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앞으로 모든 산업은 플랫폼과 콘텐츠로 융합된다)

김경달, 황성연, 강정수, 한정훈, 임상훈, 이성민 (지은이)
이은북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000원 -10% 650원 11,050원 >

책 이미지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앞으로 모든 산업은 플랫폼과 콘텐츠로 융합된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91053180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22-10-15

책 소개

소셜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콘텐츠의 시대다. 앞으로 모든 산업은 플랫폼과 콘텐츠에 집중될 것이다. 늘 앞서가는 미디어 트렌드를 소개했던 <유튜브 트렌드> 시리즈가 더 풍부해지고, 새롭게 돌아왔다. 소셜미디어의 지각변동부터 유튜브 동영상 트렌드와 OTT의 ‘TV화’ 현상, 그리고 게임과 콘텐츠 IP 산업 전망까지 디지털의 역동적인 변화를 한 권으로 살펴본다.

목차

프롤로그
디지털 미디어 기반과 산업군이 접목되는 융합 현상, 어떤 시각으로 풀어야 할까?

PART 01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2023 지상 집담회

- 김경달, 황성연, 강정수, 한정훈, 임상훈, 이성민
•미디어 이용자 행태 변화
•유튜브를 중심으로 살펴본 미디어 시장의 변화
•2023년 소셜 미디어의 지각변동
•OTT의 ‘TV화’와 방송 시장의 변화
•게임과 NFT, 변화의 흐름
•콘텐츠 IP 시대, 트렌드 읽기

PART 02
미디어 이용자 행태 변화 : 황성연

- 알고 있지만 알지 못한 것들

•젊은 세대, 젊은 노인, 그리고 젊음 공동체
•여가 시간, 미디어 이용 시간, 그리고 상대적 불변의 발견
TV 시청 행태 변화 / 스마트폰 / PC
•용어의 엄밀성과 데이터 리터러시
•알고 있는 것을 잊지 않으려면

<보너스 페이지>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알려준 드라마 시청 습관의 변화

PART 03
유튜브, 지금이 전성기다! : 김경달

- 유튜브를 통해 살펴본 동영상 미디어 시장 변화

•유튜브 전성기와 틱톡의 공세
•No! 유튜브는 지금 압도적이며 계속 성장 중이다
•유튜브 문법의 대중화, 유튜브스러운 방식의 확산
1) 상호작용 창의성(interactive creativity)
2) 라이브 창의성(live creativity)
3) 쇼츠 창의성(shorts creativity)
4) 멀티포맷 창의성(multi-format creativtity)
5) 하우투 창의성(how-to creativity)
6) 인덱싱 창의성(indexing creativity)
7) 몰입감을 주는 창의성(immersive creativity)

•한국 유튜브 분야별 현황 살펴보기: 카테고리별 Top 10 채널
1) 게임 2) 음악 3) 푸드/먹방 4) ASMR 5) Vlog/일상 6) 뷰티
7) 패션 8) 엔터테인먼트 9) 여행 10) 펫/동물
11) 영화/애니 12) FUN 13) 경제 14) IT/과학기술 15) 스포츠
16) 키즈 17) 자동차 18) 뉴스 19) 시사/정치 20) 지식/정보

PART 04
2023 소셜 미디어 지각변동 : 강정수

소셜 미디어의 분화, 커머스와 사회적 신분제로 발전하다

•2023년, 소셜 미디어 지각변동이 구체화된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변화로 본 소셜과 미디어의 분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 위험을 감내하는 이유
•메타버스 전략에 차질을 빚고 있는 메타
•숏폼이 대세! 틱톡의 새로운 추천 알고리듬과 성장 방향
•콘텐츠 그래프부터 광고 집행 비용까지, 틱톡의 성장 요인 분석
•검색의 변화와 온라인 활동의 사회적 신분화 현상
•소셜과 커머스를 연결하다! 링크 인 바이오 서비스의 확장
•메타버스의 새로운 진화, 웹 3.0 메타버스의 다양한 확장
•사회적 신분 상징으로서의 NFT
•브랜드들의 메타버스 프로젝트 사례
•웹3.0 메타버스 전략 실현을 위해 브랜드에 필요한 것

PART 05
OTT의 ‘TV화’와 방송 시장의 변화 : 한정훈

2023년, OTT가 새로운 TV를 만드는 원년

•팬데믹 이후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의 변화
•넷플릭스, 광고시장 진출로 돌파구 모색
•디즈니, 미디어 기업과 애드 테크 기업의 결합으로 시너지 예상
•스트리밍이 바꾸는 TV 광고 시장
•무료 스트리밍 시장의 성장 방향은?
•2022년 미국 OTT 시장에 나타난 주목할 만한 이슈 두 가지
•2023년은 ‘한국 콘텐츠의 해’

PART 06
게임과 NFT, 변화의 흐름 : 임상훈

라이브 게임, 게임 IP, 신흥 게임시장의 확장과 NFT, 2023년의 새로운 성장 방향

•게임 산업의 겨울, 모바일 게임의 확장과 다른 게임 영역의 축소
•글로벌 기업의 인수·합병, 게임 구독 전쟁
•중국 게임 굴기, 게임에서도 미국과 양강을 겨룬다
•인기 라이브 서비스 게임은 계속 잘나간다
•클래스는 영원하다! IP 기반 비즈니스는 멈추지 않는다
•서브컬처, 이제 대중문화 빅 마켓을 노린다
•리니지라이크, 변주는 있더라도 ‘그들만의 리그’는 계속된다
•부익부 빈익빈은 더 가속화, 돌파구 찾기 노력은 계속된다
•인도, 튀르키예 등 신흥 게임 시장이 떠오른다
•NFT 게임, 변곡점일까 거품일까? 판단의 시간이 온다

PART 07
콘텐츠 IP 시대, 트렌드 읽기 : 이성민

매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콘텐츠 IP 시대가 열리다

•콘텐츠 IP 시대의 시작, 혼란 속에서 길 찾기
•흐름 읽기: 2022년, 콘텐츠 IP 활용의 확장이 일어나다
웹툰-웹소설 활용 영상화의 확대 / 영상IP의 확장(시즌제, 스핀오프, 포맷) / 콘텐츠 IP를 활용한 / 커머스 시장의 확대 / IP 소비의 세대 확장(잔망루피, 포켓몬)
•구조 변화: 콘텐츠 IP 비즈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
원천 IP의 권리화 / 이야기 IP 가치 사슬(스튜디오 시스템의 확대) / 라이선싱 IP 가치 사슬(팬덤-커머스 플랫폼의 성장)
•변화 읽기: 콘텐츠 IP 산업의 변화 방향
글로벌 슈퍼 IP 확장의 본격화 / 마이크로 IP의 성장에 대한 기대 / 콘텐츠 IP 권리에 대한 민감성 확대
•나가며: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콘텐츠 IP 중심의 변화에 올라타기 위하여

저자소개

황성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청 지표 조사 회사 닐슨미디어코리아에서TV-PC-모바일의 이용 행태를 측정하고 비교 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통합 콘텐츠 이용 지표와 통합 광고 효과 산정 체계 를 구축하고 합리적인 미디어 전략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한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학사·석사·박사를 수료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수용자, 특히 미디어 수용 자의 미디어 이용 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펼치기
임상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게임과 미디어를 아우르는 폭넓은 시각을 가진 게임 전문가다. 신문사 게임 담당 기자를 거 쳐2005년 게임 전문 매체를 창간했다. 한국 온라인 게임의 여명기인1999년부터 국내외 게임사와 업계 인사들의 부침을 가까이서 지켜봐왔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하이프(설레발) 를 경계하게 됐으며, 게임 산업의 변곡점과 지속가능성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는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게임사들과 게임 생태계 동향을 집중 조명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중년게이머 김실장'과'깨쓰통 대폭발'을 운영하며, 2016년부터 게임스컴 어 워드 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김경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디어 분야의 경험이 많고 새로운 시도를 좋아한다. AI 솔루션을 개발, 운영중인 스타트업의 공동창업자이자 인공지능(AI)과 비즈니스 등을 다루는 매체 ‘The Core’의 대표 겸 발행인으로 재직중이다. 고려대 미디어대학원 겸임교수로'AI와 저널리즘'을 강의중이다.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와 뉴 욕대(NYU) 대학원을 졸업했다. 동아일보 기자 및 네이버 등 인터넷 포털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모바일 콘텐츠 회사, 네오터치포인트를 창업해 운영했고KBS 등 다수의 미디어와 기 업에서 뉴미디어 자문활동을 했다.
펼치기
한정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난 23년 간 미디어 기자로 일하고 있다. 현재는 미국과 한국을 오가며 AI, 미디어, 스트리밍, 엔터 테크 분야를 집중 취재하고 있다. 엔터테크 전문 뉴스 미디어 다이렉트미디어랩을 창업했고, 이후 크로스보더 스튜디오 K엔터테크허브를 이끌고 있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오디언스를 넓히는 테크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다. 2019~2020년 미국 네바다 리노 네바다 주립대학교(UNR) 저널리즘 스쿨(레이놀즈)에서 방문 교수로 일했다. 네바다주립대학교와는 글로벌 저널리즘 스쿨, 저널리스트 디벨롭먼트 코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 이외 하와이대학교 한국어학과, 인디애나대학교 한국어학과 등과 교류하며 글로벌 세미나 및 이벤트를 벌이고 있다. 『스트리밍 전쟁』(2020), 『뉴 인플루언서』(2021), 『AI 시대 엔터테인먼트의 미래』, 『디지털 인사이트 2025』(공저)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이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부교수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문화정책 분야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재직했다. 문화체육 관광부 문화다양성위원회 민간위원을 맡고 있으며,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 전 문위원, 한국방송학회 총무이사, 한국언론학회 연구이사 등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 『한류 탐색: 역사와 이론』(공저, 2024), 『언론산업 인공지능(AI) 활용방안 연 구』(공저, 2023),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공저, 2022), 『오징어 게임과 콘텐츠 혁명』(공 저,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강정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블루닷 에이아이에서 AI 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연세대학교 독문과를 졸업한 후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 및 석사를, 비텐-헤어데케 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전문 연구원과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특임 교수를 거쳐, 미디어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및 투자회사 ㈜메디아티의 CEO로 활동했다. 2019년부터 2년간 대통령 비서실 디지털소통센터장을 맡았고, 현재는 ‘AI 경제’ 및 ‘디지털 전략’을 주제로 다양한 기업과 언론에서 강의하고 있다. 《생성 AI 혁명》, 《디지털 미디어 인사이트》, 《테슬라 폭발적 성장 시나리오》, 《보이스 퍼스트 패러다임》, 《알고리즘 사회》 등의 공저자이며, 《당장 써먹는 틱톡 마케팅》 저자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변화한 일상으로 모든 매체의 이용 시간이 증가했지만, 측정한 매체의 이용 시간에서 각각이 차지하는 비중은 큰 변화가 없었다. 다시 말해 코로나19로 늘어난 여가 시간에 사람들은 특정 매체로 집중된 것이 아니라 관성대로 미디어를 사용했다. 이는 여가 시간 내에서 미디어 이용 시간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미디어 이용 시간의 상대적 불변이론(principle of relative constancy)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PART 2. 미디어 이용자 행태 변화_ 여가 시간, 미디어 이용 시간, 그리고 상대적 불변의 발견


퓨 리서치 센터에서는 미국 10대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이용 행태 변화를 조사한 후 그 결과를 〈Teens, Social Media and Technology 2022〉라는 리포트로 발표했다.
유튜브의 사용은 95%로 홀로 우뚝 서 있는 형국이다. 특히 20%가량의 10대는 ‘거의 지속적으로(almost constantly)’ 유튜브에 접속하고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PART 3. 유튜브, 지금이 전성기다! _ 유튜브는 지금 압도적이며 계속 성장 중이다


콘텐츠 생산과 소비에서도 ‘유튜브스러운’ 방식이 확산되고 있다. 유튜브에서 함께 경험을 공유하는 ‘with me’ 포맷을 활용한 라이브 스트리밍이 부쩍 늘었고, 영상 시청 초반에 이탈자가 많은 것을 고려해 임팩트가 강한 부분을 영상 첫머리에 배치하는 식의 ‘유튜브스러운’ 작법이 늘어났다. ‘유튜브스러운 작법’에 관련해 필자는 ‘결승전결’을 자주 얘기한다. 이는 통상적 스토리텔링 구조인 ‘기승전결’에서 ‘기’를 빼고 가장 핵심적인 ‘결’을 먼저 보여주는 방식을 말한다.
PART 3. 유튜브, 지금이 전성기다! _ 유튜브 문법의 대중화, 유튜브스러운 방식의 확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105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