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80102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8-06-28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1
수업 비평, 비평가가 들려주는 이야기
- 신념에 따라 사는 것은 도덕적인가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도덕 수업의 딜레마를 넘어서 (김은정)
비평 후기 | 수업 비평: 직관과 숙고의 변증법!
2
원숙함과 균형 감각 그리고 창조적 탈주
-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참관하고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수업의 완결성에 대한 고민과 의구심 (박현숙)
비평 후기 | 100년이 넘는 일본의 수업 연구 전통이 부럽다
3
하브루타로 보는 하브루타 과학 수업
- 우리는 정답을 제시하려는 습관으로부터 자유로운가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교육과정 속의 하브루타 과학 수업 (한은선)
비평 후기 | 질문할 수 있는 용기, 대답할 수 있는 용기
4
영국의 유럽 연합(EU) 탈퇴 문제에 대해 토론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 학생들은 어디까지 성장할 수 있는가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나는 어디까지 성장시킬 수 있을까? (정용주)
비평 후기 | 교사의 지속적 성장이 가능하려면?
5
추상적인 도덕적 지식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경험 가능하게 할까?
- 경험적 실험을 통해 ‘존 롤스의 절차적 정의’를 배우는 윤리 수업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정의 실험’ 수업: 생각의 흐름을 그리기 (임은경)
비평 후기 | 경험적 연습, 복잡한 사회 현상 체험하기
6
2017년 한국, 고등학교 3학년 교실 수업은 어떤 모습일까?
- 교사는 제도의 요구를 넘어설 수 있는가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모순 덩어리 고3 교실에서 수업이란 (김수현)
비평 후기 | 고등학교 교육의 목적을 다시 묻는다
7
사상 최대 수업 프로젝트, 미래 교실에 가장 가까운 수업!
- 가장 현재적인, 가장 미래적인 수업에 대하여
수업 공유 교사의 이야기 | 삶과 앎이 하나가 되도록 하는 ‘사최수프’ (장지혁)
비평 후기 | 학생 중심 수업, 오래된 꿈
8
스타 강사 설민석의 강의를 보면서 떠오른 몇 가지 질문들
- 공교육과 사교육의 평화로운 공존은 어떻게 가능할까?
비평 후기 | 일요일만이라도 사교육으로부터 해방을!
9
‘교육대학교 교수’로서 나는 어떻게 수업을 하고 있는가
- 교사 교육자Teacher Educator로서의 정체성에 대하여
비평 후기 | 자기 연구라는 수업 개선을 위한 연구 장르
닫는 글 | 수업 연구 버킷리스트
글의 출처
미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5분만 관찰해도 수업을 얼마나 잘하는지 알 수 있어.” 교사 사회에서 자주 듣는 말이다. 이 말은 동료 교사의 수업을 한 시간 내내 참관할 필요가 없음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정말 5분만 관찰해도 수업을 잘 평가할 수 있을까? (……) 우리 삶의 경험을 반추해 보면 곧 답이 나온다. 첫인상이 좋아서 사귀었다가 낭패를 당하는 일은 한두 사람만 경험하는 것이 아니지 않은가? 직관을 너무 믿다가 낭패를 당하는 일은 일상에서 자주 일어난다. 결국 지혜로운 판단은 직관의 경제성에 탐문과 조사의 무게를 더해야 비로소 획득된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최초의 소박한 직관 또한 훈련된 직관으로 진화해 갈 것이다.
- 〈수업 비평: 직관과 숙고의 변증법〉
나는 좋은 수업은 천의 얼굴을 가진다고 생각한다. 흔히 개혁의 큰 도정에서는 모두가 따를 수 있는 단순하고 선명한 도식이 이행의 전략으로 도움이 될 때가 있다. 그러나 인간 학습의 본질에 비추어 보면 좋은 수업의 모습은 천의 얼굴을 지닐 만큼 변화무쌍하고 다양하다. 그 점에서 수업 혁신을 주도하는 학교에서 교실 수업의 모양을 정형화된 몇 가지 좁은 틀에 가두는 오류를 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수업 전문가에게 필요한 것은 인간 학습에 필요한 수많은 전략들을 함께 고려하는 원숙함과 균형 감각이다.
- <원숙함과 균형 감각 그리고 창조적 탈주>
좋은 수업은 질문의 카오스 속에서 학습의 코스모스를 찾아가는 여정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학습자의 호기심 어린 수많은 질문에 잘 응대하는 능력을 익혀야 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현재와 미래의 학습과 성장을 위해서 바람직한 질문이 무엇인지를 식별해 내는 감식안을 지녀야 한다. 즉, 다양한 질문들 중에 이 시간에 다루어야 할 질문과 유보해야 할 질문을 구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루고자 선택한 질문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이 사유하고 토론하고 논쟁할 수 있는 시간을 허용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자신들이 생성한 질문을 교과의 정보와 지식들과 연결 지어서 해답을 찾아가도록 조력해야 한다.
- <하브루타로 보는 하브루타 과학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