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의스님 전상서

초의스님 전상서

(초의에게 삶을 묻다)

박동춘 (지은이)
이른아침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0원
19,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의스님 전상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의스님 전상서 (초의에게 삶을 묻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6745091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9-09-10

책 소개

초의차의 완성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인물들과 초의가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해설한 책이다. 저자는 최근 발굴된 자료들도 포함하여 이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적 사실들도 새로이 밝혀냈다.

목차

책을 열면서

01 자하 신위에게 보낸 초의스님의 편지
02 기산 김상희의 편지
03 소치 허련의 편지
04 불갑사 도영의 편지
05 대은암 유정의 편지
06 정학연의 편지
07 북산도인 변지화의 편지
08 원장의 편지
09 우기의 편지
10 설두 봉기가 초의에게 보낸 편지
11 ‘산인’이라 불린 이들의 편지
12 성윤과 성유의 편지
13 금령 박영보의 시첩
14 조희룡의 일정화영첩
15 유산 정학연과 조카 정대무의 편지
16 우활과 성활의 편지
17 금령 박영보의 남다병서
18 자하도인 신위의 남다시병서
19 유산 정학연의 <일속산방기>
20 추사 김정희의 「치원시고후서」
21 소치 허련의 편지
22 반계 이용현의 편지
23 정용익과 최성간의 편지

저자소개

박동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의선사의 다맥(茶脈)을 이은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다도전게(茶道傳偈)〉를 받은 유일한 인물이다. 이는 저자가 조선 후기 초의선사에 의해 정립된 ‘초의차’의 이론과 제다법을 이어받았다는 증거이다. 저자는 우리 전통 차의 적통인 ‘초의차’를 잇는 한편 한국 차 문화와 관련된 자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는 일에도 힘썼다. 이처럼 초의선사의 다도 연구를 주제로 연구에 매진한 결과 동국대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응송 박영희 스님으로부터 무공(無空)이라는 법호를 받았으며, 전 성균관대 겸임교수를 지냈고, 현재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이자 사단법인 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이사장 겸 소장을 맡고 있다. 또한 ‘초의차’를 계승하는 ‘동춘차’를 만들어 한국 다도의 맥을 보존·전수하고 있다. 한국 차 문화 부흥을 위해 노력한 저자의 공로는 제2회 화봉학술문화상(2011), 제22회 행원학술 특별상(2013), 제20회 다촌차문화 학술상(2021) 등의 수상으로 빛을 발했다. 저서로는 『초의선사의 차문화 연구』, 『맑은 차 적멸을 깨우네』, 『우리시대 동다송』, 『추사와 초의』, 『박동춘의 한국차 문화사』, 『조선의 선비, 불교를 만나다』, 『초의스님 전상서』, 『초의 의순의 동다송·다신전 연구』, 『고려시대 차문화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 수록된 초의스님과 관련한 편지와 시첩들은 본래 응송(應松, 1893~1990)스님이 수습했던 자료의 일부분이다. 17세에 대흥사로 출가한 응송스님은 초의스님의 방계손(傍系孫)으로, 초의의 수행력과 차에 대한 식견을 흠모하여 이에 관련 자료를 수습하여 연구했다. 실제 그가 초의 관련 자료를 수집할 무렵인 197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초의 관련 자료에 대해 아는 이가 드물었다. 소수 추사 연구자들이 초의를 거론하는 정도였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응송스님은 흩어진 초의 관련 자료를 수집했으니 이는 시대를 앞선 응송스님의 안목을 드러낸 것이라고 하겠다.

초의의 편지는 가장 중요한 연구 자료이다. 편지는 미세사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우선, 편지에는 시대를 막론하고 사람 간에 오고간 사연이 오롯이 담겨 있기에 개인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당대 역사의 일면(一面)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편지란 역사적 사실을 연결해주는 퍼즐로, 사료의 보고(寶庫)라고 할 수 있다.

-저자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