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우리의 교사와 학생들이 세계의 BTS(The best teacher and student)가 되기를 꿈꾸며)

이혁규 (지은이)
교육공동체벗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50원 -5% 0원
570원
17,48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교사와 교사 되기 (우리의 교사와 학생들이 세계의 BTS(The best teacher and student)가 되기를 꿈꾸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801556
· 쪽수 : 449쪽
· 출판일 : 2021-11-11

책 소개

다양한 국내외 문헌과 법규, 역사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사 교육의 문제점을 짚고 개혁 방안을 제시한다. 중등 교사로서의 경험과 교육대학교에서 예비 교사들을 양성하는 ‘교사 교육자’로서 저자의 고민이 투영된 성찰적이면서도 깊이 있는 분석과 실증적이면서도 현실성 있는 대안이 돋보인다.

목차

책을 펴내며 …… 8

1장 ‘교사, 청소년들의 직업 희망 1순위’가 의미하는 것 …… 16
첫날 첫 수업의 풍경화 …… 36

2장 미국은 지금 ‘무능한 교사’와의 전쟁 중, 한국은? …… 38
국제 비교 교육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서 …… 60

3장 교사와 교사 교육의 제도적 기반에 대하여 …… 62
제도 개혁이 우선일까, 사람 교육이 우선일까 …… 82

4장 왜 우리 헌법은 ‘교원의 지위 보장’을 언급하고 있을까? …… 84
교권은 누구에 의해서 침해되고 있는가? …… 106

5장 교사 성장 없는 한국의 교장 승진 제도 …… 108
교장실일까, 총장실일까? …… 136

6장 사회적 통념을 넘어 교사 전문성 다시 생각하기 …… 138
배우고 나누는 즐거움이 있는 연수 …… 172

7장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방식의 문제와 교사의 새로운 역할 …… 174
교육과정, 쿠레레, 공부와 나의 관계 …… 220

8장 교육대학교가 걸어온 길, 목적형 교원 양성 제도를 위한 변론 …… 222
교원 양성 대학에서 배운 것이 현장에서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256

9장 교사 교육의 유전자gene가 부족한 중등 교원 양성 체제 …… 258
내 젊은 교사 시절의 교과서 …… 290

10장 한국 교사의 자기 효능감은 왜 낮은가? …… 292
현장의 교육 실천을 이끄는 교사 저자들의 베스트셀러 …… 322

11장 패러다임 전환에 기반한 교사 교육 개혁 방안 …… 324
어느 명문 대학(?!) 청소 노동자의 휴게 공간 …… 348

더 나은 교육을 위한 정책 제안들 …… 350

1 최소 30년을 내다보는 장기 계획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추진하자.
2 모범적 교육 사례를 사례 조사(benchmarking)부터 철저히 하자.
3 교원 양성 체제 개편의 큰 방향에 대한 공통 인식이 필요하다.
4 자율과 협치가 조화되는 교육적 의사결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 한다.
5 교원 양성 대학의 정원 관리는 질 높은 교사 교육을 위한 전제 조건이다.
6 교원 양성 대학 교수진의 교사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해야 한다.
7 교육 실습 제도의 개편은 교원 양성 체제 개혁의 맥점(脈點)이라 볼 수 있는 중요 사항이다.
8 교원 전문성 기준을 제정하여 교원의 상, 역할, 전문성 신장의 방향을 정립해야 한다.
9 전문성 기준에 기반하여 임용 시험 제도를 혁신해야 한다.
10 생애사적 교원 성장의 관점에서 교원 승진 제도의 틀을 다시 짜야 한다.
11 상치 교사를 없애기 위해서 교과의 교사 자격과 교원 양성 과정을 일치시켜야 한다.
12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관행을 근본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13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 위기 문제 등 위기를 다루는 교육 내용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14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서 ‘권역별 대학 정원 관리제(쿼터제)’와 ‘권역별 취업 할당제’라는 과감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특별 개혁 과제
학부 5년제 모델을 대안으로 제안하며 …… 390

에필로그
우리 교사와 학생들이 세계의 BTSThe best teacher and student가 되기를 꿈꾸며 …… 418

권장 도서 …… 426
감사의 글 …… 431
미주 …… 435

돋보기
한국의 교원 양성 교육은 국제적으로 어떻게 평가받고 있나? …… 26
학습자의 발달(성장) 과정에 대한 이해 : 교사 전문성의 정수(精髓) …… 46
개방형 vs 목적형, 부적절한 언어적 대비가 일으키는 혼선 …… 70
교과와 과목의 차이 및 교과(과목) 이기주의의 문제 …… 156
중등에 의한 초등 교육과정의 식민화(?!) …… 180
호모 파베르(Homo Faber) : 교과서를 따라서 vs 교과서를 넘어서 …… 190
교육과정 문서 형식 논쟁 : 대강화(大綱化) vs 상세화(詳細化)의 대립을 넘어서 …… 210
교육대학교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 246
사범대학 무용론에서 얻어야 할 교훈 …… 280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활동 성향 체크리스트 …… 314
‘교사 교육자(teacher educator)’ 개념이 열어 주는 가능성 …… 340

저자소개

이혁규 (감수)    정보 더보기
청주교육대학교 총장 수업과 학교 혁신, 한국 교육 생태계의 변화를 위해 연구하고 실천해 왔다. 1987년에 서울에서 교직 생활을 시작하여 중·고등학교에서 10년 2개월 동안 가르쳤다. 1997년부터 청주교육대학교에서 현장과 함께 호흡하는 연구와 실천을 하면서 예비 교사를 양성하고 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 한국열린교육학회 회장, 한국교육인류학회 부회장으로 일했으며,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에서도 오랫동안 활동해 왔다. 수업과 학교 혁신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현장의 다양한 교원단체와도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 2019년 12월에 청주교육대학교 제19대 총장 선거에 단독 출마하여 94.04%의 환산 득표율을 얻었다. 이 득표율의 무게감이 종종 가슴을 내리누른다. 2020년 3월 27일부터 소위 ‘코로나 총장’으로 일하고 있다. ‘모두가 존중받는 즐거운 학교’, ‘더불어 연구하고 실천하는 학교’,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자랑스러운 학교’를 공약하였다. 공약(公約)이 공약(空約)이 되지 않게 노력하고 있다. 위기의 시대에 올바른 의사결정과 민주적 리더십이 무엇인지 매일 고민한다. 한국 교육이 새로워져서 세계 사람들이 우리 교육을 배우러 오는 미래도 꿈꾸며 살고 있다. 쓴 책으로는 《수업 비평가의 시선》,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한국의 교육 생태계》,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교과 교육 현상의 질적 연구》가 있고, 함께 쓴 책으로는 《수업, 비평을 만나다》, 《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실행연구방법》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9월 11일 이후의 감시》가 있다. 언젠가 캠핑카를 빌려서 전국의 학교를 방문하면서 배우고 교류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고 산다. 정년을 맞이하기 전에 여러 나라의 수업을 관찰하여 국제 수업 비평에 관한 책을 내는 것도 여전히 숙제로 안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래의 교사는 잘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잘 배우는 사람이어야 한다. 교사는 계몽의 주체로 학생 앞에 서 있는 사람이 아니라 학생들과 더불어 배우기를 잘하는 존재여야 한다. 따라서 한번 교사는 영원한 교사라는 말은 틀린 말이다. 교사는 매일매일 ‘되기’를 연습하는 역동적인 학습자여야 한다. (중략) 이런 ‘교사 되기’를 평생의 과업으로 삼는 이가 더 많아지면 한국 교사들은 마침내 좁은 벽장을 힘차게 깨고 나와 더 넓은 초원을 달리고 광활한 창공을 비상할 것이다. 그리고 거인의 어깨에 앉아서 학습자들은 각자 자신의 되기를 연습하며 새로운 세상을 여는 힘 있는 주체들로 성장할 것이다. 그런 역동적 ‘되기’의 공동체 ― 학습자 되기, 교사 되기, 교사 교육자 되기, 민주 시민 되기 등 ― 로 함께 만나는 날을 꿈꾼다.
- 〈책을 펴내며〉


OECD의 각종 비교 자료에 의하면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서 교사의 급여가 높다. 교직이 사회적으로 우대받는 직업이기도 하다. 여기에 더하여 교원의 직업적 안정성이야말로 학생들이 교직을 지망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여기서 21세기 교사의 직업적 딜레마가 발생한다. 가장 안정적인 직업인인 교사가 ‘평생 직업’이 사라진 세상을 유영(遊泳)해야 하는 새로운 세대를 교육하는 역설이 생겨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이 생애 주기 동안에 평균적으로 10번 이상 직업 이동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런 세상을 살아갈 학생들에게 직업 안정성의 정점에 있는 교사들이 제대로 된 진로교육을 할 수 있을까? 딜레마는 직업교육이나 진로교육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과 삶을 대하는 태도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Zygmunt Bauman)은 현대 세계의 유동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액체 근대(Liquid Modernity)’라는 용어를 발명하였다. (중략) 액체 근대에 필요한 교사는 어떤 교사일까? 교사는 가르치는 존재라는 낡은 정체성을 폐기하는 것이 근본적 혁신이 아닐까? 액체 근대의 교사는 평생 잘 배우는 학습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재기획해야 한다.
- 〈1장 : ‘교사, 청소년들의 직업 희망 1순위’가 의미하는 것〉


‘가르치는 일을 의식적 헌신에서 천박한 노동으로 바꿔 버렸다는 비판을 받는 미국 교원노조 100년의 역사’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을까? 우리는 1970~1980년대 권위주의 정부의 억압적 통치에 절규해야 했던 시대와는 많이 다른 시대적 위기 ― 지구적 기후 위기, 사회적 양극화의 심화, 인구 감소와 노동 시장의 급격한 변화, 능력주의에 포획당한 교육, 기성세대와 신세대의 소통 불가능성의 증대 등 ― 를 맞고 있다. 그런데 이런 위기가 착실히 진행되는 동안에도 미국의 영향을 엄청나게 받는 사회적-학문적 구조에서 신자유주의적 교육 정책들은 지난 수십 년간 우리 교육계에 적지 않은 위력을 발휘하였다. 그것은 원래부터 국가 통제의 전통이 강했던 우리 교육계의 문제를 심화시키고 개혁의 방향을 표류하도록 만들었다.
미국과는 비교할 수 없는 안정적인 근무 조건과 더불어 뛰어난 역량을 지닌 한국의 교사들은 이런 위기를 뚫고 새로운 ‘참교육’의 이정표를 세울 수 있을까?
- 〈2장 : 미국은 지금 ‘무능한 교사’와의 전쟁 중, 한국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801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