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66373758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5-04-22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1부_ 문학·예술 이론
제1장 미적 감성의 기원과 특징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을 위하여』에서 (1859)
3. 마르크스, 『자본론』에서 (1867)
4. 엥겔스, 『원숭이에서 인간으로의 진화과정에서 노동의 역할』에서 (1876)
제2장 자본주의적 소외와 미적 가치의 왜곡
1. 마르크스, 『프러시아 검열관에게 내려진 새 훈령에 대한 논평』에서 (1842)
2. 마르크스, 『언론의 자유에 대한 논쟁』에서 (1842)
3.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4. 마르크스, 『전자본주의적 경제구조』에서 (1858)
5. 마르크스, 『잉여가치학설사』에서 (1861?62)
6. 엥겔스, 『자연변증법』에서 (1876)
제3장 과학적 사회주의와 예술적 탈소외의 도래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엥겔스, 『독일이데올로기』에서 (1845?46)
3. 마르크스?엥겔스, 『공산당선언』에서 (1848)
4. 엥겔스, 『주택문제』에서 (1872)
제4장 문학과 계급적 가치
1.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2. 마르크스?엥겔스, 『독일이데올로기』에서 (1845?46)
3. 엥겔스, 『운문과 산문에 나타난 독일사회주의 Ⅱ』에서 (1847)
4. 엥겔스, 『드 라마르틴의 선언』에서 (1847)
5. 마르크스, 『혁명운동』에서 (1849)
6. 마르크스, 『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 1848?1850』에서 (1850)
7.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1852)
8.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을 위하여』 서문에서 (1859)
9. 엥겔스, 『포이에르바하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에서 (1886)
10. 엥겔스, 파울 에른스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6. 5)
11. 엥겔스, 폴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8. 27)
12. 엥겔스, 콘라트 슈미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10. 27)
13.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의 제4판 서문에서 (1891. 6. 16)
14. 엥겔스, 『공산당선언』의 이탈리아어판 서문에서 (1892. 2. 1)
제5장 예술적 가치의 계급적 수용
1.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1852)
2.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1. 7. 22)
3. 엥겔스, 프란츠 메링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3. 7. 14)
4. 엥겔스, 로라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3. 9. 18)
제6장 리얼리즘의 문제
1. 마르크스, 『영국의 중간계급』에서 (1854)
2.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8. 11. 24)
3.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4. 19)
4. 엥겔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5. 18)
5. 마르크스, 나네트 필립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1. 3. 24)
6. 엥겔스, 로라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3. 12. 13)
7. 엥겔스, 민나 카우츠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5. 11. 26)
8. 엥겔스, 마가렛 하크니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8. 4월 초)
제7장 경향문학
1.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2. 엥겔스, 《뉴욕 데일리 트리뷴》 지에서 (1851. 10. 28)
3. 마르크스, 요제프 바이데마이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2. 1. 16)
4.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6. 5. 8)
5.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프라일리그라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0. 2. 29)
6.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3. 5. 29)
7. 엥겔스, 마르크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6. 5. 29)
8. 엥겔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1. 8. 17)
9. 엥겔스, 베오르그 베르트의 시에서 (1883)
10. 엥겔스, 헤르만 슐뤼터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5. 5. 15)
제8장 인간의 기본가치의 표현과 지속성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3.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4.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 강요』에서 (1857)
제9장 형식과 문체
1. 엥겔스, 빌헬름 그래버에게 보낸 편지에서 (1839. 10. 8)
2.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4. 10. 26)
3.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4. 19)
4. 엥겔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5. 18)
5. 마르크스, J. B 슈바이처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5. 1. 24)
2부_ 문학·예술과 사상의 역사
1장 고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인류문화의 여명
신화와 서사시의 시작
샘족의 서사시적 전통
호메로스의 시에 나타난 고대 그리스 사회
그리스 비극(悲劇)
2장 중세의 사상과 문학예술
게르만 문화
고대와 중세문학에서의 사랑
바그너와 독일의 구전 서사시
지그프리트 전설과 독일 혁명운동
고대 아일랜드 문학
고대 스칸디나비아 서사시
중세 초기의 덴마크 시가
롤랑의 노래
프로방스 문학
기사의 연애 시
영국의 농민 평등사상
독일의 민중서적들
3장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고대세계의 종말(300년)과 중세의 종말(1453년)의 상황적 차이
단테에서 가리발디까지의 이탈리아 문화
단테
페트라르카
복카치오
티치아노
종교개혁 시기의 촌뜨기 문학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의
토마스 모어
셰익스피어
칼데론
세르반테스
4장 근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고전극의 삼일치
라 로슈푸코
계몽주의의 역사적 의의
백과사전파의 유물론
계몽주의와 변증법
볼테르
디드로
루소
과거의 관점에서 본 자본주의 진보에 대한 비판과 봉건적 사회주의
왕정복고 시대의 작가들
5장 프랑스의 문학
아베 프레보
샤토브리앙
알렉상드르 뒤마
라마르틴
빅토르 위고
유젠느 쉬
유젠느 쉬의 소설 『파리의 비밀』에 대한 비판적 분석
오노레 발자크
피에르 뒤퐁
아르튀르 랑
조제프 르낭
에밀 졸라
기 드 모파상
6장 영국과 아일랜드의 문학
대니얼 디포
조나탄 스위프트
알렉산더 포프
셸리와 바이런
월터 스코트
영국 노동자 시인 미드
토마스 칼라일
19세기 중반의 영국 리얼리즘 작가들
윌리엄 칼튼
버나드 쇼
에이블링
윌리엄 모리스
7장 독일문학
17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의 독일과 독일문화의 상황
쉴러
괴테
하이네
‘청년독일파’
알렉산더 융
칼 베크
프라일리그라트
게오르그 베르트
노동자 계급운동에서의 탁월한 인물. 요한 필립 베커
8장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학
러시아어
이고리 원정기
로모노소스 슬라브어와 언어학
제르쟈빈
푸시킨
체르니셰프스키와 도브롤류보프
학자 또는 비평가로서의 체르니셰프스키
체르니셰프스키와 러시아 농촌공동체
혁명가로서의 체르니셰프스키
시체드린
플레로프스키
■ 부록
1. 엘레노어 마르크스, 「모어를 회상하며」에서 (1895)
2. 엘레노어 마르크스, 「하이네와 마르크스의 우정에 대하여」에서 (1895)
3. 폴 라파르그, 「마르크스를 회상하며」에서 (1890)
4. 프란치스카 쿠겔만, 「마르크스의 위대성의 몇 가지 특징」에서 (1928)
■ 엮은이 후기 - 마르크스·엥겔스의 유물론적 미학과 리얼리즘의 이해를 위하여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