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에세이
· ISBN : 9788965642046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8-02-19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_ 5
프롤로그
답이 없는 문제가 만들어내는 생각의 힘
세계평화게임이란? _ 22
게임에서 얻는 배움 _ 25
배움의 일곱 단계 _ 28
‘빈 공간’으로 들어가자! _ 33
명장에게 배우는 교훈 _ 41
교실에서 완성되는 집단적 지혜 _ 43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48
1장 작은 손으로 만드는 세계평화
게임을 만들다 _ 55
교란자의 탄생 _ 59
닌족 문제 _ 61
카자즈족 문제 _ 64
세계 속의 집 _ 66
가상의 국가에서 일어나는 현실적 위기 _ 70
잉그리드, 궁극의 위기에 처하다 _ 72
우리는 우리 자신보다 더 큰 존재다 _ 76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78
2장 혼란을 통해 배우는 세계평화게임
세계의 지도자들 _ 86
너무나 많은 선택지 앞에서 _ 102
로드니, 모든 것을 잃다 _ 108
파블로, 깨달음을 얻다 _ 113
혼란의 중요성 _ 120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123
3장 실패에서 구하는 세계평화의 비법
실패에서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_ 132
실패를 견뎌내는 지혜 _ 136
에즈라의 자기희생 _ 144
어거스트의 자기희생 _ 148
실패는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한 징검다리 _ 152
마음에서 우러난 연민 _ 154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157
4장 시작은 개인적인 해결책에서부터
팍스랜드의 총리 _ 165
교란자와 속임수 _ 167
손자의 말처럼 되다 _ 172
“이런 사실을 알려드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_ 180
패배가 주는 이득 _ 184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191
5장 무엇보다 강한 것, 협력
폭군의 탄생 _ 197
세계 정복을 향한 재러드의 야심 _ 203
모두가 폭군에 맞서다 _ 206
폭군과 평화를 이루다 _ 211
공동체 형성 _ 215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223
6장 도약에서 몰입까지
‘유레카’와 ‘아하’ _ 229
무기상인이 받은 계시 _ 233
몰입을 향해 _ 241
절망은 몰입이 자라날 아주 좋은 토양 _ 243
닐라와 라이언이 만들어낸 집단적 몰입 _ 247
건서, 지구 온난화를 해결하다 _ 250
무엇이 도입과 몰입을
가능하게 하는가 _ 254
도약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_ 255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259
7장 협력이 도약과 몰입을 만날 때
오만한 권력자의 등장 _ 264
교란자의 등장 _ 268
오만에 따른 재앙 _ 277
국제형사재판소 _ 281
회복 _ 284
공격으로 이루어낸 평화 _ 287
에이미, 손자의 가르침을 따르다 _ 290
길 없는 곳에서 길을 찾다 _ 293
승리의 풍경 _ 297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301
에필로그
세계평화를 위한 모두의 한 수
‘빈 공간’, 펜타곤을 만나다 _ 306
동전과 회랑 _ 309
어려운 질문 _ 314
펜타곤을 방문하고 난 뒤 _ 316
세계평화게임이 세계를 만나다 _ 320
세계평화는 교실에서부터! _ 322
오늘의 게임이 끝났습니다 _ 325
옮긴이 후기
게임을 통해 배우는 세계평화 _ 326
책속에서
아이들에게 아크릴 게임판을 보여주고 일급비밀 서류를 나누어주면서 게임은 시작된다. 서류에는 서로 복잡하게 얽힌 50가지 문제를 담고 있는 열세 쪽짜리 위기상황 문서도 포함된다. 아이들은 이 문제들 중 하나가 변하면 나머지 문제들도 따라 변한다는 사실을 즉각 알아챈다. 나는 그들을 위기와 갈등이 복잡하게 얽힌 그물 안에 던져놓는다. 아이들은 민족 갈등, 소수자 문제, 화학물질·핵물질·석유 유출, 핵무기 확산, 환경 재해, 물 이용권 분쟁, 국가의 분리독립, 기아, 멸종위기의 생물, 기후변화 등 다양한 위기를 마주한다.
― 프롤로그: 답이 없는 문제가 만들어내는 생각의 힘
나 역시 대부분의 사람처럼 혼란보다 확실성을 선호하곤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는 혼란의 중요성을 스스로 끊임없이 되새겨야 한다. 긴 시간을 들여 다양한 방면에서 문제에 접근하고자 하는 아이는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교사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설사 그 과정에서 더 큰 혼란과 압도에 빠지고 있더라도 말이다.
― 2장, 혼란을 통해 배우는 세계평화게임
어느 여름에 진행된 게임에서 위로서한을 읽을 시간이 되었을 때 한 학생이 제안했다. “헌터 선생님, 부모님 한 분이 저기 와 계세요. 저 분께 편지를 읽어달라고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게 더 진짜 같을 것 같아서요.” 우리는 부탁을 드렸고, 그녀는 흔쾌히 편지를 받아 읽기 시작했다. “부모님들께, 죄송하게도….” 그녀는 한 문장을 읽었다. 그리고 다음 문장을 읽었다. 세 번째 문장을 읽을 때 그녀의 눈가에는 눈물이 고여 있었다. 나도 눈물을 흘렸다. 단 한 명이라도 귀중한 목숨을 잃는다면 승자도 자랑스러워 할 수 없다는 것을 모두가 깨달았다. 한 명의 생명이 사라질 때마다 우리 모두는 패배한 것이다.
― 4장, 시작은 개인적인 해결책에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