중심적인가
지적 식민성 논의와 페미니즘
서구 중심적 페미니즘에 대한 내·외부에서의 비판들
반론과 대안적 논의들
: 유교 페미니즘과 아시아 여성주의 / 지식의 계급성과 재현의 문제
6장 공감, 정체성, 그리고 탈동일시(Disidentification)
사회적 덕으로 소비되는 고통과 공감
공감 실천이 어려운 이유와 그 현실적 인식
정체성 정치와 탈동일시
: 개념과 논리 / 정체성 정치의 한계와 탈동일시 실천 / 탈동일시 주체의 새로운 자아
후기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사회에서 페미니즘은 대개 여성의 관점이나 입장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