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신화학/신화상징
· ISBN : 978896850174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6-10-28
목차
제 1 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신화와 종교의 미의식
01장 한국의 신화 문화에 나타난 미의식
1) 초월과 신념의 신화적 미의식
2) 풍류와 접화군생의 신화적 미의식
3) 다문화에 대한 배려의 신화적 미의식
02장 한국의 종교 문화에 담긴 미의식
1) 체험하는 불교의 모성적 미의식
2) 상상하는 ‘밝’사상의 도교적 미의식
3) 무교와 함께 보는 만신의 미의식
03장 한국의 생활문화에 스며있는 미의식
1) 한국의 공간이 만들어낸 원형적 미의식
2) 글씨와 그림으로 엮어진 아름다운 관계
3) 한국의 그릇과 관련된 최소한의 아름다움
제 2 부
한국 신화의 미의식과 자의식의 태동
04장 한국 민간 신화에 등장하는 미의식
1) 주체적 미의식과 삶을 향한 욕망
2) 당당한 자기주장과 자의식의 발현
3) 개척의식과 도전의식의 아름다움
05장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기이한 미의식
1) 귀신과 현실의 세계를 잇는 미의식
2) 민중의 대리욕망적 표상과 미의식
3) 이상세계를 향한 징검다리로써 미의식
4) 꿈을 통한 지혜와 용기의 자의식적 미의식
06장 사회와 이념에 지배된 타율적 미의식
1) 찾아가는 자비와 지혜의 불교적 미의식
2) 강요된 가치관과 섬뜩한 삼강적 미의식
3) 새로운 지식 권력과 교양미의 지향
07장 사회적 이념에 맞선 전복적 미의식의 반란
1) 정치와 권력의 도구가 된 팜므파탈적 미의식
2) 남성지식 사회에 맞선 여성지식의 미의식
3) 선비정신에 반기를 든 도전적 미의식
08장 미래의 미의식과 새로운 세상에 대한 구상
1) 믿음을 향한 지식 순례의 미의식
2) 베틀 짜는 하눌님으로서 여성의 미의식
3) 여성성의 존중과 새로운 여성미 추구
제 3 부
한국의 근대의식과 자의식적 미의식
09장 새로운 근대의 지표로서 미의식
1) 개화된 자의식과 전통적 미의식의 충돌
2) 미의식의 자각과 타율적 죽음
3) 미의식의 낭만화와 퇴폐화
10장 근대 소설 속 아름다움과 자의식 형성
1) 아름다움에 대한 삼강적 자의식: 「산골」
2) 아름다움에 대한 양가적 의식
3) 아름다움과 근대적 자의식
11장 유토피아적 미의식과 샤먼적 미의식의 충돌
1) 성과 속의 종교성과 결부된 미의식
2) 유토피아의 세계와 연관된 미의식
3) 꿈의 표상으로써 아내의 아름다움과 신화화
12장 존재론적 자의식과 미의식의 상관섬
1) 미의식에 대한 성과 속의 딜레마
2) 비장미와 숭고미를 머금은 소외된 미의식
3) 바리데기와 소통의 미의식
나오며: 디지털화 시대, 아름다움의 소통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