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013853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3-10-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왜 테크노 인문학인가
서론 인문학과 과학기술, 그 융합적 사고의 힘
1. 왜 인문-기술의 융합인가
2. 휴머니즘의 새로운 도전 ― 인간 향상 기술과 트랜스휴머니즘
3. 기술 기반 인간 조건의 변화와 인문학적 상상력
4. 인문학과 과학기술, 어떻게 융합할 것인가
제1부 이미지와 미디어
1장 인간학적 기계 : 몸, 미디어 그리고 상상력―21세기 이미지 테크놀로지는 왜 형이상학을 필요로 하는가
1. 영상 시대의 바빌론 신화 ― 이미지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2. 호모파베르 ― 몸과 미디어
3. 호모픽토르 ― 이미지와 미디어
4. 상상력과 인간학적 기계
― 이미지 테크놀로지는 왜 형이상학을 필요로 하는가
2장 이미지의 권력과 권력의 이미지
1. 왜 이미지는 권력인가
2. 이미지의 권력 ― 아이콘과 재현
3. 권력의 이미지 ― 시뮬라시옹과 이머전
4. 이미지 과잉 시대에 비판적 실천은 가능한가
3장 영상 인문학은 가능한가 ― 이미지의 ‘실재성’과 ‘초월성’을 중심으로
1. 이데아에서 이미지로 ― 왜 영상 시대인가
2. 이미지의 존재론적 이중성 ― 현상과 환상
3. 이미지의 현실화 ― 하이퍼리얼리티와 시뮬라시옹
4. 가상현실에 의한 이미지의 죽음 ― 영상 인문학은 가능한가
제2부 몸과 기계
4장 멀티미디어 정보 시대의 정신과 육체
―사이보그의 인간학은 과연 가능한가
1. 미디어 시대 ― 육체의 인간에서 의식의 인간으로
2. 디지털 의식과 가상현실 ― 미디어의 육체 지우기
3. 미디어의 변증법 ― 매체 제거의 직접성과 하이퍼미디어의 간접성
5장 사이보그도 소외를 느끼는가―디지털 시대의 자아와 정체성
1. 디지털 기술과 ‘포스트휴먼’ 시대
2. 디지털 정보기술의 이중성
3. 비물질적 정보에 의한 인간소외
4. 디지털 자아의 정체성
6장 태어난 인간과 만들어진 인간―인간 복제에 관한 철학적 성찰
1. 생명과 기술공학의 결합은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가
2. 인간 복제와 포스트휴머니즘 ― 몸의 기술화와 인간 본성의 도덕화
3. ‘생명’의 존엄과 ‘인간다운 삶’의 존엄
4. 인류의 자기 도구화와 바이오테크 시대의 생명윤리
7장 인간 복제 시대의 책임윤리
―개별적 인간은 인간 종種 전체에 대해 책임이 있는가
1. 인간 본성도 담론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2. 인간의 문화적 진보와 인류에 대한 책임
3. 인간 복제 담론과 ‘종種의 윤리’
4. 진보의 윤리로서의 책임윤리
8장 생명공학 시대의 ‘주체’ 또는 ‘탈주체’
―유전공학에 관한 지젝의 정신분석학적 계몽
1. 유전공학은 왜 정신분석학과 연결되는가
2. 생명윤리의 한계와 ‘무지’의 전략
3. 환상과 주체의 ‘탈중심화’
4. 유전공학 시대에 정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결론 인간과 기계의 융합
―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그리고 트랜스휴머니즘
1. 왜 인간과 기계의 융합이 문제되는가
2. 휴머니즘 ― 인간이 기술을 통제한다
3. 포스트휴머니즘 ― 기술이 인간을 만든다
4. 트랜스휴머니즘 ― 기술로 인간이 된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