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70136233
· 쪽수 : 586쪽
· 출판일 : 2007-04-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미적 경험과 예술 : 축제적 시간을 통한 삶의 고양 / 김진엽ㆍ하선규
제1부 고중세 미학 - 예술, 철학과 종교 사이에서
제1부 머리말 / 김진엽
아리스토텔레스 비극론의 카타르시스 해석 / 조요한
제2차 비잔틴 성상 파괴 논쟁과 동방 신학 / 김산춘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론적 미 개념 / 김율
더 읽을 자료
제2부 근대 미학 - 근대 세계와 미적ㆍ예술적 경험의 자율성
제2부 머리말 / 하선규
바움가르텐 《미학》이 성립 배경과 영향 / 이창환
칸트의 미적 겨험의 본질적 계기에 대한 분석 / 하선규
'상징적 예술 형식'의 해석을 통해서 본 헤겔 미학의 현재적 의미 / 권정임
쇼펜하우어 : 미적 무욕성과 열반 / 김문환
더 읽을 자료
제3부 현대 유럽 미학 - 근대 예술의 자기반성과 새로운 미학의 모색
제3부 머리말 / 하선규
크로체의 미학 : 직관과 표현으로서의 예술 / 오병남
루카치의 리얼리즘 관점에서 본 문학과 미술의 관계 / 이주영
아도르노의 리얼리즘론 : 예술과 사회의 비판적 매개 / 민형원
하이데거 사상에서의 예술의 위상 / 염제철
현상학적 미적 지각에 의한 예술 작품의 해석 가능성과 의의 / 김화자
더 읽을 자료
제4부 현대 영미 미학 - 현대 세계의 도전과 미학의 다원주의
제4부 머리말 / 김진엽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과 미적 경험 / 윤자정
예술로서의 일상 : 경험론적 함의와 그 실제 - 존 듀이의 미학을 우리 일상에 접목시켜 행복하게 살기 위하여 / 정순복
분석 미학에서 예술과 인지의 문제 : 비인지주의에서 인지주의로의 이행 / 황유경
시각적 재현의 객관성에 대한 고찰 / 오종환
형식주의와 모더니즘 / 조주연
더 읽을 자료
용어해설
찾아보기 / 인명
찾아보기 / 용어ㆍ서명 외
글쓴이 소개
책속에서
...근대 미학의 관점에서 보면 토마스의 미학 사상은 미의 개념이 미분화된 상태에 있다는 이유에서 한낱 미학의 전사로 치부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미를 선이라는 초월주 개념과의 관련 속에서 해명하는 관점은 중세의 정신적 배경 속에서는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에코는 미 개념을 형이상학적 가치 체계 속으로 통합하려는 시도, 그리고 형이상학적 가치 통합성 속에서 미를 바라보려는 관점이야말로 스콜라 미학의 역사적 특징이며 중세의 문화적 감수성을 잘 드러내는 것이라고 지적한다.-p101 중에서
...예술로서의 이러한 일상의 근원적 모습은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참모습으로서의 미적 경계를 간단없이 감지하여 의미로 조직화하는 유기적인 통일력으로서의 센스와 어우러져 뭇 생명 기운들의 아름다운 해후와 진정한 화해의 마당이 되어주는 것이다.-p45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