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에릭 르 로이 (지은이), 민진영 (옮긴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6849966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3-02-28

책 소개

과거 영화의 보관 및 보존을 꾀하여 현재의 관객들에게 선보이고 영화사 전체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보전하는 기능을 하는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에 대한 개론적 소개서이다. 세계 영화 유산 보존의 제도적 노력과 현황을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감사 인사 / 6
역자서문 / 7
서문 / 11

1장 영화의 시작, 사라지는 필름들, 중요 인물들
1. 영화의 시작 / 21
2. 사라지는 필름들 / 23
3. 주요 인물 / 32
4. 아이리스 베리(Iris Barry) / 33
5. 레이몽 보르드(Raymond Borde) / 37
6. 앙리 랑글루아(Henri Langlois) / 40
7. 자크 르두(Jacques Ledoux) / 43
8. 어니스트 린드그렌(Ernest Lindgren) / 47
9. 마리아 아드리아나 프롤로(Maria Adriana Prolo) / 50
10. 제르지 토에플리츠(Jerzy Toeplitz) / 52
11. 파울로 에밀리오 세일즈 고메스(Paulo Emilio Salles Gomes) / 54

2장 필름에서 디지털로
1. 필름의 소재 / 57
2. 필름의 포맷과 필름의 감식 / 71
3. 필름의 보존 / 76
4. 필름의 저장(저장은 복원이 아니다) / 85
5. 필름의 복원 / 89
6. 조형 예술가와 잔해의 예술 / 112
7. 디지털 / 116

3장 영화아카이브센터, 권리 그리고 컬렉션
1. 저작권 / 124
2. 공적 영역 / 132
3. 유체 재산권 / 133
4. 필름의 법률상의 생애주기 / 135
5. 납본 제도 / 138

4장 세계의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1. 국제영상자료원연맹(FIAF) / 143
2. 세계의 시네마테크 / 153
3. 재단, 조합 그리고 영화유산 사이트 / 187
4. 유럽 시네마테크 협회(ACE) / 189
5. 국제 지역 조합 / 191
6. 유네스코 / 191

5장 프랑스의 상황
1. 국립 기관들 / 210
2. 지역 기관들 / 217
3. 사립 아카이브센터와 컬렉션 / 232

6장 필름의 확충, 가치 부여, 전시
1. 소장품 확충 / 238
2. 가치 부여 / 240

결론 : 시네마테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 269

용어 설명 / 275
연표 / 285
참고문헌 / 293

저자소개

에릭 르 로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1년부터 2017년까지 국제영상자료원연맹인 FIAF(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archives du film)의 의장을 맡았고, 현재는 프랑스 CNC의 컬렉션 가치부여 및 확산 접근서비스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저자는 국제영상자료원연맹에서 영화유산의 보존을 위한 이상적인 미래 모습을 설계하고 전세계의 영화아카이브 관련 기관들에게 교류와 연대를 통해 이를 실천하기를 설득해왔다. 연구자로서도 활동하며 『알베르 카펠라니: 뱅센에서 포트 리까지』, 『1908~1918년의 프랑스 허구영화 카탈로그』, 『영화인, 카미유 드 몰롱』, 『드니즈 벨롱, 연구논문』 등의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펼치기
민진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교수. 전남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프랑스 파리8대학 영화학과에서 박사후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다르의 <필름 소셜리즘>에 나타난 정치성」, 「프루스트와 크리스탈-이미지」, 『대학 프랑스어』(공저), 『파운드 푸티지』, 『들뢰즈와 예술-되기』,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 등 문학과 영화에 관련된 논문과 저서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장 영화의 시작, 사라지는 필름들, 중요 인물들

1. 영화의 시작
파리에 거주했던 폴란드 카메라맨 볼레슬라프 마투체브스키(Boleslas Matuszewski)는 영화아카이브센터에 관한 이상적인 통찰을 처음으로 보여주었다. 모든 시네마테크를 만든 선구자들도 마투체브스키가 영화아카이브센터 계획을 발표한 한참 뒤에 나타났고, 그의 두 권의 저서 『역사의 새로운 원천(Une nouvelle source de l’histoire)』과 『활동사진(La photographie animee)』(1898)은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했다. 앙리 랑글루아(Henri Langlois)가 아마도 1955년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국제영상자료원연맹 회의에서 발견해 복사해서 편집 출간한 이 두 권의 책에서 저자는 필름 보존, 작품에 대한 접근권, 법적 의무 납본 그리고 훗날 논의될 이미지 보존의 많은 원칙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는 ‘시네마테크’라는 용어는 쓰지 않았고, 대신 ‘박물관’이나 ‘영화 납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10년대부터 시작된 시네마테크와 필름 컬렉션이 자리 잡기 훨씬 전에, 그리고 일부러 혹은 사고로 무성영화를 파괴하는 물결이 일기 훨씬 전에 마투체브스키는 정치, 문화, 군사 그리고 뉴스릴 필름으로 연구대상이 한정되긴 했지만 선견이 넘치는 글을 썼다. 첫 번째 소책자에서 마투체브스키는 정부의 책임 원칙을 옹호하면서 논의를 국립 도서관처럼 국가 기관의 틀 속에 위치시켰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납본 유형을 제안했다.
첫째, 장기적 관점에서 네거티브* 필름의 보존. 이 필름은 사용해서는 안 되고 목록을 작성해 놓아야 한다. 이런 권고를 통해 원본에 관한 개념에 주목할 수 있다.
둘째, 포지티브 사본의 보존과 제공은 일정한 조건에서만 가능하다. 이 제안은 현대적이고 적극적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영화가 발명된 지 3년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에 연구자들의 필름 열람을 언급했기 때문이다.
셋째, 포지티브 사본을 제공하는 데 있어 보존 유예 기간을 두도록 제안했는데, 이 제안은 종이 문서와 기록아카이브센터와 같은 기준에서 출발한 것으로 이에 대한 접근권은 법으로 규정된다.
두 번째 책 『활동사진』에서 마투셰브스키는 상업 영화, 과학 영화, 역사 영화, 예술, 가족, 학교, 경찰 등의 그밖에 ‘다양한 용도’의 대상 필름들의 특성을 구체화하면서 그의 이론을 발전시킨다. 이어 ‘납본’[역주: 법률에 의한 기탁 의무]이라는 전문용어까지 사용하면서 아카이브센터의 법적 조건들을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자발적 기부, 기증, 교환과 구매라는 개념도 명확하게 설명한다. 이런 개념들을 조직화한 기관들은 이 토대를 마련한 이 저서가 출간된 수십 년 후에 만들어졌다. 마투체브스키는 ‘영화 색인 카드’까지 언급하는데, 이것은 문서를 분류해, 찾기 쉽고, 확인하고, 다시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시청각 자료의 현대적 목록 작성 활동과 같다.
위와 같은 생각을 적용한 기관들이 나타나는 것을 보기까지는, 그리고 정책 책임자들, 또는 창작자들이나 영화조합, 특히 제작자들의 무책임한 복지부동에 대해 개별적으로 답하기 위해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바로 이런 환경 속에서 개성이 강한 인물, 기자, 이론가, 역사학자, 시네-클럽의 프로그래머 등의 주도로 시네마테크와 영화아카이브센터가 만들어졌다.

2. 사라지는 필름들
영화사의 손실에 관한 기억의 특징은 그것이 무엇보다도 매우 불완전하다는 것이다. 그 기억이 대개는 추측에 의존하고, 정확한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많은 나라들이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상세한 필모그래프*를 전혀 작성하지 않아서 정확하게 몇 편의 작품들이 소실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영화사 초기부터 전 세계에서 자발적이건 아니건 필름은 폐기의 대상이었다. 영화를 시간의 제약을 받는 상업적으로 가치 있는 ‘상품’으로 간주해 영화아카이브센터를 고려하고 보존을 확실히 보장해야 한다는 생각은 아직 자리 잡지 않았다.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폐기의 원인은 필름 그 자체에 있었다. 장편 영화가 더 길어지고, 더 세심하게 작업하고, 초기 영화의 티를 벗어나 주제의 미학과 서사가 발전함에 따라 관객들이 더 이상 보고 싶어 하지 않은 짧은 코미디나 드라마는 폐기 처분되었다. 이 시기에는 필름 재활용, 은염[역주: 필름에 상이 맺도록 하는 은입자] 추출은 영화산업에서 널리 이루어졌다. 이것이 필름의 첫 번째 대규모 손실의 첫 번째 물결이었다.
유성영화의 등장은 영화산업에 있어 대단히 극적이었다. 새로운 기술은 아무런 거부감 없이 무성영화 존재 이유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상영관들은 유성영화를 틀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관객들은 피아노 연주가 곁들인 무성영화를 더 이상 원하지 않았다. 관객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배우들이 말하는 것을 보고 싶어 했다. 영화 자체가 다르게 서술되고 연출되었다. 이것이 무성영화 폐기의 두 번째 물결이다. 유성영화가 출현한 지 몇 년 뒤에 첫 번째 시네마테크, 수집가, 순회상영업자와 초기 시네-클럽 같은 조직들이 영화를 유통하여 이 시기에 제작된 상당히 많은 양의 필름을 구했다.
1950년대 중반, 나라마다 다르지만 법률과 정부 법령으로 질산염 필름 사용을 안전을 이유로 돌연 중단시킨 것은 유성영화의 출현에 비하면 덜 가혹했지만, 어찌 됐건 대량 폐기는 계속되었다. 이 시기는 영화의 대량 폐기의 세 번째 시기로 시네마테크와 아카이브센터는 이미 조직되었고, 필름은 문화유산의 지위를 획득해 대개 경우 보존되고 있었다. 그렇다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닌데, 영화산업에는 관심이 우세하고 필름 보관에는 관심이 부족하였기에 금전상의 이익을 이유로 필름은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보게 되었다.
그에 더해 현상소, 시네마테크, 영화아카이브센터의 화재로 인한 손실도 잊지 말아야 한다. 정부 기관이 질산염 필름 원본을 안전한 소재인 초산염 필름으로 옮긴 후에 질산염 필름 원본을 자발적으로 폐기했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필름 자체가 자기 죽음과 자기 파괴의 원인이다. 질산염 필름의 화학적 구성은 중기적으로 분해될 수밖에 없었고, 초산염 필름은 일정 조건에서 식초 증후군*이 일어나 손상되기 때문이다.
레이몽 보르드는 여러 저서에서, 특히 『시네마테크』에서 매우 놀라운 필름 손실 규모의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현재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보르드는 1895-1918년까지 프랑스에서 제작된 영화의 80% 정도가 사라졌다고 평가하는데, 영화아카이브센터의 일람표 작성, 필름의 식별, 소실되었다고 생각했던 필름의 발견 등을 따져 보면 아마 그 비율은 65%까지 낮아질 수 있다. 이런 추세는 다른 시기에도 마찬가지이다. 현재는 1980년대 지배적이었던 도표들에 비해 대개는 훨씬 덜 비관적이다.
1919-1929년 사이에 이탈리아는 85%, 미국 70%, 독일 40% 러시아는 10% 미만의 필름이 사라졌다고 거론되고 있는데, 여전히 전체를 아우르는 종합적인 결산 자료는 없지만, 미국의 경우 1930-1939년 25% 손실, 1940-1950년 10% 손실이라는 수치는 거의 변함이 없다. 이것에 비추어 최근에 확인된 필름과 작성된 일람표를 보면 프랑스의 경우 필름 손실은 훨씬 덜 걱정스럽다.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같은 북유럽 나라들은 제작 편수 자체가 많지 않았다는 점과 전쟁과 국가기관의 영향을 덜 받아서 그리고 영화유산의 보존을 독려한 덕분에 고통을 훨씬 덜 겪었다.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피해가 가장 컸는데, 이 국가들에서는 문화적 관심의 부족으로 질산염 필름이 사고와 화재로 돌이킬 수 없는 대량 손실을 초래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