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8897141669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04-12-14
책 소개
목차
동서독의 통합과정에서 본 민중과 지식인 문제
1. 들어가는 말
2. '동독 혁명'의 초기국면 - "우리가 인민이다!"
3. '혁명'의 굴절 - "우리는 한 민족이다!"
4. 독일통일과 동독 민중
5. 민중과 지식인
독일통일과 민족문제를 보는 몇 가지 시각 - '전환기' 독일작가들의 논의를 중심으로 -
1. 글머리에
2. 마틴 발저와 권터 그라스 - 통일국가냐 국가연합체냐
3. 권터 드 브루윈 - ‘기쁨에 찬 환호성’과 ‘비통에 젖은 조가’ 사이에서
4. 하이너 뮐러 - 공산주의냐 야만이냐
5. 결론을 대신하여
문화통합 과정에서의 구동독 작가들의 재정위(再定位) 과정
1. 통일 독일과 구동독 문학의 동향
2. 통일 문단에서의 구동독 제2세대 작가들의 상황
3. 구동독 제3세대 작가들의 새로운 시도
4. 「태양가로수길의 더 짧은 쪽 끝에서」에 나타난 과거극복의 양상
하나의 문학인가, 두 개의 문학인가? - 동서독 문학의 성격에 대한 통일 이전의 논의
1. 냉전시대 - 서독 : 하나의 문학론, 동독 : 두 개의 문학론
2. 동서화해시대 - 하나의 문학론에서 두 개의 문학론으로
3. 80년대 - 새로운 동질론 또는 동질성과 이질성의 병존론
통일 이후 동서독 문학사 및 통일문학사 서술 문제
1. 통일 이후 동서독 문학의 성격에 대한 논의
2. 기존의 동서독 문학사 서술의 문제점
3. 통일 이후 나온 동서독 문학사 및 통일문학사 서술 시도
독일통일에 따른 동독 문학제도들의 붕괴.재편 과정
1. 들어가는 말
2. '독서의 나라'의 붕괴와 작가들의 위상 변화
3. 문학.예술 단체들의 통합과정 - 예술원과 PEN의 사례를 중심으로
4. 출판사들의 재편 과정 - 아우프바우 출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5. 문예잡지들의 재편 과정 - 「의미와 형식」의 사례를 중심으로
6. 글을 마치면서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1. 동서독 독일어의 분리 과정
2. 동서독 언어 통합을 위한 전제
3. 서독어 중심의 일방통행적 언어통합
4. 언어통합에 대한 동독인의 반응
5. 의사소통의 갈등
6. 맺는 말
통일 이후 독일의 언어정책과 언어교육분야의 통합과정
1. 통일 이후 독일의 언어정책
2. 통일 이후 언어교육의 통합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