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홍대용 (지은이), 김태준, 박성순 (옮긴이)
돌베개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71991329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01-08-10

책 소개

<을병연행록>은 북학파의 사상적 지도자였던 홍대용이 1765년에서 1766년에 걸쳐 당시 서장관으로 뽑힌 작은아버지를 따라 중국에 가서 천문 지리 역사 등에 관한 지식과 문물을 배우고 돌아와 그 6개월간의 여정을 기록한 여행 일기로, 한글로 씌어진 최초의 장편 기행문이기도 하다.

목차

1. 압록강을 건너다
-경성을 떠나다
-요동벌을 지나다
-산해관에서 정녀묘를 보다

2. 드디어 북경에 들다
-북경에 들어가다
-조참에 따라가 황제의 행차를 보다
-정양문 밖에서 희자 놀음을 보다
-관에서 환술을 보며 즐기다

3. 천주당과 유리창에 가다
-유리창에서 북경의 문물을 보다
-천주당에서 서양 신부를 만나다
-몽고관과 동천주당에 가다
-항주 선비들의 이야기를 듣다

4. 천애의 지기를 이루다
-간정동에서 중국 선비를 만나다
-태화전의 장려한 기상을 보다
-황제가 노닐던 서산을 구경하다
-담헌 팔경을 노래하다
-천애의 지기를 이루다
-혼천의 제도를 논하다
-마침내 이별이 되다

5. 의무려산에 오르다
-의무려산에 올라 북진묘를 바라보다
-다시 압록강을 바라보다

부록
-홍덕보 묘지명
-담헌 홍덕보 묘표
-회우록서
-홍대용의 여행 경로
-홍대용 주요 연보
-홍대용의 주요 저서
-인명해설

-찾아보기

저자소개

홍대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학파의 선구자 혹은 과학사상가로서 ‘지구가 자전한다’는 지전설을 주창한 홍대용은 1731년(영조 7) 충청도 천안군 수신면 장산리 수촌에서 태어났다. 마음만 먹으면 출세를 보장받는 가문 출신이지만, 순수한 학문의 길을 선택하여 과거시험은 크게 신경 쓰지 않았다. 12세에 석실서원에 들어가 23년간 기호학파의 대표적인 유학자 김원행 아래에서 수학하였으며, 천문학·수학·역산학·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관심을 가졌다. 홍대용의 일생에서 가장 전환점이 된 사건은 중국 연행이다. 1765년 홍대용은 서른다섯의 나이로 중국 땅을 밟기 위해 압록강을 건넜다. 이때 북경 유리창에서 만난 항주의 선비 엄성과 반정균, 육비와 시공을 초월한 우정을 나누면서, 그리고 천주당과 관상대를 방문하여 서양의 문물을 접하면서 홍대용은 서서히 새로운 세계관을 가진 인물로 탈바꿈되어갔다. 불멸의 명저 『의산문답』은 중국 연행을 다녀 온 후 쓴 책이다. 40대에 들어서 음직으로 관직에 나갔고 정조 임금이 왕위에 오르기 전 17개월 동안 세자익위사에서 근무하면서 그 경험을 바탕으로 『계방일기』라는 글을 남겼다. 어머니의 병을 구실로 고향에 돌아와 있던 홍대용은 1783년 10월 23일에 생애를 마감했다. 꼭 52년하고도 7개월 남짓의 길지 않은 일생이었다. 그의 본관은 남양南陽, 호는 홍지弘之라 했고, 자는 덕보德保, 당호로는 담헌湛軒을 썼기 때문에 오늘날 그의 문집은 『담헌서湛軒書』란 이름으로 남아 있다.
펼치기
김태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Born in 1939 at Jangyeon, Hwanghae Province.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Dongguk University. Received a Ph.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Tokyo University. Professor of Korean Literature at Myongji University from 1968 and at Dongguk University from 1986. Currently professor emeritus at Dongguk University. [Published Works] Biography of Hong Dae-yong A Comparative Study of Chunhyang-jeon(Co-author) An East Asian Perspective of Korean Literature(Three Volumes) Geography in Literature: Mental Images of Koreans(Compiler, three volumes) On the Ancient Road to China(Co-author) From Vain Learning to Practical Learning(Japanese) A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Joint translation) 1939년 황해도 장연에서 출생.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국문학과와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에서 문학석사와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8년부터 명지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1986년부터 2005년까지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명예 교수. [저서] 춘향전 비교 연구(공저) 홍대용 평전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시각 1, 2, 3 문학지리-한국인의 심상공간 상, 중, 하(편저)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공저) [역서] 일본문학사 서설(공역)
펼치기
박성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 역사학과 및 고려대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한국근대사 전공.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미국 UCLA 방문학자를 역임하였다. 현재 단국대 교양교육대학 부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 이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사전 편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우당 이회영과 범정 장형의 발자취를 찾아서』, 『‘조선심’을 주창한 민족사학자 문일평』, 『호모클래식스, 고전으로 자본주의를 넘다』(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선비의 배반』, 『박제가와 젊은 그들』, 『한 권으로 읽는 성웅 이순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1910년대 신흥무관학교 학생모집의 경로와 거점」, 「石洲 李相龍의 <滿洲紀事> 분석을 통해 본 新興武官學校의 하급교육기관 실태」, 「梵亭 張炯의 獨立運動과 그 位相」, 「독립운동가 梵亭 張炯의 단군민족주의와 건학이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