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이만영, 안슈만 토마르, 조비, 표정옥, 박성애, 권미란, 김연숙, 진은진, 조미영, 김병길, 김지은, 석형락, 이상민, 임보람, 하창수, 김혁수 (지은이), 김유정학회 (엮은이)
소명출판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9115905745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22-12-15

책 소개

K-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지금, 우리 고유의 이야기 가치는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확장할 수 있는가. 김유정학회에서는 그 누구보다 한국적인 표현과 향토적 색채를 보여준 김유정만의 특별함과 콘텐츠 가치를 찾고, 시대와 지역과 매체를 넘어 확장 가능성을 타진한 글을 모아 이 책을 펴냈다.

목차

책머리에 3

제1부 김유정 문학과 세계문학
이만영 김유정과 문학사-1930~60년대 김유정론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 15
1. 들어가기-문학사 서술과 김유정 15
2. ‘한 개의 기담奇譚’ 혹은 신심리주의 19
3. 발견된 해학, 세계문학으로의 길 27
4. 나가기-김유정의 해학과 문학사 서술의 향방 36
안슈만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의 여성상 비교-‘매춘’의 양상을 중심으로 41
토마르 1. 들어가며 41
2. 김유정과 쁘렘짠드 소설에 나타난 매춘의 양상 51
3. 나가며 67
조비 1930년대 한ㆍ중 매춘 모티프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가정서사 비교-「소낙비」와 「노예가 된 어머니」를 중심으로 73
1. 들어가며 73
2. 현실 탈출에 실패한 남편들의 타락상 81
3. 출구 없는 아내들의 탈윤리적 모습 89
4. 나가며 96
표정옥 근대적 미의식의 양가적 충돌과 타자적 여성성에 대한 서로 다른 두 시선-너새니얼 호손의 「반점The Birthmark」과 김유정의 「안해」를 중심으로 101
1. 들어가며 101
2.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와 비주체적 자아 107
3. 새로운 미적 논쟁과 미적 가치의 양가성 113
4. 근대 타자적 여성성의 서로 다른 두 시선 119
5. 나오며 126

제2부 확장과 상상, 매체와 장르를 넘어서
박성애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봄ㆍ봄」과 『다시, 봄ㆍ봄』을 중심으로 133
1. 이어쓰기, 타자의 목소리를 재현하는 방법 133
2. 우회하는 타자의 ‘말’과 희극적 부스러기-김유정의 「봄ㆍ봄」 138
3. 시점의 활용을 통해 전달되는 타자의 ‘말’ 142
4. 인물의 개성 보완-타자들의 연대와 글쓰기 151
5. 중심세계에서 타자의 목소리로 말하기 159
권미란 김유정 소설의 극적 요소-김유정 소설 「봄ㆍ봄」과 「동백꽃」을 중심으로 162
1. 김유정 소설 속 ‘사랑’의 의미-보편적 정서 함양을 위한 교감의 매개체 162
2. 극적 환상과 현실을 오가는 인물 ‘나’의 정체성 165
3. 극적 담화와 인물형상화 전략 171
4. 맺음말 177
김연숙 1930년대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금金’과 경제적 상상력의 표상진은진 -조선 후기 야담 <개성상인開城商人>과 비교를 중심으로 181
1. 들어가며 181
2. 조선 후기 야담에 나타난 ‘금’과 경제적 상상력 184
3. 김유정의 1930년대 소설-절대적 수단이자 목적인 ‘금’과 경제적 욕망 194
4. 나가며 203
조미영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소설의 서사와 의미의 확장-「동백꽃」과 「메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208
1. 들어가며 208
2. 절충주의와 스토리텔링 213
3. 동백꽃, 필 무렵의 이야기들 216
4. 의미와 의미의 확장, 그리고 다시 이야기 221
5. 나가며 228

제3부 미학적 성취와 윤리, 독자의 시선
김병길 식민시기 빈궁에 관한 서사 재현의 두 가지 양상-최서해와 김유정의 작품을 중심으로 235
1. 글을 열며 235
2. 분노로 써 내려간 자전적 기록 238
3. 파괴된 농촌공동체의 사설辭說 245
4. 글을 마치며 253
김지은 「동백꽃」의 어수룩한 ‘나’의 감정 ‘다시’ 보기 256
1. 포스트-서사학적 소설교육을 위한 ‘감정’의 렌즈 256
2. ‘마을’에서 중첩되는 감정의 충돌 263
3. ‘눈물’로 외현되는 감정의 전이 269
4. ‘닭싸움’으로 매개된 감정의 확장 273
5. 소설교육에의 시사점 탐색 279
석형락 맹세하는 인간과 처벌 없는 세계-맹세의 시각에서 김유정 문학 다시 읽기 286
1. 들어가며 286
2. 생명으로서의 맹세와 질서로서의 처벌 293
3. 이행되지 않는 맹세와 처벌 없는 세계 303
4. 나오며 313
이상민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비정상의 낯선 익숙함 318
1.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는 어디인가 318
2. 누가 피해자이고, 가해자인가, 경계의 모호성과 충돌 322
3. 왜곡된 상황에서 예측 불일치로 다가오는 낯선 충격 328
4. 무엇을 비정상이라 말할 수 있는가 336
임보람 김유정의 「소낙비」에 나타난 ‘소리풍경’ 연구 339
1. 들어가는 말 339
2. 바람의 역동성과 ‘소리풍경’ 형성 343
3. 소낙비가 내리는/그친 ‘소리풍경’ 348
4. 나오는 말 355

제4부 유정을 다시 쓰다
하창수 유정有情과 이상理想의 날들-장편소설 「미드나잇 인 경성」 구상 전말기 363
김혁수 유정, 봄을 그리다 382

필자 소개(수록순) 422

저자소개

진은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공부를 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글 ‘쓰는’ 사람, 특히 ‘어린이 책 작가’가 되고 싶었는데 글쓰기가 너무 어려워 선생 노릇이라도 잘해보자고 결심한 뒤 학생들을 잘 가르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어린이 책 작가로 살겠노라는 꿈도 여전히 갖고 있다. 고전문학을 공부하면서 《여성탐색담의 서사적 전통 연구》, 《한국문화의 자장과 서사문학》 등의 책을 썼으며, MBC 금성 창작동화 대상으로 등단한 후 《할머니의 날개》, 《마고할미는 어디로 갔을까》, 《흑설공주 이야기》 등의 어린이 책과 《선문대할망》, 《우린 쌍둥이야》 등의 그림책을 썼다.
펼치기
하창수 (엮은이)    정보 더보기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해 한국일보문학상·현진건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이자, 헤밍웨이·포크너·피츠제럴드·웰스·키플링 등 영미문학사 주요작가들의 작품을 우리말로 옮긴 번역가이다. 그 외 옮긴 책으로 《킴》, 《소원의 집》, 《친구 중의 친구》, 《마술가게》, 《바람 속으로》, 《어떤 행복》, 《과학의 망상》, 《답을 찾고 싶을 때 꺼내 보는 1000개의 지혜》, 《부자독학》, 《말 잘하는 즐거움》, 《당신을 위해서라면 죽어도 좋아요》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주임(초빙)교수이다. 1994년 문화일보 신춘문예와 월간문학 신인문학상을 통해 극작가로 등단, 『유정-봄을 그리다』(희곡집, 2021), 『무대 뒤에 있습니다』(희곡집, 2000) 등의 단행본을 발표하였다. 대산문화재단 우수 문인 선정과 함께 한국문협 작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극단 금병의숙 대표, 김유정문학촌 운영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표정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국문과에서 석사와 박사를 마쳤어요. 인문학을 통해 현재와 과거의 삶을 성찰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어요. 지금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로 글쓰기・인문고전・토론・신화・여성 문화 등 교양 교육을 담당해요. 인공지능・메타버스・클라우드・NFT 등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우리 문학과 문화와 결합해서 수업을 진행해요. “2008년, 2010년 학술원 우수도서상”, “2013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수상”, “2014년 한국연구재단 사후 우수저서 선정”, “선리 학술상”, “김구아카데미 학술상”, “제3회 김유정 학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여러 프로젝트와 저서 연구자로 선정되었어요. 서울시 시민강좌를 오랫동안 진행해왔고, 전국의 박물관과 도서관에서 다수의 인문학 강좌로 세상과 소통하고 있어요. 지은 책으로 《우리나라 구석구석 지도 위 한국사》, 《현대문화와 신화》, 《놀이와 축제의 신화성》 등이 있으며, 수십 편의 논문을 진행했어요.
펼치기
김병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역사소설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 후 숙명여자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우리 소설의 비급』, 『우리 근대의 루저들』, 『우리말의 이단아들』, 『역사소설, 자미에 빠지다』 등이 있다.
펼치기
김연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인문교양 강의를 한다. 저서로 《그녀들의 이야기, 신여성》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박경리의 말》 등이 있다.
펼치기
석형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강의교수. 아주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을 공부했다. 2012년 『세계일보』 신춘문예에서 평론이 당선되어 등단했다. 2022년 제2회 김유정 학술상을 신진연구자 부문에서 받았다. 비평집 『기어코 문제는 듣기다』가 있다.
펼치기
조미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평택대학교 공연영상콘텐츠학과 겸임교수다.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공저,2020), 『스토리텔링과 생활』(공저, 2020), 「시간여행의 이중 서사가 갖는 의미 양상 연구-드라마 눈이 부시게 를 중심으로」(2021) 등의 논문이 있다. 현재 대학에서 영상문학과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이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강사. 2014년에 계간 『실천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면서 문학비평가로 등단, 2018년에 「한국 초기 근대소설과 진화론」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무정』 판본의 서지적 고찰」(2017), 「1950~60년대 해학론의 전개 양상과 그 의미」(2022), 『센티멘탈 이광수-감성과 이데올로기』(공저, 2013),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진화론』(2021) 등 다수의 논문 및 단행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안슈만 토마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 박사. 한국 근현대소설 연구자이며 한국의 식민지 문학과 분단 문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도 분단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 양상 연구-쿠쉬완트 싱의 「파키스탄행 열차」를 중심으로」(2021), 「주요섭과 물크 라즈 아난드 소설의 서발턴 비교 연구」(2020), 「한국과 인도의 소설에 나타난 무산계급 삶의 비교 연구」(2018)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조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안후이성 쑤저우대학교 외국어학과 강사이다. 아주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대학에서 한국어 강의를 하고 있고 한국 고전 시가에도 관심을 가기고 있다. 「동북아 문화교류-한국 시조 문학에 수용된 중국 어전을 중심으로」 논문은 2022년 제2회 중국 안후이성 비교문학 청년학자 博融 포럼에 삼등상을 받았다.
펼치기
박성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시립대학교 강의전담객원교수로 한국아동청소년문학 연구자이다. 최근 논문으로 「과잉되고 우회하는 말하기와 윤리적 듣기」(2022), 「세계 내 타자의 밀도와 저항의 방식」(2021), 「아동서사문학의 장애담론과 소통 가능성」(2020), 「청소년소설에 나타나는 소년의 ‘행위’ 가능성과 아버지의 이름」(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권미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강사. 한국 연극 전공하고 현재는 카이스트, 가천대, 연세대학교에서 연극과 글쓰기 강의를 하고 있다. 2016년 이강백 희곡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김지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강사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고, 동대학원에서 현대소설교육을 공부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 학습자들이 향유하는 서사 장르를 기반으로 한 문학교육의 윤리적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국민대와 수원대에서 고전 읽기 및 글쓰기 등의 교양 교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로, 한국 현대소설을 전공했다. 대학에서 교양교육을 담당하며 창의교육과 인성교육으로 연구영역을 확장해 가고 있다. 『인성교육, 미래를 말하다』(북코리아, 2022, 공저), 『인성교육, 방법을 묻다』(북코리아, 2021, 공저), 「가톨릭대학교 키스톤디자인 교육과정연구」(2020) 등 다수 저서와 논문이 있다.
펼치기
임보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주요 논문으로 「쓰레기로의 전회가능성과 생태학적 상상력」(2022),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에 나타난 소리의 수사학」(2021), 「「이청준의 「시간의 문」에 나타난 시간은유 연구」(2020),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유머의 수사학(2019)」 등이 있다. 언어로써 타자들과 관계 맺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유정학회 (엮은이)    정보 더보기
김유정 문학과 동시대 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장르 및 매체 변화에 따른 재창조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2011년 설립된 학술연구단체이다. 매년 전국 규모의 학슬대회를 개최하고 학술연구서를 출간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