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주는 어머니가 부르는 소리 (식민지 조선에서 성장한 한 일본인의 수기)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735835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11-25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일본사 > 일본근현대사
· ISBN : 978896735835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11-25
책 소개
1927년 한반도에서 태어난 모리사키 가즈에가 그곳에서 지냈던 17년 동안을 다룬 회고록이다. 식민자의 딸로서 자신을 품어준 땅에 대한 개인적 애착과 역사적·민족적으로 짊어져야 할 책임 사이에서 갈등하며 조선에서 지낸 17년간을 회고한다.
목차
한국 독자들께
서장
1장 은하수
2장 창포 잎
3장 왕릉
4장 혼불
여장
후기
모리사키 가즈에 연표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어머니가 저녁식사 준비를 하고 있을 때, 남동생을 안은 그녀와 늘 나를 따라다니는 여동생과 넷이서 논다. 언덕을 내려가 위아래 육군 관사 사이의 넓은 길을 건너 연못가에 갔다. 남동생이 풀 위를 기어다닌다. 나는 여동생과 뽕나무 열매를 땄다. 귀가를 서두르는 조선인 아저씨와 아주머니가 넓은 길을 지나다닌다. “밥 무긋나?” “저 오모니, 뭐라고 했어?” “밥 먹었냐고 했어.” “아직 안 먹었잖아.”
아버지는 어머니에게 김씨 아저씨는 김옥균이라는 조선의 높은 사람의 친척이라고 했다. 또 옛날 임금님의 친척이기도 하고, 부모님은 경성에 산다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김씨 아저씨 댁 아이들은 예의가 바르니까 본받으라고 했다. 여자 아이나 남자 아이나 부모님과 얘기할 때는 똑바로 앉아서 조선말로 이야기를 했다. 나와는 일본어로 이야기했다. 책은 일본어 책이었다.
“여보가 가득하네.” 급우가 말한다. “진짜네. 하지만, 우리 아버지가 여보라고 하면 안 된다고 했어.” “왜? 우리 아버지는 여보라고 해.” 시끄러운 수다에 이 대화도 묻혔다. 일본인은 여보라는 말을 조선인에 대해 비하하듯이 쓴다. 그것은 듣기 거북하다. 조선인끼리는 부를 때 ‘여보!’’라고 하거나 ‘여보세요?’라고 한다. 그런데 일본인은 “여보는 구려” 따위로 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