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척도개발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척도개발

(과정중심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Mark R. Wilson (지은이), 백순근, 이용상, 신동광, 이문수, 전유아 (옮긴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척도개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항반응모형을 적용한 척도개발 (과정중심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8176616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8-08-30

책 소개

우선 측정 및 평가를 위한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를 이해하고 직접 개발해 보고자 하는 연구자들, 검사도구 개발 절차에 대해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자 하는 학부생들이나 대학원생들, 그리고 검사도구의 개발 절차에 대해 가르치고자 하는 강의자들 모두에게 유용할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저자 서문

1부 측정에 대한 구성적 접근법
1. 구인 설계: 네 가지 구성 요소 접근법
1.0 개관 및 주요 개념
1.1 측정이란 무엇인가?
1.2 구인지도(The Construct Map)
1.3 문항 설계(The Item Design)
1.4 반응공간(The Outcome Space)
1.5 측정 모형(The Measurement Model)
1.6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네 가지 구성 요소 활용
1.7 참고자료


2부 네 가지 구성 요소
2. 구인지도(The Construct Map)
2.0 개관 및 주요 개념
2.1 구인지도
2.2 구인지도 예시
2.3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구인지도 활용
2.4 참고자료

3. 문항 설계(The Item Design)
3.0 개관 및 주요 개념
3.1 문항 구상
3.2 문항 설계 구성 요소
3.3 문항 개발에 있어서의 문항 형식과 절차
3.4 응답자에게 귀 기울이기
3.5 참고자료

4. 반응공간(The Outcome Space)
4.0 개관 및 주요 개념
4.1 반응공간의 특성
4.2 반응공간과 구인지도
4.3 반응공간 구성의 일반적 방법
4.4 참고자료

5. 측정 모형(The Measurement Model)
5.0 개관 및 주요 개념
5.1 두 가지 접근법의 결합
5.2 구인지도와 Rasch 모형
5.3 두 개 이상의 점수 범주
5.4 참고자료

3부 질관리 방안
6. 측정 모형 선택 및 평가
6.0 개관 및 주요 개념
6.1 측정 모형의 요구조건
6.2 측정
6.3 참고자료
7. 신뢰도
7.0 개관 및 주요 개념
7.1 측정 오차
7.2 측정 오차에 대한 요약
7.3 채점자 간 일치도
7.4 참고자료

8. 타당도
8.0 개관 및 주요 개념
8.1 도구 내용에 기반한 증거
8.2 반응 절차에 기반한 증거
8.3 내적 구조에 기반한 증거
8.4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에 기반한 증거
8.5 도구 사용의 결과에 근거한 증거
8.6 타당한 주장 만들기
8.7 참고자료


4부 새로운 출발을 위한 제언
9. 측정이 나아가야 할 길
9.0 개관 및 주요 개념
9.1 구인지도를 넘어 : 인지심리학과의 연계
9.2 측정모형의 가능성: 통계적 모형 자료
9.3 특정한 적용 영역에 대한 더 깊은 인식: 교육평가
9.4 참고 자료 : 폭넓은 이론적 관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백순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및 경력> -(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한국교육개발원 원장 -한국교육평가학회 회장 -서울대학교 입학본부 본부장 -OECD CERI(교육연구혁신센터) 운영위원 -UNESCO 한국위원회 운영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 -한국학술단체총연합회 사무총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교육평가연구조정위원 -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미국 버클리대(UC Berkeley) 특별연구원 -서울대 교육연구소 연구원 -미국 버클리대(UC Berkeley)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측정ㆍ평가전공, Ph.D.) -서울대 대학원 교육학과 졸업(교육측정ㆍ평가 전공, 석사)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학사) <주요 저서> -선생님, 어디계세요?(교육과학사, 2011)(공저)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평가(학지사, 2010)(공저) -세계화와 교육(교육과학사, 2009)(공저) -白교수의 百가지 교육이야기(교육과학사, 2009) -교육측정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2007)(편저) -일제강점기의 교육평가(교육과학사, 2003) -교과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원미사, 2003)(공저) -문항반응이론의 이론과 실제(서현사, 2003)(공역) -유아연구 및 평가(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2003)(공저) -수행평가: 이론적 측면(교육과학사, 2002) -수행평가의 원리(교육과학사, 2000) -고등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총 10권)(교육진흥연구회, 1999)(공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총 6권)(교육진흥연구회, 1999)(공저) -열린교육의 이론과 교수 방법(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공저) -중학교의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원미사, 1998)(편저)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적응검사(원미사, 1998)(공저) -국가 교육평가 정책수립 방안 연구(한국교육개발원, 1997)(공저) -초등학교의 새로운 평가제도에 따른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6)(공저) -학교생활기록부 도입에 따른 성취수준평가의 이론과 실제(교학사, 1996)(공저) 등 다수
펼치기
백순근의 다른 책 >
신동광 (지은이)    정보 더보기
-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박사] -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 전 한국멀티미디어 언어교육학회 부회장 - 현 한국영어교육학회 부회장 - 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부회장 - 『영어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챗봇 활용 및 제작』, 『영어교육 메타버스로 날개를 달다』 등 9편의 저서 출판 - 『AI 도구를 활용한 중등교사 영어 출제 연수 사례 연구: ChatGPT를 중심으로』 등 85편의 국내외 학술저널 출판(https://cafe.daum.net/sdhera 참조) - 코퍼스 분석 프로그램 ‘ColloGram’ 개발, 2015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 기본 어휘 개발, 세종학당 한국어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 등 국가단위 교육정책 연구 및 사업 다수 참여
펼치기
이문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소속: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원 학력: UCLA 교육학 박사 (Ph.D) 연구 분야: 문항반응이론, 검사동등화, 척도개발, 컴퓨터 적응검사, 양적연구방법 등
펼치기
전유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소속: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학력: University of Essex 영어교육학 박사 (Ph.D) 연구 분야: 영어교육 기능지도 및 영어평가
펼치기

책속에서

1.0 개관 및 주요 개념

이 장에서는 측정(measurement)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기술하고, 구인 설계(construct modeling)에 대한 개괄적 설명을 통해 측정 도구(instrument)가 어떻게 설계되고 다루어지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구인 설계는 네 가지 구성 요소(four building blocks)를 차례대로 이용하여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틀을 의미한다. 이 장에서는 네 가지 구성 요소를 요약하여 설명하고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 장들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 측정 도구(instrument)는 ‘실제 세계에서 관찰되는 것을 이론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연결시키는 기술’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는 물론 문항과 같이 명백한 형태의 도구를 지칭하는 것보다는 광범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측정(measurement)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다루고자 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기 때문에 도구에 대한 광범위한 개념을 선택하였다. 도구의 유형과 형태에 대한 예시는 이 장과 다음 몇 몇 장을 통해 소개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정(measurement)에는 측정의 대상이 되는 응답자(respondent)와 측정을 실시하는 평가자(measurer)가 있다. 독자는 평가자의 입장에서 이 책을 접근할 필요가 있으나, 동시에 응답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매우 유용할 것이다. 다음 네 개의 장에서는 네 가지 구성 요소(four building blocks)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예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도구 개발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차례대로 다룰 것이다.


1.1 측정이란 무엇인가?

대부분, 측정(measurement)은 관찰된 범주(현상)에 숫자를 부여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명명, 서열, 동간(혹은 등간), 비율과 같은 숫자의 특성이 곧 측정의 특성이 된다(Stevens, 1946). 범주에 특성을 지닌 숫자를 부여하는 것 또한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에 해당된다. 하지만, 숫자를 부여하는 작업은 측정의 한 측면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즉, 측정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서 숫자를 부여하는 작업 이전에 진행해야 하는 단계가 있고, 숫자를 부여한 후에는 (a) 숫자를 부여하는 작업이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와 (b) 측정(measurement)이 잘 이루어졌는지 점검해야 하는 단계가 있다.
측정의 주요 목적은 검사지나 설문지와 같은 측정 도구를 통해 얻어진 피험자들의 성취, 태도, 의견 등을 요약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일관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측정에 사용되는 도구들(attitude scales, achievement tests, questionnaires, surveys, and psychological scales)은 주로 복잡한 구조를 띄고 있기 때문에 측정을 함에 있어 적절한 절차(procedures)를 미리 생각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의 질문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의 측정도구라면 당연히 측정절차는 단순할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측정도구는 하나 이상의 질문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띄고 있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를 다음 장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책에서는 많은 검사지나 설문지가 어떤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가정하며, 여러 가지 특성이 측정도구들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구인(construct)이라고 불리는 어떤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도구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사람을 평가자(measurer)라 칭하고자 한다. 그리고 측정도구는 구인을 파악하기 위한 논리적 전제(근거)라고 여겨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평가자가 의도한 목적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장들에서는 그러한 논리적 전제(근거)의 바탕이 되는 일련의 단계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이 책에서 강조하는 첫 번째 전제(argument)는 구성적(constructive)이다?즉, 특정한 논리에 따라 도구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2장~5장 참조). 그리고 두 번째 전제는 반추적(reflective)이다?즉, 도구가 계획한 대로 기능을 수행하였는지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의미한다(6장~8장에 참조). 그리고 이 책의 결론 부분에서는 평가자가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단계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 책에서는 측정을 명사 형태가 아닌 동사 형태, 즉 “측정하다”에 치중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측정의 과정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며 다른 접근 방법도 있음을 미리 밝히고자 한다(일부 다른 방법들에 대해서는 6장과 9장에서 논의될 것이다). 이 책의 목표는 저자가 지난 20년 동안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학생들에게 측정(measurement)을 가르치고, 다양한 방면에서 측정도구 개발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의 만남을 통해 얻은 특정한 접근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9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