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88970134680
· 쪽수 : 217쪽
· 출판일 : 2004-10-30
책 소개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들어가는 말
제1장 왜 대학서열체제가 문제인가
1. 현상에서 본질로
2. 대학서열체제란 무엇인가
3. 대학서열체제를 혁파해야 하는 다섯 가지 이유
제2장 개혁안의 갈래
1. 입시제도개선론
2. 국립대 독립법인화론
3. 대학평준화론
제3장 국립대 통합네트워크
1. 몇 가지 원칙들
2. 대학과 대학원 제도
3. 대학입학제도
4.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의 운영
5. 부대적 제도 개혁
6.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의 기대효과
제4장 실천 방안
1. 저항 세력들
2. 개혁 주체 세력
3. 실천 전략
제5장 질문과 답변
1. 대학이 하향 평준화되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 아닌가
2. 엘리트 교육을 포기하자는 말인가
3. 새로운 대학 서열을 막을 수 있는가
4. 대학입시 경쟁이 전문대학원 입학 경쟁으로 옮아가는 것 아닌가
5. 교육부의 통제가 더 심해져 대학의 자율성을 해치는 것 아닌가
6. 현재의 전문대학이 더 큰 문제가 아닌가
7. 노무현 정부가 실행에 옮길 수 있을까
맺는 말 - 교육 정책과 교육개혁운동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입시제도를 개선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시험 방법을 어떻게 바꾸느냐 하는 문제다. 그러나 지금의 입시 경쟁의 본질은 시험의 방법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경쟁의 방법을 개선한다고 해서 경쟁이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숟가락으로 밥 빨리 먹기 경쟁을 젓가락으로 빨리 먹기 경쟁으로 바꾼다면 승자와 패자가 바뀔지는 모르지만, 경쟁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현재의 무한 입시 경쟁의 본질은 대학서열체제다. 전국의 대학들이 서울대를 정점으로 하는 대학서열체제를 이루고 있고 학벌주의의 포로가 된 모든 학생들이 서울대에 가고 싶어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경쟁을 '완화'할 수 있겠는가. - 본문58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