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퇴계의 사람 공부

퇴계의 사람 공부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사람의 도리)

이황 (지은이), 이광호 (옮긴이)
홍익
15,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퇴계의 사람 공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퇴계의 사람 공부 (우리 시대의 언어로 다시 공부하는 삶의 의미, 사람의 도리)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퇴계/율곡
· ISBN : 9788970656878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9-05-02

책 소개

『퇴계집』에 수록된 퇴계의 글은 하나같이 퇴계가 일정한 학문적 수준에 도달하고 난 뒤에 쓴 것이어서 학술적 일관성이 뛰어나고 학문을 하며 몸과 마음으로 체험한 내용이 많아 독자에게 친숙하다. 그 중에서도 퇴계 실천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내용을 가려 뽑아 재편집한 책이다.

목차

들어가면서 _ 이황은 누구인가

1장 사람됨의 학문을 총정리하다
마음을 읊다
주세붕이 보내준 시에 답하다
하루를 돌아보며
한서암을 짓고
기꺼운 시골살이
도를 아는 사람이 드물구나
조용한 곳에서 수양해야지
완락재
시습재
한평생을 읊다
주자의 편지는 사람됨에 절실하다
《주역》으로 밝힌 자연의 이법
자신을 성찰하다
선현들의 마음 공부
사람됨의 학문을 총정리하다
마음을 공부하려면 《심경》을 읽어야 한다

2장 그대와 인간의 도리를 토론하니
고향 가는 김인후를 보내며
조식이 벼슬을 마다한 것을 보고 우러러보며
이이를 격려하며, 경계의 말도 함께하다
이담에게 주는 경계
그대와 인간의 도리를 토론하니
기대승에게 처세의 어려움을 하소연하다
부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라
제 자식 살리고자 남의 자식을 죽여서는 안 된다

3장 임금께 올리는 여섯 가지 조언
왜국의 사신을 끊지 마소서
맑게 갠 아침에
함경도 순변사 이준경에게 내린 교서
사직서
임금께 올리는 여섯 가지 조언
정치를 잘하려면 사사로운 마음이 없어야 한다
《성학십도》를 올리며

4장 진리를 기르는 암자에서
영지산에 소박한 집 한 채 짓고
소나무
봄날 고향을 그리며
청평산을 지나며
진리를 기르는 암자
한가하게 《무이지》를 읽고서
단양 군수로 나가는 길에
단양 산수에 대한 기록을 남기다
소백산 유람기
도산서당 지을 터를 얻고서
도산에서 시를 읊다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발문

5장 도가 세상에 행해지지 않는 이유에 답하라
백운동서원 여러 유생들에게 보이다
백운동서원을 사액서원으로 정해주소서
우리나라 유학자의 계통
계상서당서 강학을 시작하며
입춘을 맞아
학교란 무엇인가
도가 세상에 행해지지 않는 이유에 답하라
이산서원 규정
이산서원 기문
유학의 계보

6장 퇴계의 삶을 평하다
이이가 지은 〈퇴계 선생 유사〉
정약용의 《도산사숙록》
미국의 마이클 칼턴이 본 《성학십도》

연보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유학자. 평생 이학 연구와 실천에 힘을 기울여 동아시아 이학사의 이정표가 되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종사하다 일찍 물러나 서당을 짓고 이학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주자서절요』 『송계원명이학통록』 『계몽전의』를 편찬하여 이학을 밝혔고, 『연평답문』 『심경부주』를 활용하여 수신에 힘을 기울이면서 『자성록』을 남겼다. 만년에 조정의 거듭된 요청에 따라 예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하면서 「무진육조소」와 『성학십도』 등 정책과 학문 양쪽으로 선정의 방략을 건의했다. 문하에서 김성일·유성룡·정구·조목·이덕홍 등 후일 영남학파를 이룬 주요 학자들이 배출되었고, 기대승·성혼·이이 등 당대 조선의 학자들 대부분이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모범으로 삼았다. 이후 조선과 동아시아의 유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고, 현대에도 계속 재성찰되고 있다. 별세 뒤 도산서원이 건립되어 향사되었고, 문묘에 종사되었다.
펼치기
이광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서철학을 배우고, 민족문화추진회 한학연수과정과 한국고등교육재단 태동고전연구소 한학연수과정을 수료했다. 《주자의 격물치지설에 관한 고찰》로 석사학위를, 《이퇴계 학문론의 체용적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림대학교 철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퇴직했다. 서암학술(SBS) 재단 해외파견교수로 선발되어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방문교수가 되었고, 절강대학교 한국연구소 초빙교수를 지냈다. 태동고전연구소 소장,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부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한국동양철학회 회장, 국제퇴계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송문화재단의 주자학술상과 퇴계학연구원의 퇴계학술상을 수상했다. 《성학십도》, 《근사록 집해》, 《이자수어》, 《퇴계와 율곡, 생각을 다투다》, 《국역심경주해총람》, 《대학공의·대학강의·소학지언·심경밀험》, 《역주 대학·중용》(예기정의), 《대학·중용집주》, 《퇴계집》, 《퇴계의 사람공부》, 《고경중마방》 등의 역서와 저서, 그리고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도의에 뜻을 둔 우리나라 학자들 가운데 세상의 환란을 당한 사람이 많다. 이는 땅이 좁아 사람들이 경박해서 그렇기도 하지만, 스스로 힘쓰는 학문도 다하지 못함이 있어서 그렇다. 다하지 못한다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니다. 학문이 지극하지 못하면서 스스로 너무 높게 자처하고, 시대를 헤아리지 않고서 세상을 경영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 『퇴계집』, 권16, 서, 「답기명언(答奇明彦)」)


군자의 학문은 자기를 위할 뿐이다. 자기를 위한다는 것은 장식(張?, 1133~1180)이 말한 ‘인위적으로 위하는 것이 없이 그러한 것’이다. 예컨대 깊은 산 무성한 숲에 있는 난초는 종일토록 향기를 피우지만 자신이 향기를 발한다는 것조차 알지 못한다. 난초의 이러한 삶이 군자가 자기를 위한다는 뜻과 똑같다.
- 『퇴계전서』 4, 언행록, 권2, 유편(類編)


퇴계는 몸에 병이 있고 노쇠하며 능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려 53회나 사직을 청했다. 국가에서는 사직을 허락해서 선비가 염치를 존중하고 의리를 실현하도록 해야 한다. 선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의리의 실현이다. 그렇다면 의리란 무엇인가? 일의 마땅함을 의미한다. 일의 마땅함이란 무엇인가? 어떤 상황에 처하여 자신의 내면에서 빛나는 천리에 합당한 행위를 말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