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70843568
· 쪽수 : 335쪽
· 출판일 : 2007-12-30
책 소개
목차
서문
머리말
제1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기초
제1장 삶을 위한 미술교육 - 개념적, 문화적 기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표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내용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구조 / 실질적 삶의 문제들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2장 실제적 교수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이론적 기초
교육적 이론 : 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실제적 교수 : 삶을 위한 미술교육 모델 / 미술에서의 실제적 교수와 학습의 구축 / 실제적 교수의 평가 / 실생활에서의 실습으로서 미술학습의 예시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2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교수, 학습 전략
제3장 미술교육과 시각문화
시각문화에 대해 / 시각문화 교육 / 미술교육에서 다루는 시각문화의 기원 : 역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현대의 조류 : VCAE / 사례 : 환경 광고로 호소하기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4장 개인적인 표현과 창의성
개인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창의성 / 창의적 특성과 미술 수업 : 사회적 전망 / 인지로서의 창의성 : 은유의 결정적 역할 / 학교에서의 창의적 환경의 발전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5장 미학
무엇이 미학인가? / 미학의 주 관심사는 무엇인가? / 미학자들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 비판적 탐구로서의 미학 : 탐구과정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6장 미술 비평
무엇이 비평이며 왜 미술비평을 하는가? / 미술 비평의 전제들 / 교육적 미술 비평 / 미술 비평을 위한 모델들 / 추가 활동들 : 미술 비평 전략들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7장 미술사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미술사 / 미술사의 실제 / 교육 안에서의 미술사 / 바이외 태피스트리 : 실제적 미술사 수업의 한 사례 / 미술사를 통한 사회적 의식의 발전 / 실제적 미술사를 위한 활동들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8장 미술 제작
의미를 위한 미술 제작 / 매체를 이용한 상징적 의사소통으로서의 미술 제작 / 미술 제작의 과정 / 손을 통한 배움에 대한 신념 / 미술 제작에서의 질적 교수법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9장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미술교육
테크놀로지와 문화 / 새로운 테크놀로지 : 미술가, 이슈, 그리고 아이디어 / 새로운 테크놀로지 : 미술교육을 위한 이슈, 내용, 방법 / 빌 비올라 연구 :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수업 사례 / 결론 /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제3부 교수를 위한 모델
주제별 탐구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중심 주제 / 주제 중심의 미술 활동 / 이어지는 교수 단원들
제10장 연구일지와 자기 의식 능력
개요 / 주요 개념 / 기초 내용 / 학습목표 / 유의점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제11장 크쥐슈토프 우디츠코와 미술의 사회적 의무
개요 / 주요 개념 / 기초 내용 : 크쥐슈토프 우디츠코와 미술의 사회적 의무 / 학습목표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제12장 <구름이 가득한 바다> 시엘버그먼, 낸시 메릴, 그리고 환경 의식
개요 / 주요 개념 / 기초 내용 / 학습목표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제13장 프레드 윌슨의 설치미술과 역사적 내러티브의 재구성
개요 / 주요 개념 / 이슈와 가설들 / 기초 내용 / 학습목표 / 유의점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 확장 또는 대안
제14장 차넬 할러웨이의 미술 작품을 통한 정체성 문제 탐구
개요 / 주요 개념 / 기초 내용 / 학습목표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제15장 평화를 위한 미술
개요 / 주요 개념 / 기초 내용 / 학습목 / 학습자료 / 과정 / 평가
제16장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종합
의미 탐색으로서의 미술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의 내용으로서의 문화 / 실제적 교수의 의미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의 교육적 철학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전략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의 개념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의 목표인 공동체적이고 사회적인 성장 / 결론
핵심 용어
참고문헌
그림출처
찾아보기
옮긴이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가치 있는 수업전략은, 개인적으로 동기부여가 되어 있고 개인적으로 책임 있는 현대미술과 과거의 미술에 대한 미술사적 탐구이다. 우리가 옹호하는 미술사적 탐구의 종류는 미학적 탐구, 미술 비평, 사회과학 등과 혼합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탐구가 가능하다고 믿으며, 그 이유는 너무나 많은 1차적 자료들이 학생들에게ㅡ특히 지금은 테크놀로지가 그들에게 현대의 미술과 미술가들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하고 있으므로ㅡ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미디어 위주 문화에서, 현대의 미술가들은 종종 미술잡지들, 정기간행물들, 인터뷰 기사, 그리고 온라인 상에 소개되어 있다. 이렇게 드러냄으로써 그들은 미술세계에서 유명해지며, 이 유명세가 종종 더 많은 정보를 창출하게 한다. 많은 미술가들이 그들 자신의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고, 그리고 온라인상으로 가끔씩 인터뷰를 하고 질문에 답도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은 단지 미술사에서 소개된 작품들과 미술가들에 대한 설명을 넘어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동기부여된 학생들은 오래된 거장에게서 자신의 개인적인 상황들에 빛을 비추어 줄 새로운 의미들을 발견할 것이고, 또 그렇게 되길 바란다.
- 본문 162쪽, '제2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전략 : 미술사와 학생들이 구성한 의미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