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이론 심리학
· ISBN : 978897019159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08-05-10
책 소개
목차
1장 루머란 무엇인가?
2장 루머의 형태, 빈도 및 영향
3장 루머 유포의 심리적 요소
4장 루머의 믿음과 관련된 요소
5장 상황인식으로서의 루머
6장 루머의 정확성 : 내용 변화의 패턴, 개념화 및 전반적 정확성
7장 루머의 정확성과 부정확성의 메커니즘
8장 신뢰와 루머 전파
9장 루머 관리
10장 결론 : 요약, 모델 및 연구 어젠더
책속에서
기존의 연구 저작물과 우리의 경험적 연구 결과를 통해서 두 가지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조직 내에서의 루머는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인다. 작업장에서의 루머가 부정확하다는 평가는 분명히 그 자체로 부정확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불일치가 나타나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만일 실험 참가자들이 기억해 낸 루머의 절대적 다수가 진실이었다면 루머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에 아무런 의심도 가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패턴을 반복적으로 보았다.
루머에 대해 전반적인 질문을 던질 때, 사람들은 그것을 거짓이거나 혹은 질낮은 정보로 치부해버린다. 특정 루머를 기억해내라고 요청할 때, 사람들은 진실인 루머나 질높은 루머를 보고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불일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두 가지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인 바람직성에 대한 편견이 작동하고 있다. 즉, 조사 참가자들은 루머에 의지하는 것이 그다지 수용할 만한 행위가 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205쪽, '6장 루머의 정확성:내용 변화의 패턴, 개념화 및 전반적 정확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