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방송학 개론

방송학 개론

(2013년 개정판)

정상윤, 이진로, 한진만, 정회경, 황성연, 이정택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4,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500원 -0% 0원
730원
2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9,600원 -10% 980원 16,660원 >

책 이미지

방송학 개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방송학 개론 (2013년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66801596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13-02-20

책 소개

급변하는 방송 환경을 따라잡기 위해 개정판이 나온 지 1년 만에 다시 개정판이 나왔다. 방송학 강의 전담 교수진과 방송인이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방송의 이론과 사례를 알기 쉽게 설명한다. 2011년판에서는 최신 데이터와 사례로 업데이트하였고, ‘방송의 미래와 기술’을 별도의 장으로 소개했다.

목차

2013년 개정 3판 서문 v

PART 1 방송의 영역

01 방송의 개념과 범위 3
방송의 개념 3
방송의 이념과 공익성 11
방송 공익성의 실천적 개념: 좋은 방송 17

02 방송의 역사 25
세계 방송 역사 25
한국 라디오방송 역사 28
한국 텔레비전방송 역사 34

03 방송 현황 45
지상파방송 45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System Operator) 50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 52
위성방송사업자 56
이동형멀티미디어방송(DMB) 58

PART 2 방송의 내용

04 방송과 규제 67
방송 규제에 대한 논의와 규제기구 67
방송의 진입규제와 소유규제 76
방송의 소유규제 80
방송의 내용규제 84

05 방송과 편성 98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98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103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편성 120

06 방송조사 124
방송조사의 개념 124
양적 조사: 시청률 조사 126
질적 조사: 프로그램 품질 평가 조사 144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연계 148

PART 3 방송의 경영

07 방송사의 조직과 구성 155
방송 조직 155
방송사의 조직 구성 164
방송사의 인력 구성 167
방송 조직의 변화 173

08 방송사 경영 환경 178
방송시장의 구조 178
한국 방송사들의 경영 구조 180
시장 개방에 따른 방송 경영의 변화 186

09 방송과 광고 193
방송광고의 특징 193
미디어별 방송광고의 특징과 유형 194
방송광고의 집행 204
방송광고의 변화 212

PART 4 방송의 환경

10 방송의 사회적 영향 223
방송과 생활 224
방송의 기능 229
방송의 사회적 쟁점 233
방송의 효과에 관한 이론 243
한류와 방송의 세계화 248

11 방송과 정치 255
방송과 미디어 정치 256
선거와 방송 257
방송의 여론조사 보도 266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과 민주주의 270

12 방송과 시청자 278
시청자 주권 278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시청자 주권 281
외국의 시청자 운동 283
한국의 시청자 운동 287
방송 모니터링 이론과 실제 292
방송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296

PART 5 방송의 미래

13 방송통신 융합 환경의 이해 307
융합의 개념과 동인 307
융합의 차원 310
방송의 디지털화 312
방송 디지털화의 파급효과 320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와 미디어 공익성 324

14 뉴미디어의 특성과 유형 332
뉴미디어의 특성 332
뉴미디어의 유형 334
뉴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346
뉴미디어 사업자 간의 갈등 사례 349
뉴미디어의 민주적 이용을 위하여 352

15 방송 기술의 이해 356
방송 매체와 방송 기술 356
방송 시설 363
디지털방송의 기술적 특성 371
방송 기술의 발전 382

저자소개

정상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언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페어리디킨슨대학교 교환교수, 한국방송학회 지역방송연구회 회장, 한국지역언론학회 회장, 부산경남언론학회 회장을 거쳐 2008년 현재 경남대학교 신문방송정치외교학부 교수다. 지역방송과 함께 방송통신융합 현상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방송통신융합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지역방송 사정이 더 어려워지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이라고 한다. 저서: 『세계의 지상파방송사 경영전략』(공저), 『방송통신융합과 지역방송』(공저) 논문: “방송기술의 디지털화에 따른 방송 제작 인력의 직무변화와 방송학교육의 변화방향연구”, “방송통신융합서비스 정책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유형과 갈등관리: IPTV 사례를 중심으로”
펼치기
이진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론정보(구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 석사학위를, 경희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으로 그리고 부경대학교에서 과학기술정책학으로 각각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통신위원회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 및 영산대학교 성심교양대학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정보사회의 이데올로기』, 『정보사회의 윤리와 현실』, “미국의 언론자유 사상 연구”, “미디어에 있어서 공정성 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한진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 취득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역임 방송위원회 방송편성정책자문단 단장 역임 한국방송학회 회장 역임 방송통신위원회 지역방송발전위원회 위원 역임 언론중재위원회 중재위원(강원중재부) 역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겸 정보과학대학원장 역임 KBS 이사 역임 현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주요 논저 「한국 텔레비전 내용의 다양화에 대한 연구」(1989) 「방송환경 변화와 지상파 텔레비전 편성의 다양성 변화」(2010) 「종합편성채널의 편성 변화」(공저, 2016) 『21세기 한국방송의 좌표』(공저, 2002) 『한국 라디오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연구』(공저, 2004) 『디지털 방송 미디어론』(공저, 2005) 『디지털 시대의 방송편성론』(공저, 2006) 『한국방송 80년, 그 역사적 조명』(공저, 2008) 『방송학 개론』(공저, 2008)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공저, 2011) 『새로운 방송론』(공저, 2017) 외 다수
펼치기
정회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SMIT) 교수다. ≪중앙일보≫ 기자와 영국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칼리지 방문연구원을 거쳐 한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했고, 현재 새공공영상문화유산정책포럼 이사, 대한민국열린정부위원회 국민참여분과위원장, 한국HCI학회 부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바일과 여성 』(2015),『PAIRS 문제를 해결하는 융합리서치』(2015),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 』(2014), 『영상미디어교육의 이해 』(2013), 『미디어 경영 경제 』(2013)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공공 영상 아카이브 연구에 집중해 “미디어 공공성 구현을 위한 방송영상아카이브 플랫폼 효과 연구: 매클루언의 미디어 테트라드 이론을 기반으로”(2024), “국내 공공 방송·영상 아카이브 설립을 위한 이용자 수요 분석”(2022), “국내 공공 방송·영상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해외 사례 분석”(2019) 등을 발표했다.
펼치기
황성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청 지표 조사 회사 닐슨미디어코리아에서TV-PC-모바일의 이용 행태를 측정하고 비교 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통합 콘텐츠 이용 지표와 통합 광고 효과 산정 체계 를 구축하고 합리적인 미디어 전략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한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수료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수용자, 특히 미디어 수용 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펼치기
이정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ENSAE(국립고등항공우주공대)에서 우주통신전공(Mastere), INPT(국립뚤루즈종합공대)에서 영상신호처리 D.E.A.를 받았다. 아주대학교에서 전자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고, 서울산업대학교와 MBC아카데미에서 강의했다. 한국방송공학회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2008년 현재 MBC 보도기술부장이다. 1986년부터 지금까지 방송기술 분야에서 엔지니어로 일했다. 케이블/위성 채널회사인 MBC 플러스의 전체 방송시설 설계 구축을 총괄했고, MBC 기술연구소에서 FM데이터방송 서비스의 상용화를 주도했다. 뉴미디어에 관심이 많아 디지털방송, 데이터방송 등 뉴미디어 도입정책 연구에 여러 번 참여했다. 저서: 『텔레비전 신호의 측정과 분석』(공저), 『텔레비전 방송기술』(번역) 연구: 디지털AM정책연구(정통부), DTV방송의 데이터서비스(방송문화진흥회), 지상파DTV서비스 구현(ETRI) 등
펼치기

책속에서

라디오방송 역사
1880년대 말 무렵 헤르츠(Heinrich Rudolph Herz)가 연결선을 이용하지 않고도
에너지가 두 지점 간에 보내질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보였다. 이러한 전송은 오늘
날에는 라디오 에너지 또는 전자에너지로 알려진 ‘헤르츠파(herz wave)’에 의한
것이다.
이탈리아의 마르코니는 헤르츠의 실험에 흥미를 가지고 라디오에 관한 지식을 발
전시키는 데 가장 열성적인 사람 중의 하나였다. 그는 알파벳 글자를 대신하여 에
너지를 길고 짧게 연속적으로 발사하는 무선통신 방법을 발명하였다. 정작 이탈리
아에서 그의 연구에 관심을 보이지 않자 영국으로 건너간다. 당시 영국은 세계적
으로 널리 퍼져 있는 식민지 조직과 해상국으로서의 전통 때문에 마르코니의 새로
운 통신 매체 개발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기본 특허권을 획득한 마르코니는 영국에 이어 미국에도 자회사 ‘미국 마르코니 무선전신회사’를 설립하면서 초기
라디오 발전을 주도하였다.
-2장 방송의 역사에서


한미 FTA 체결과 방송 분야 영향
2012년 3월 15일 한미 FTA가 발효됨에 따라 방송계는 커다란 변화에 직면하게 되
었다. 우선 외국과 관련된 조항들이 변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외국인의 소유
규제와 국산 영화 방영 비중과 1국가 콘텐츠 방영 비율, 국산 애니메이션 방영 비
중 등 편성 내용에 커다란 변화가 있게 되었다.
한미 FTA 발효로 채널사용사업자(PP)에 외국인의 간접투자가 100% 허용된다. 현
행 방송법에서는 외국인의 직접투자를 49%로 제한하고 있으며 간접투자는 50%
까지만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는 외국의 거대 자본이 국내 법인에 투자한
뒤, 해당 법인을 통해 국내 방송사업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 4장 방송과 규제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82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