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두 거장의 충돌하는 심리학)

와다 히데키 (지은이), 이민연 (옮긴이)
에쎄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10,800원 -10% 2,500원
0원
1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두 거장의 충돌하는 심리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88967353018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16-02-15

책 소개

20세기 심리학의 아들러와 프로이트, 그리고 카를 융의 이론을 비교하는 동시에 그들 이후 21세기 심리학을 이끌어온 세계적 심리학자들의 이론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책이다. 저자는 현대 심리학의 여러 이론을 설명하며 그 이론을 뒷받침한 대표적인 실험들을 예로 든다.

목차

머리말

서장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 왜 지금 아들러 심리학인가

심리학의 두 가지 커다란 목적
차이는 ‘어떤 마음’을 취급하는가에 있다
‘마음’을 대상으로 하는가, ‘뇌’를 대상으로 하는가
‘마음은 뇌에 있다’는 착각
마음에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있다
종교의 영역이었던 임상심리학
최면술에 서툴렀던 프로이트, 그로 인해 탄생한 ‘정신분석’
예전만 못한 프로이트의 위상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현대인에게 효과가 없는 이유
‘무엇을 위해’ 그런 행동을 하게 되었는가
‘원인론’에서 ‘목적론’으로: 오늘날 심리치료의 주류

제1장 두 심리학의 만남 - 공동 연구자로서의 프로이트와 아들러
‘콤플렉스=열등감’을 정착시킨 아들러
아들러, 『꿈의 해석』을 높이 평가하다
프로이트, 아들러와 융을 중용하다
마음은 ‘의식·전의식·무의식’의 3층 구조: 국소론 모델
무의식 속에 갇힌 것이 전부 ‘사실’은 아니다?
프로이트, 히스테리 치료에서 ‘성욕’에 주목하다
‘이드·자아·초자아’의 구조론 모델
자아를 단련해서 강한 마음을 만들려면
연구자의 체험과 주관이 이론에 영향을 미친다?
프로이트와 아들러 이론의 근본적인 차이

제2장 충돌하는 심리학 - 그리고 모두 프로이트에게서 멀어졌다?
다윈주의의 영향이 강한 프로이트의 이론
사회적인 영향을 중시한 아들러
프로이트 이론과 선을 그은 ‘개인심리학’의 확립
‘의식’ 수준의 세계를 취급하는 대인관계론
아들러 역시 ‘원인론’에서 출발했다
문제 행동의 ‘목적’은 무엇인가?
행동이 바뀌면 마음도 바뀐다
‘성욕론’에 비판적이었던 융의 속사정?
프로이트에 반기를 든 ‘무서운 제자들’

제3장 부정된 프로이트, 잊힌 아들러
대립하는 프로이트학파, 명맥이 끊긴 아들러학파 076
아동 분석의 선구자가 제창한 ‘좋은 젖’과 ‘나쁜 젖’ 078
‘경계’에 있는 사람의 병리를 명쾌히 설명하다 080
신경증에서 경계성 인격장애로 ‘고객’을 바꾼 이유 082
하인즈 코헛의 ‘자기애’ 이론과 성격장애 085
인간의 ‘공격성’을 보는 다양한 시각 088
미국에서 코헛 이론이 주류가 된 이유 089
정신분석의 새 물결, 로버트 스토롤로의 ‘조직화 원칙’ 092
아들러의 ‘라이프스타일’이 지닌 현대성

제4장 새롭게 재평가되는 아들러와 프로이트
아들러의 ‘목적론’의 난해함 098
아들러와 모리타 마사타케 100
모리타 요법의 ‘증상 불문’이란? 103
부분보다 전체를 중시한 앞선 생각 105
‘진짜 목적’에 주목하다 10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재조명된 정신분석 110
트라우마의 자각이 증상을 오히려 악화시킨다? 112
오늘날의 주류는 ‘바꿀 수 있는 것을 바꾸는’ 치료 115
마이너스를 극복하고 플러스를 획득하기 118
시대가 아들러와 모리타를 따라잡았다? 121

제5장 심리학은 사람의 마음을 어디까지 치료할 수 있게 되었나?
‘생각의 집착’에서 해방되기 123
아들러의 ‘공동체 감각’에서 배우는 대인관계의 팁 125
감정을 제어하기 위한 지름길 128
의존증은 의지가 망가지는 병 130
사죄 기자회견을 하면서도 쾌감을 느끼는 ‘연기성 인격장애’ 33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136
‘법’은 어디까지 반사회적 인격장애 범죄를 저지할 수 있는가? 138
스토킹의 두 가지 유형 139
거식증보다 과식증을 치료하기 더 어려운 이유 142
‘문제 행동’과 ‘집단 괴롭힘’에 효과가 빠른 대처법 145

종장 프로이트와 아들러로부터 100년
뇌과학만으로는 마음의 구조를 해명할 수 없다 148
항우울제의 위험성 150
우울증의 원인은 세로토닌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152
실증적인 과학으로서의 심리학 153
‘고장난 하드웨어’를 고쳐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154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행복’ 156
심리치료 배후의 동향 158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심리학’이란? 160

맺는 말
주요 참고문헌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와다 히데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노인정신의학 및 임상심리학 전문의로 30여 년 동안 노인정신의학 분야에 종사하며 연구를 계속해오고 있다. 1960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도쿄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도쿄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정신신경과 조수로 근무했으며 미국 칼 메닝거 정신의학학교 국제연구원을 거쳐 현재 ‘와다 히데키 마음과 몸 클리닉’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노인 문제 외에도 심리학,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텔레비전과 라디오 출연, 단행본 집필을 하며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22년 발간한 《80세의 벽》이 아마존 서적 종합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하며 누적 판매 부수 70만 부를 돌파하는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면서 노인정신의학 전문가로서의 명성이 한층 높아졌다. 《80세의 벽: 실천편》, 《70세의 정답》, 《어른의 느슨함》, 《콜레스테롤을 낮추지 마라》 외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이민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대 일어일문학과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루테르학원대학 인문과학 신학과를 졸업했으며 U&J 번역회사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 『센고쿠 시대 무장의 명암』 『생선 요리의 과학』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도해 셰일가스 혁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프로이트는 인간을 특별한 존재로 보지 않았다. 이는 프로이트가 다윈의 진화론(『종의 기원』은 1859년에 출판)으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원숭이로부터 진화했다고 주장하는 다윈주의는 생물 중에서 인간만을 특별한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 진화론이 등장하면서 ‘인간은 동물과 다른 존재’라는 생각은 비과학적인 태도로 간주되었다. 프로이트가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에 주목하게 된 것도 다윈주의의 영향이 컸기 때문일 것이다. 특히 성욕은 ‘동물로서의 인간’에게 매우 근원적인 욕구다. 이는 프로이트뿐 아니라 수많은 정신병리학(마음의 병의 구조를 논할 때, 뇌의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의 문제라고 여기는 학문)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들은 철이 들 때까지 자란 환경이나 양육 방식에 따라 인간 마음의 형태가 정해진다고 본다. 태어나서 수년 동안 무언가 문제가 있으면 성인이 된 후 마음의 병에 걸리기 쉽다는 것이다. (...)
프로이트와는 달리 아들러가 중시했던 ‘열등감’은 갓 태어난 유아에게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열등감은 인간이 어느 정도 사회성을 갖게 된 이후에 마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많은 인간이 서로 관계를 맺으면서 만들어가는 ‘사회’가 없다면 아마 열등감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개나 고양이 같은 동물에게는 열등감이 없다. 열등감은 동물적인 본능과 상관없는 인간 특유의 사회적인 영향에서 비롯된다. 이 열등콤플렉스를 포함하여 아들러의 이론은 사회가 인간의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한다. 그런 점에서 인간을 어디까지나 동물의 한 부류로 생각한 프로이트 이론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발상이다.


프로이트는 자아가 성숙함에 따라 애정의 대상이 세 단계로 바뀐다고 생각했다. 최초의 단계는 ‘자체애’다. 미숙한 아이는 성기나 입 등 자기 몸의 일부를 사랑한다. 그다음은 ‘자기애’로 자신을 사랑하는 단계인데 아직 성숙한 상태는 아니다. 타인을 사랑할 수 있는 ‘대상애’의 단계에 도달하면 마침내 인간으로서 성숙한다. 그러므로 어른이 되어서도 자기애가 강한 사람은 자아를 단련해야 한다. 그렇지만 코헛은 자기애를 버리고 타인에게 일방적인 애정을 쏟아 부을 수는 없다고 생각했다.
물론 자기애가 너무 강해서 타인을 배려하지 않는 나르시시스트의 심리 상태는 미숙하다고 할 수 있지만 타인을 사랑할 수 있는 성숙한 어른이라도 역시 자신을 소중히 여길 것이다. 굉장한 성인 군자가 아닌 이상 타인에게 아무런 대가도 바라지 않고 사심 없는 애정을 보내기는 어렵다.
이에 코헛은 자기애를 두 단계로 나누었다. 프로이트의 ‘자체애’→‘자기애’→ ‘대상애’를 ‘자체애’→‘미숙한 자기애’→‘성숙한 자기애’ 모델로 바꾼 것이다. 최종 단계인 ‘성숙한 자기애’란 기본적으로 타인을 사랑함으로써 자기애를 만족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누군가에게 사랑받고 싶다면 자신도 상대를 사랑해야 한다.


PTSD의 주된 치료 방법은 환자가 과거의 트라우마를 떠올리도록 해서 괴로운 과거에 대한 원망과 고통을 모조리 털어놓게 하는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얻는 ‘카타르시스’를 통해 환자의 마음이 홀가분해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1997년 이런 치료법에 중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목격자 증언Eyewitness Testimony』의 저자로 유명한 여성 심리학자 엘리자베스 로프터스는 PTSD 치료에 관한 실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PTSD 치료를 받은 30명 중 26명이 과거의 트라우마를 떠올렸지만 치료 효과는 낮았다. 과거의 트라우마를 떠올린 전원이 그 후 3년 넘게 치료를 받았고 치료 기간이 5년 이상인 환자도 18명이었다. 결국 트라우마를 떠올린 다음에도 PTSD 증상으로 오랫동안 고통을 받았다는 뜻이다. 게다가 치료 전에는 30명 중 3명이 자살을 시도했는데, 트라우마를 떠올린 뒤에는 20명의 환자가 자살을 시도했을 뿐 아니라 자해 행위도 늘어났다. 더욱 놀라운 것은 30명 전원이 치료를 받은 다음 이혼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니 환자들의 심리 상태가 치료 전보다 나빠졌다고 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면 과거의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하는 것은 ‘잠든 아이를 깨우는 것’과 같다. 카타르시스를 통해 마음이 홀가분해지기는커녕 오히려 환자를 고통스럽게 할 뿐이라는 의미다. 미국에서는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하는 치료 방법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다. 살아남기 위한 ‘마지막 보루’라고 할 수 있는 PTSD 치료에서도 효과를 인정받지 못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은 적어도 미국의 임상 현장에서는 이제 바람 앞의 등불 같은 신세가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