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88970842622
· 쪽수 : 199쪽
· 출판일 : 2005-06-10
책 소개
목차
재판 서문
서문
1. 서론
멜란히톤
2. 고대
미와 자연에 대한 진실
아리스토텔레스
키케로: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절충
세네카
플로티노스
3. 중세
예술가의 '유사 - 이데야'
4. 르세상스
실제 '미술 이론'의 탄생
초기 르네상스 실제 미술 이론의 반풀라톤적 기원
비례로서의 미
파치노
알베르티
라파엘로
바사리
전성기 르네상스 미술 이론의 이데아 재정의
5. 매너리즘
규범에 대한 저항
매너리스트 사고의 이중성
미술 창조의 '가능성'에 물음
사색적 사고로 전환된 미술 이론
주카리 : 아리스토텔레스 - 토마스 아퀴나스의 경향
신플라톤주의와의 관계
로마초
로마초의 이데아와 피치노의 향연에 대한 해설
6. 고전주의
'매너리즘' 과 '자연주의' 양자에 대립되는 '이상주의'
벨로리
'정화된' 자연으로서의 이데아 : '이상적 미'
규범 미학으로의 전환
7. 미켈란젤로와 뒤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의 미켈란젤로
뒤러의 고전적 성향과 낭만적 성향
뒤러의 이데아의 기본 성격
부록 1: G.P. 로마초의 아름다운 비례에 관한 장과 파치노의 향연에 대한 주석
부록 2: G.P. 벨로리의 "자연적인 아름다움들로부터 선택된, 자연보다 우월한 화가.조각가.건축가의
이데아"
본문과 부록에 관한 주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이처럼 초기 르네상스의 이론가들은 주로 자연에서 멀어지는 것을 경계하으로써 그 시대의 미술적 관습을 인정할 수 있었다. 반면에 고전주의 미술 이론가들은 두 진영과의 투쟁, 예컨대 자신들이 물려받은 미술적 전통뿐 아니라 미술적 환경까지 거부해야 하는 이중의 방어자세를 취하도록 강요받았다.
그들은 매너리스트들뿐 아니라 "자연주의자의 이름으로 스스로 영예를 누리는" 예술가들 또한 옳지 않음을 증명해야 했으며, 미술의 진정한 구원을 이 두 동일한 파괴적 극단 사이에서 찾아야 했다. 그들은 이러한 중용의 확실한 근거를 고대미술에서 발견했고, 고대미술은 '자연주의적'일 뿐 아니라 진정 '자연적'인 미술로 존경받게 되었다.
여기서 '자연주의적'인 것을 '자연적'인 것과 구분하여 말하는 것은 전자가 '순화되고', '고상한' 제한된 현실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본문 86~8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