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미술교육의 기초

미술교육의 기초

한국조형교육학회 (지은이), 류지영, 이은적, 안혜리, 이주연, 김선아 (엮은이)
교육과학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000원 -0% 0원
0원
30,000원 >
30,000원 -0% 0원
0원
3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미술교육의 기초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미술교육의 기초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예체능교육 전공
· ISBN : 9788925410654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미술교육 관련 이론으로부터 역사와 계보, 틀과 기본개념, 수업 체계와 방법 및 교육현장에서의 실천 등 미술교육에서 쌓아온 학문적 성과의 집대성이다. 미술교육을 조망하는 이론적 정리 및 통합의 결과가 체계적이면서도 사전적 구성으로 간결하고 명쾌하게 제시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목차

집필진 3
서문 5
차례 6

Part. Ⅰ
미술교육이란 무엇인가?
chapter 1 미술과 미술교육
1-1. 미술에서 미술교육으로 10
1-2. 미술교육의 목적 14
1-2.1. 미적 감수성과 정서, 심미안 16
1-2.2. 자기표현 20
1-2.3. 시각적 소통 23
1-2.4. 문화적 소양 26
1-2.5. 창의성 30
1-2.6. 비판적 사고 34
1-2.7. 매체 활용 38
1-3. 교과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42
1-4. 미술교육의 연구방법론 46
1-4.1. 양적 연구 50
1-4.2. 질적 연구 54
1-4.2.1. 실행연구 58
1-4.2.2. 내러티브 연구 62
1-4.2.3. 역사연구 66
1-4.2.4. 예술기반연구 70
1-4.2.5. 민족지학적 연구, 해석학적 연구, 생애사 연구 74
1-4.2.6. 현상학적 연구 78

chapter 2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흐름
2-1. 근대 미술교육의 시작 81
2-2. 일제 강점기 83
2-3. 일본 자유화운동 및 그 이후의 영향 85
2-4. 교수요목기~제3차 미술과 교육과정 87
2-5. 4~6차 미술과 교육과정 91
2-6.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 이후 94
2-7. 미술교육 학회의 형성과 발전 98
2-8. 한국 미술교육의 전망과 비전 100

chapter 3 외국 미술교육의 이론과 역사
3-1. 근대 미술교육의 시작 102
3-2. 표현기능중심 미술교육 106
3-3. 바우하우스 110
3-4. 창조표현주의 미술교육 114
3-5. 학문중심 미술교육 118
3-6. 다문화 미술교육 122
3-7. 시각문화교육 124
3-8.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미술교육 127

chapter 4 외국의 미술교육
4-1. 미국의 미술교육 131
4-2. 영국의 미술교육 134
4-3. 독일의 미술교육 138
4-4. 프랑스의 미술교육 142
4-5. 호주의 미술교육 146
4-6. 일본의 미술교육 150
4-7. 중국의 미술교육 154
4-8. 대만의 미술교육 157

chapter 5 최근의 미술교육
5-1. 인문학과 미술교육 161
5-2. 융합교육과 미술교육 164
5-3.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 168
5-4. 고령화 시대의 미술교육 172
5-5. 미술영재교육 176

Part. Ⅱ
미술교육의 내용
chapter 1 조형 표현의 발달과 유형
1-1. 예술통합과 놀이 182
1-2. 아동화 연구의 역사 186
1-3. 발달의 일반적 특성 및 미술발달단계 189
1-4. 아동화 연구의 사회문화적 관점 193

chapter 2 주제표현의 지도
2-1. 주제표현 197
2-2. 풍경표현 198
2-3. 관찰표현 202
2-4. 상상표현 204
2-5. 경험표현 208

chapter 3 평면표현의 지도
3-1. 회화와 드로잉 212
3-2. 전통미술 지도의 목적과 내용 216
3-3. 수묵화 219
3-4. 수묵담채화와 채색화 223
3-5. 민화 227
3-6. 서예 231
3-7. 전통미술의 감상과 평가 235

chapter 4 입체표현의 지도
4-1. 입체표현의 목적과 내용 239
4-2. 점토놀이 243
4-3. 조소 245
4-4. 입체의 확장 249
4-5. 조각의 감상 252

chapter 5 공예교육
5-1. 공예교육의 목적과 종류 256
5-2. 공예교육의 내용과 지도 260
5-3. 종이공예 264
5-4. 도자공예 268
5-5. 전통과 현대 공예의 감상 272

chapter 6 조형언어의 지도
6-1. 조형요소와 원리 275
6-2. 조형요소 1: 점, 선, 면, 형과 형태 279
6-3. 조형요소 2: 명암, 양감, 질감, 동세 283
6-4. 조형요소 3: 색채 287
6-5. 조형요소 4: 공간 291
6-6. 조형원리 1: 통일, 변화, 강조 295
6-7. 조형원리 2: 율동, 균형, 대비 299
6-8. 조형요소와 시각체제 303

chapter 7 디자인교육
7-1. 디자인교육의 목적과 내용 307
7-2. 디자인교육의 방법과 지도 311
7-3. 환경·공공디자인 315

chapter 8 영상, 미디어교육
8-1. 사진과 영상 교육 319
8-2. 애니메이션과 미술교육 323
8-3. ICT 활용 미술교육 327

chapter 9 미술교육에서의 환경과 건축
9-1. 환경과 미술 330
9-2. 건축 334
9-3. 전통과 현대 건축 감상 338

chapter 10 감상교육
10-1. 표현에서 감상으로 342
10-2. 감상교육의 목적과 내용 345
10-3. 미술 감상교육의 구조와 방법 349
10-4. 미술비평 학습 353
10-5. 감상놀이 357
10-6. 미술관·박물관 교육 361
10-7. 미술관·박물관과 감상교육 364
10-8. 한국 미술의 변천 367
10-9. 서양 미술의 변천 371

Part. Ⅲ
수업설계와 실제
chapter 1 수업설계
1-1. 수업설계 376
1-2. 수업지도안의 작성과 점검 380
1-3. 수업설계모형 382
1-4. 창의력 신장 학습 지도 386
1-5. 학습의 개별화와 개성화 390
1-6. 체험 활동 393
1-7. 표현 활동 396
1-8. 감상 활동 400
1-9. 미술 교재 연구 404
1-10. 미술 교실 환경 408
1-11. 미술교과 연계활동 412
1-12. 미술교과 외 미술활동 415
1-13. 미술교육과 안전지도 419

chapter 2 평가
2-1. 평가의 목적과 내용 423
2-2. 평가의 방법과 실제 425
2-3. 평가의 대상과 방향 429
2-4. 평가 결과의 활용 433

chapter 3 교사
3-1. 미술 교사상 435
3-2. 미술 교사의 내용 교수지식(PCK) 438
3-3. 수업비평 442
3-4. 미술 교사의 전문성 446

참고문헌 448

저자소개

한국조형교육학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류지영(춘천교육대학교) 김효정(이화여자대학교) 안지연(아주대학교) 이주연(경인교육대학교) 김향미(숙명여자대학교) 강윤정(플로리다주립대 박사) 강은영(심석중학교) 고황경(부천동여자중학교) 공완욱(춘천교육대학교) 김상미(성균관대학교) 김선아(한양대학교) 김수진(서울교육대학교) 김정현(한양대학교) 김지혜(광문고등학교) 김해경(경인교육대학교) 김효희(대안여자중학교) 남영림(서울교육대학교) 박상돈(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소영(서울교육대학교) 박진희(한양대학교) 백애정(대진고등학교) 성묘진(서울미래초등학교) 송명길(한국교육과정평가원) 심영옥(경희대학교) 안혜리(국민대학교) 이미희(운중초등학교) 이선혜(한양대학교) 이윤희(서울영등포초등학교) 이하림(인천갈월초등학교) 장유정(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장현주(덕천초등학교) 정옥희(전주교육대학교) 조성인(경기도교육청) 조원상(서울금양초등학교) 하영유(경상국립대학교) 현은령(한양대학교) 황연주(청주교육대학교) 1984년 4월 1일 창립(초대회장 김정 교수)되어 국내 조형교육 및 미술교육 분야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학술 단체이다. 유아, 초·중등, 대학 및 평생 교육에 이르기까지 미술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실천가가 모인 학술 공동체로서 40주년을 향해 나아가는 긴 시간 동안 미술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고 미술교육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여 왔다. 2004년부터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를 유지하고 있는 『造形敎育』을 연 4회 발간하고 있으며 세계미술교육학회(InSEA), 일본 미술과교육학회 등 국제 학술단체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고 있다. 본 학회에서는 자생적이고 토착화된 미술교육 이론의 정립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국 미술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한 단행본 발간 사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현대 미술교육의 동향을 제시하는 주요 연구들로 이루어진 『꼭 읽어야 할 한국미술교육 40선』(2014), 미술교육을 조망하며 미술교육의 틀과 구성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여 집대성한 『미술교육의 기초』(2016)에 이어, 미술교육을 통한 사회와 삶의 연결을 거시적 관점에서 시도한 『미술교육으로 삶·사회 가로지르기』(2019), 그리고 창의·융합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본연 및 방향성을 제시한 『창의·융합 미술교육』을 발행하였다. 이번 저서에서는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둘러싸고 내·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여러 논의들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 미술교육 공동의 관심과 고민, 그리고 그 결과로서의 실천들을 다루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저서들과 마찬가지로, 다원화되는 사회 속에서 현재 우리나라 미술교육이 자리하고자 하는 학문적 범위를 가늠해 보는 것과 동시에 앞으로 도전하고 넘어서야 할 경계를 탐색하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집단 지성을 활용하여 미술교육의 의미와 내용이 보다 역동적으로 생산, 공유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다양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에 관한 각양각색의 경험과 목소리를 한 권의 책으로 엮어내는 일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수반한다. 또한 한 사람만의 힘으로는 불가능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현재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미술교육 저서의 연이은 기획, 출간은, 선도적인 학술단체로서 한국조형교육학회가 해야 할 본연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뜻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저서 출판을 계기로 미술교육의 지평을 확장하는 데에 국내외 미술교육 연구자들의 협력적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펼치기
이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네브라스카 주립대학교에서 미술교육을 전공하고 2000년부터 경인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조형교육학회 회장 (2007.3-2009.2)을 역임했다. 《아크릴 기법》, 《유화 기법》, 《인상주의》 등 다수의 번역서와 《미술교육과 문화》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2010년 중학교 1.2.3학년 미술 교과서 및 지도서를 집필했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및 지도서를 집필할 예정이다.
펼치기
이은적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 조형예술학과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문화교육학회 회장,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부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회 활동을 해왔으며 2018년 한국의 미술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시각문화 미술교육,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핵심역량함양을 위한 미술교육,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교육, 미래사회의 미술교육, 미술이론과 문화이론 등을 연구하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공저로는 『재미있는 미술감상 수업』, 『우리 미술의 감상과 교육』, 『미술교육학』, 『미술과 교수법』 등이 있으며, 공번역으로 『인지중심미술교육론』,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등이 있다. 2007 개정, 2011 개정,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와 지도서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이은적의 다른 책 >
류지영 (엮은이)    정보 더보기
일본 국립 동경학예대학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 요코하마 국립대학교 강사와 객원연구원,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교환교수와 일본 정부지원 초빙교수 등을 역임했다. 춘천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회장, 한국조형교육학회 부회장 등으로 교사교육과 함께 예술영재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연구재단 연구와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업 등 미술교육 관련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해왔다. 미술교육, 미술감상교육, 수업 연구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연구하며 저서로 『미술감상교육』, 『커뮤니케이션 미술감상』, 『미술감상』(2019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외 다수, 역서로 『박물관교육의 기본』, 『미술관교육』(공역), 『미술 수업설계 다시보기』, 다수의 학술논문이 있다. 2017년 미술교육 연구 분야의 업적과 학술연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김정학술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선아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03년 미국 시러큐스 대학에서 미술교육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한양대 응용 미술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안혜리 (엮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미술사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주리대학교에서 미술교육전공으로 석사학위와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이화여대, 한양대, 경인교대, 춘천교대 등에 출강했으며 2008년 인시아(InSEA) 아시아지역대회 조직위원을 맡은 바 있다. 저서로 『문화 탐구로서의 미술 교육 Art Education as Critical Cultural Inquiry』(공저), 『추상미술 읽기』(공저)가 있으며 다수의 학술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