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88967350383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3-02-04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부 공론장과 지식인
제1장 사회적 중심의 재건: 근대 중국의 지식인 사회
‘신사사회’에서 ‘지식인사회’로 | ‘지식인사회’의 공적 네트워크: 학교·단체·미디어 | 사회적 중심 재건은 왜 실패했는가?
제2장 ‘소수자의 책임’: 지식인의 사대부 의식
‘기존 관념 속의 중등사회’ | “시대마다 그 시대의 사대부가 있다” | 덕성, 지식, 공론 | 평민주의와 엘리트주의의 기이한 결합
제3장 근대 중국 공론장의 형태, 기능, 자기 이해
근대 중국의 두 공론장 | 상하이 공론장의 형성 | 공론장의 최초 구조와 변천 | 공중 여론에 대한 자기 이해
제4장 도시 공간의 시각에서 본 지식인
도시 공간 네트워크 | 관리형 공론장과 비판적 공론장 | 도시 지식인의 특징 | 지식인 공동체와 공적 의사소통
제5장 특수에서 보편으로-공공 지식인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 지식인과 미디어 지식인의 출현 | 지식계의 토론과 공공성 재건의 노력 | 보편적 지식인의 허구성 | 특수한 지식인은 가능한가? | 특수에서 보편으로 향하는 공공 지식인의 이념형
제2부 근대 중국의 사상적 전통
제6장 근대 중국의 자유주의 전통
수정자유주의 사조 | 주류가 된 사회민주주의 | 두 자유주의자 | 전후의 자유주의 운동 | 최후의 한 줄기 빛
제7장 자유와 공정 사이에서: 중국의 사회민주주의
19세기 자본주의 문명의 위기 | 자유방임: 자본주의의 폐해 | 계획경제의 환상 | 자유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사회공정의 원칙 | ‘영국·미국 배우기’와 ‘소련 배우기’
제3부 세속시대의 정신적 가치
제8장 자유주의와 공화주의 사이에서
두 가지 자유 | 두 민주주의 | 자유주의: ‘약한 민주주의’ | 공화주의적 민주주의의 의미 | 제3의 민주주의는 가능한가? | 일반의지와 집단적 정체성 | 시민과 공민
제9장 세속화와 초월세계의 해체
세속화가 가져온 물질구원주의 | 초월세계 해체 이후
제10장 세속사회에서 중국인의 정신생활
중국 세속화의 역사적 변천 | 세속사회의 물욕주의 | 자기중심적이고 공덕 없는 개인 | 세속 시대의 정신생활 | 공공문화와 핵심 가치
제4부 새로운 세기, 계몽과 그 반대자
제11장 계몽은 어떻게 기사회생하는가?
계몽이 직면한 3대 도전 | 계몽의 내재적 복잡성 | 차축시대 문명과 초기 근대성 | 근대성의 보편과 다원
제12장 최근 10년간 중국의 역사주의 사조
1980년대의 보편이성에서 1990년대 계몽의 역사화로 | 보편성에의 도전: 역사주의의 발흥 | 보편성 쟁탈: 중국 부상을 배경으로
제13장 부강의 부상인가? 문명의 부상인가?
부강을 향하여: 서양 정신의 승리 | 문명의 부상: 중국은 제대로 준비했는가?
옮긴이 해제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