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김대웅 (옮긴이)
미다스북스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1,600원
27,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3개 5,5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마르크스주의 > 마르크스주의 일반
· ISBN : 9788966373758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5-04-22

책 소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미학에 관한 어떤 체계적인 이론을 정립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들이 남긴 저작들 속에서 그들의 미학 이론을 찾아볼 수 있다. 그들은 과학적·혁명적 세계관의 논리적 연장선상에서 예술의 본질과 기원 및 발전, 그 사회적 임무와 목표를 설명했던 것이다.

목차

■ 머리말

1부_ 문학·예술 이론

제1장 미적 감성의 기원과 특징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을 위하여』에서 (1859)
3. 마르크스, 『자본론』에서 (1867)
4. 엥겔스, 『원숭이에서 인간으로의 진화과정에서 노동의 역할』에서 (1876)

제2장 자본주의적 소외와 미적 가치의 왜곡
1. 마르크스, 『프러시아 검열관에게 내려진 새 훈령에 대한 논평』에서 (1842)
2. 마르크스, 『언론의 자유에 대한 논쟁』에서 (1842)
3.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4. 마르크스, 『전자본주의적 경제구조』에서 (1858)
5. 마르크스, 『잉여가치학설사』에서 (1861?62)
6. 엥겔스, 『자연변증법』에서 (1876)

제3장 과학적 사회주의와 예술적 탈소외의 도래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엥겔스, 『독일이데올로기』에서 (1845?46)
3. 마르크스?엥겔스, 『공산당선언』에서 (1848)
4. 엥겔스, 『주택문제』에서 (1872)

제4장 문학과 계급적 가치
1.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2. 마르크스?엥겔스, 『독일이데올로기』에서 (1845?46)
3. 엥겔스, 『운문과 산문에 나타난 독일사회주의 Ⅱ』에서 (1847)
4. 엥겔스, 『드 라마르틴의 선언』에서 (1847)
5. 마르크스, 『혁명운동』에서 (1849)
6. 마르크스, 『프랑스에서의 계급투쟁: 1848?1850』에서 (1850)
7.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1852)
8.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을 위하여』 서문에서 (1859)
9. 엥겔스, 『포이에르바하와 독일고전철학의 종말』에서 (1886)
10. 엥겔스, 파울 에른스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6. 5)
11. 엥겔스, 폴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8. 27)
12. 엥겔스, 콘라트 슈미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0. 10. 27)
13. 엥겔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의 제4판 서문에서 (1891. 6. 16)
14. 엥겔스, 『공산당선언』의 이탈리아어판 서문에서 (1892. 2. 1)

제5장 예술적 가치의 계급적 수용
1.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에서 (1852)
2.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1. 7. 22)
3. 엥겔스, 프란츠 메링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3. 7. 14)
4. 엥겔스, 로라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93. 9. 18)

제6장 리얼리즘의 문제
1. 마르크스, 『영국의 중간계급』에서 (1854)
2.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8. 11. 24)
3.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4. 19)
4. 엥겔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5. 18)
5. 마르크스, 나네트 필립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1. 3. 24)
6. 엥겔스, 로라 라파르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3. 12. 13)
7. 엥겔스, 민나 카우츠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5. 11. 26)
8. 엥겔스, 마가렛 하크니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8. 4월 초)

제7장 경향문학
1.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2. 엥겔스, 《뉴욕 데일리 트리뷴》 지에서 (1851. 10. 28)
3. 마르크스, 요제프 바이데마이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2. 1. 16)
4.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6. 5. 8)
5.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프라일리그라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0. 2. 29)
6.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3. 5. 29)
7. 엥겔스, 마르크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6. 5. 29)
8. 엥겔스,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1. 8. 17)
9. 엥겔스, 베오르그 베르트의 시에서 (1883)
10. 엥겔스, 헤르만 슐뤼터에게 보낸 편지에서 (1885. 5. 15)

제8장 인간의 기본가치의 표현과 지속성
1.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2. 마르크스, 『경제학?철학초고』에서 (1844)
3. 마르크스, 『신성가족』에서 (1845)
4. 마르크스, 『정치경제학비판 강요』에서 (1857)

제9장 형식과 문체
1. 엥겔스, 빌헬름 그래버에게 보낸 편지에서 (1839. 10. 8)
2. 마르크스, 엥겔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4. 10. 26)
3. 마르크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4. 19)
4. 엥겔스, 페르디난트 라살레에게 보낸 편지에서 (1859. 5. 18)
5. 마르크스, J. B 슈바이처에게 보낸 편지에서 (1865. 1. 24)

2부_ 문학·예술과 사상의 역사

1장 고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인류문화의 여명
신화와 서사시의 시작
샘족의 서사시적 전통
호메로스의 시에 나타난 고대 그리스 사회
그리스 비극(悲劇)

2장 중세의 사상과 문학예술
게르만 문화
고대와 중세문학에서의 사랑
바그너와 독일의 구전 서사시
지그프리트 전설과 독일 혁명운동
고대 아일랜드 문학
고대 스칸디나비아 서사시
중세 초기의 덴마크 시가
롤랑의 노래
프로방스 문학
기사의 연애 시
영국의 농민 평등사상
독일의 민중서적들
3장 르네상스 시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고대세계의 종말(300년)과 중세의 종말(1453년)의 상황적 차이
단테에서 가리발디까지의 이탈리아 문화
단테
페트라르카
복카치오
티치아노
종교개혁 시기의 촌뜨기 문학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의
토마스 모어
셰익스피어
칼데론
세르반테스

4장 근대의 사상과 문학예술
고전극의 삼일치
라 로슈푸코
계몽주의의 역사적 의의
백과사전파의 유물론
계몽주의와 변증법
볼테르
디드로
루소
과거의 관점에서 본 자본주의 진보에 대한 비판과 봉건적 사회주의
왕정복고 시대의 작가들

5장 프랑스의 문학
아베 프레보
샤토브리앙
알렉상드르 뒤마
라마르틴
빅토르 위고
유젠느 쉬
유젠느 쉬의 소설 『파리의 비밀』에 대한 비판적 분석
오노레 발자크
피에르 뒤퐁
아르튀르 랑
조제프 르낭
에밀 졸라
기 드 모파상

6장 영국과 아일랜드의 문학
대니얼 디포
조나탄 스위프트
알렉산더 포프
셸리와 바이런
월터 스코트
영국 노동자 시인 미드
토마스 칼라일
19세기 중반의 영국 리얼리즘 작가들
윌리엄 칼튼
버나드 쇼
에이블링
윌리엄 모리스

7장 독일문학
17세기 중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의 독일과 독일문화의 상황
쉴러
괴테
하이네
‘청년독일파’
알렉산더 융
칼 베크
프라일리그라트
게오르그 베르트
노동자 계급운동에서의 탁월한 인물. 요한 필립 베커
8장 러시아어와 러시아 문학
러시아어
이고리 원정기
로모노소스 슬라브어와 언어학
제르쟈빈
푸시킨
체르니셰프스키와 도브롤류보프
학자 또는 비평가로서의 체르니셰프스키
체르니셰프스키와 러시아 농촌공동체
혁명가로서의 체르니셰프스키
시체드린
플레로프스키

■ 부록
1. 엘레노어 마르크스, 「모어를 회상하며」에서 (1895)
2. 엘레노어 마르크스, 「하이네와 마르크스의 우정에 대하여」에서 (1895)
3. 폴 라파르그, 「마르크스를 회상하며」에서 (1890)
4. 프란치스카 쿠겔만, 「마르크스의 위대성의 몇 가지 특징」에서 (1928)

■ 엮은이 후기 - 마르크스·엥겔스의 유물론적 미학과 리얼리즘의 이해를 위하여
■ 참고문헌

저자소개

카를 마르크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818년 5월 5일 독일 트리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을 마치고 1835년에 본 대학에 진학해 법학을 전공했다. 아버지의 압박으로 베를린 대학으로 전학해 철학을 공부했다. 이곳에서 헤겔 철학을 연구하며 청년헤겔파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진보적 성향이 덜한 예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땄다. 1842년 <라인신문>에서 일하기 시작해 편집장이 되었다. 마르크스는 사설을 통해 프로이센 정부와 언론의 검열을 매섭게 비난했다. 그 결과 신문은 이내 폐간됐다. 1843년 프랑스 파리로 이주해 정치경제학과 프랑스혁명의 역사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때 <경제학·철학 초고> <헤겔의 법철학 비판> 등의 원고를 썼다. 파리에서 프로이센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쓰다가 프랑스에서 추방되어 벨기에 브뤼셀로 이주했다. 이 무렵 <철학의 빈곤> <자유무역에 대하여>의 원고를 썼다. 1847년 파리에 거주하는 독일 출신 노동자를 중심으로 생겨난 조직 ‘정의 동맹’의 요청을 받고 강령에 해당되는 글을 작성했다. 바로 <공산당 선언>이다. 프랑스를 시작으로 유럽 전역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파리로 잠시 피신했다가 쾰른으로 돌아갔다. <신라인신문>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문을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임금노동과 자본>은 노동자를 일깨우기 위한 글로, 이 신문에 다섯 편으로 나뉘어 실렸다. 정부 탄압을 받던 <신라인신문>은 이내 기소당해 마르크스는 추방 명령을 받고 영국 런던으로 망명했다. 이곳에서 어려운 생계를 꾸리며 경제학을 연구했다. 1851년 유럽 특파원으로서 영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의 사정을 분석하는 기사와 사설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이후 몇 년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 <정치경제학 비판> 등을 집필했다. 49세 되던 해에 《자본》이 출간됐다.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사회주의 자치정부인 파리 코뮌이 수립됐으나, 정부군 진압과 학살로 무너졌다. 마르크스는 파리 코뮌의 기록과 의의를 적은 《프랑스 내전》을 썼다. 국제노동자연맹을 이끌며 아나키스트파와 내분을 겪기도 하고, 독일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강령을 비판하는 등 사회적 활동을 이어 갔다. 1883년 3월, 엥겔스가 잠시 자리를 비운 새 조용히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프리드리히 엥겔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로이센의 바르멘에서 부유한 공장주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나지움 졸업을 1년 앞두고 중퇴한 후 아버지의 회계 사무소를 거쳐 3년 동안 브레멘의 수출회사에서 일한다. 이 시기에 자유주의나 혁명 관련 서적을 읽으며 헤겔의 변증법을 받아들였다. 1841년부터 1년간 베를린에서 군복무를 하는 동안 베를린 대학의 다양한 강의를 청강했으며, 소장 헤겔학파와 가깝게 지냈다. 1842년 아버지의 방적 공장이 있는 맨체스터로 가는 도중 쾰른에 들러 《라인 신문》에서 일하던 마르크스와 처음 만난다. 방적 공장에서 조수로 일하며 노동자 계급의 현실을 알게 되었고, 이는 후에 자본주의의 모순을 연구해 《1844년 영국 노동 계급의 상황》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1844년 마르크스가 편집하던 《독불 연보》에 〈국민경제학 비판 개요〉와 〈영국의 상태〉 등의 논문을 기고하여 자유주의 경제 이론의 모순을 폭로했고 혁명에 대한 전망을 내놓았다. 이후 마르크스와 《독일 이데올로기》, 《공산당선언》 등을 함께 작업하면서 평생 동안 변함없는 동지가 된다. 1848년 혁명의 와중에 마르크스가 설립한 《신라인 신문》에 글을 썼고, 1849년에는 독일의 바덴과 팔츠에서 혁명 전투에 직접 참여했다. 혁명이 실패한 후 그는 맨체스터로 돌아와 군사와 전쟁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쓰기도 했다. 1883년 마르크스가 사망하자, 엥겔스는 마르크스가 남긴 저작들을 검토하고 새로 번역하는 등의 작업을 맡았다. 이 과정에서 마르크스가 미국 인류학자 모건의 《고대 사회》를 발췌해놓은 것을 보고, 마르크스의 비판적 주석을 참조하며 모건의 연구 결과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결과물이 《가족, 사적 소유, 국가의 기원》이다. 《자본론》 2, 3권 역시 엥겔스가 고인의 노트를 정리하여 출간한 것이다. 1895년, 런던에서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펼치기
김대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 전주 출생으로 전주고와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나와 문예진흥원 심의위원, 영상물등급위원회 심의위원 등을 지냈다. 지금은 충무아트홀 갤러리 자문위원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영어잡학사전》 《커피를 마시는 도시》 《그리스 신화 속 7여신이 알려주는 나의 미래》 《제대로 알면 더 재미있는 인문교양 174》 등이 있으며, 편역서로 《배꼽티를 입은 문화》 《반 룬의 세계사 여행》이 있다. 번역서로는 《마르크스 전기》(1, 2) 《마르크스 엥겔스 주택문제와 토지국유화》 《마르크스 엥겔스 문학예술론》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루카치 사상과 생애》 《영화 음악의 이해》 《무대 뒤의 오페라》 《패션의 유혹》(공역) 《여신들로 본 그리스 로마 신화》 《상식과 교양으로 읽는 영어 이야기》 《레오나르도 다빈치》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6373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