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어 의미론

한국어 의미론

박철우, 김윤신, 김진웅, 김진해, 박재연, 이동혁, 이지영, 이찬규, 이혜용, 임채훈, 정연주, 조경순, 최경봉, 최윤지 (지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750원
24,250원 >
2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50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어 의미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어 의미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67071002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의미론이란 말 그대로 말의 의미를 따지는 일이다. 우리 말에 담긴 의미와 전달방법을 낱낱이 해제한 책이다. 14명의 국어학자들이 각 장을 맡아 써 완성도를 높이고, 시대성과, 적확성, 참신성을 풍부하게 반영한 적용 사례들로 채웠다.

목차

머리말 4

1부 의미론과 의미

1장 국어학과 의미론
1 의미론의 연구 대상 14
2 해석의 세 단계 28

2장 의미의 정의와 유형
1 의미 탐색의 위치 40
2 의미의 정의 44
3 의미의 유형 53

2부 어휘와 의미

3장 의미 영역과 의미 분절
1 어휘로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 74
2 의미 부류와 의미 관계 79
3 의미 분절과 의미 분석 84

4장 의미 구분과 의미 관계
1 의미 구분: 단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 96
2 의미 관계 107

5장 의미의 확장
1 다의어와 의미 확장 138
2 의미 확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관점 145
3 은유와 환유에 의한 의미 확장 150

6장 의미 변화
1 의미 변화의 유형 172
2 의미 변화의 원인 182
3 의미 변화의 과정 189

3부 문장과 의미

7장 문장 의미의 연구 방법
1 문장 의미의 특성 198
2 참 조건 의미론 206
3 의미 규칙의 표상 방법 211

8장 지시와 양화
1 지시 232
2 양화 244

9장 의미역과 구문
1 사태와 문장 260
2 사태 참여자와 의미역 264
3 사태와 구문 271
4 구문의 유형 278

10장 시제·상·양태
1 시제 288
2 상 297
3 양태 306

4부 발화와 의미

11장 전제
1 전제의 개념과 유형 322
2 의미론적 전제 325
3 화용론적 전제 334
4 의미론적 전제와 화용론적 전제의 관계 346

12장 화행
1 화행의 개념과 국면 354
2 화행의 유형 359
3 화행의 적정 조건 364
4 간접 화행 367

13장 함축
1 말하는 것 이상의 의미 378
2 대화함축과 협력의 원리 382
3 관습함축 394
4 그라이스의 의미 모델 398

14장 공손성
1 공손성의 개념 406
2 대화 격률의 관점에서 본 공손성 411
3 체면 보호의 관점에서 본 공손성 419

참고문헌 433
찾아보기 442
저자 소개 450

저자소개

최경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휘의미론, 국어사전학, 국어학사, 국어정책과 관련한 연구를 하면서,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어휘의미론』, 『의미 따라 갈래지은 우리말 관용어 사전』, 『우리말 강화(講話)』, 『우리말의 탄생』, 『한글민주주의』,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등을 저술하였다. 같이 쓴 책으로는 『우리말의 수수께끼』,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한글과 과학문명』, 『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교육론』, 『한국어, 그 파란의 역사와 생명력』, 『한국어 어휘론』,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등이 있다. 현재 원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펼치기
박철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원 언어학과에서 한국어 의미론(수량 표현) 연구로 석사학위를, 한국어 문법·의미·화용론(정보구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언어학과 방문학자, 전산정보과학과 박사후연구원, 고려대학교 BK21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BK21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국어학) 교수, 국어문화원장, HK+사업단 일반연구원이다. 한국어의미학회 회장과 고문,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한국어 정보화와 구문분석』(공저), 『이름의 언어학』, 『한국어 의미론』(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언어 의미학 개설』, 『화용론의 실제』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찬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입니다. 언어의 의미를 밝히는 일과 언어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및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영·유아기 때부터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영·유아들을 위한 언어 의사소통 교육 도서인 《베이비 커뮤니케이션》 시리즈를 기획하였습니다. 《베이비 커뮤니케이션》 시리즈인 <울지 말고 말하렴>, <‘싫어’, ‘몰라’ 하지 말고 왜 그런지 말해 봐!>, <다른 사람이 말할 때 끝까지 잘 들어 보렴>, <물어보길 참 잘했다!>, <이럴 땐 어떻게 말하지?>를 썼습니다. 그 밖에 옮긴 책으로 <언어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이동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현재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교과용 도서 편찬 작업에 참여하였으며, 한국어학 및 국어 교육 분야의 주요 학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저서와 논문으로는 《한국어 의미론(공저, 2023)》, 〈문장의 의미 구성에 기반한 문장 의미 교육의 전망(2022)〉,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에 대하여(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임채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4년 서울 출생.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음. 현재는 숭실대 국어국문학과에서 가르치는 일과 공부하는 일을 하고 있음. 문장의미론을 전공으로 하였으나 화용론, 텍스트 언어학, 한국어교육학으로 관심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새로운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 것을 즐김. 공부하는 이들과 함께 즐거워하는 學友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음. 쓴 책으로는 문장의미론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2012)가 있음. linguist@naver.com
펼치기
조경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자 언어교육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국어의미론이며 「동일 성분 명사구 중출 현상에 대한 의미론적 연구」, 「국어 보조용언의 어미 결합 제약 연구」, 「인공지능 학습용 말뭉치의 어휘화용적 특징에 대한 계량적 연구」 등 5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으며, 공저로 『한국어의미론』, 『한국어 의미 탐구의 현황 과제』 등이 있다. 한국어 문장의 통사 구조와 의미 구조를 연결하는 원리를 밝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광주 지역어나 인공지능 학습용 말뭉치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조경순의 다른 책 >
이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주요 연구 분야 화행론, 대화 분석, 이야기 분석, 의료커뮤니케이션, 면접 대화, 학술적 글쓰기 교육
펼치기
김진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친 후에 텍사스 주립대학(Austin)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로 한국어의 의미론과 화용론을 공부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어의 화시나 환유 등 지시와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공저로 『언어 정보와 인문언어학』, 『언어의 현장성과 복합지식』, 『사전에 없는 진짜 한국어1, 2』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어 문법과 문법 교육을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1993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200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선임 연구원, 신라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등을 거쳐 2014년 2학기부터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최윤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2008)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2016)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집현전 태학사 과정생 주요 논문 「이접과 양태의 상관관계 고찰: ‘-인가’를 중심으로」(2011) 「파생과 합성, 다시 생각하기: 복합어 구성요소의 교차 분류를 위한 시론」(2013) 「구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어떤 통사구성에 대하여: 준분열문」(2016) 「Current Trends in the Studies of Information Structure from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A Book Review of Fernandez-Vest & Van Valin (eds.)(2015)」(2017) 「뉴스에 나타나는 독립적 명사구, ‘명사문’ 연구」(2019) 「상대높임 등급 혼용 현상에 대한 일고찰: 텔레비전 뉴스에 나타나는 해요체의 분석을 바탕으로」(2019)
펼치기
정연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박재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한국어 용언부정문의 역사적 변화』 (2008) 『한국어 어휘론』 (2020, 공저) 「종결형의 변화와 근대적 문체」 (2019) 「‘그나마’, ‘(-으)나마’, ‘(이)나마’의 발달 과정에 대한 통시적 연구」 (2022)
펼치기

책속에서

말의 의미를 샅샅이 밝혀서 규정하고 그 모두를 사전에 기술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같은 말이라도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많은 데다가, 사람들은 자신의 경험에 따라 개별적으로 의미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의미를 정의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우리는 의미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설명해야 하는지, 어떤 관점에서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정해야만 한다. 혼돈스럽고 광활한 우주에도 질서가 있듯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언어 의미도 나름의 체계 속에서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큰 고통 없이 생각을 교환하며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___「2장 ‘의미의 정의와 유형’ 」 중에서


어휘의 의미가 서로 반대된다는 말의 뜻은 뭘까? ‘나무’와 ‘고양이’는 반의어가 아닐까? ‘나무’는 무생물이고 식물이고 움직이지도 않고 잠을 자거나 음식을 먹거나 새끼를 낳지도 않는다. 고양이는 생물이고 동물이며 움직이고 자고 먹고 새끼를 낳는다. 어떤 대상이 ‘나무’면 ‘고양이’일 수 없고, ‘고양이’이면 ‘나무’일 수 없다. 둘은 양립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도 왜 ‘나무’와 ‘고양이’는 반의 관계를 이룬다고 말하기 어려운가? 반면에 ‘선생’과 ‘학생’은 어떠한가?
___「4장 ‘의미 구분과 의미 관계’ 」 중에서


한·영 번역기에 “부산은 따뜻하더라.”를 넣으면 “Busan is warm.”이 나온다. 이는 “부산은 따뜻하다.”를 넣었을 때의 결과와 같다. “새들이 날고 있더라.”를 넣으면 “The birds were flying.”과 같이 “새들이 날고 있었다.”에 해당하는 문장으로 번역된다. (...) 의미는 결코 같지 않지만, ‘-더-’에 바로 대응하는 영어 표현이 없기 때문에 번역기는 아직 ‘-더-’의 특성을 번역에 세심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어에는 ‘-더-’와 같이 명제나 화자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이는 요소들이 아주 많이 발달해 있다.
___「10장 ‘시제·상·양태’ 」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