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1996140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4-10-06
책 소개
목차
일상개념총서 발간사
책을 펴내며_ 근대의 아이콘, ‘청년’의 개념을 탐색하다
프롤로그_ ‘청년’이라는 개념의 역사에서 담론의 역사까지
1부 근대적 의미로서 ‘청년’ 개념의 도입: 1900~1910년대
1장_ 소년은 청년이고, 청년은 소년이다?: 전통사회의 젊은이
고중세 시기 중국과 한국의 젊은이 호칭ㆍ조선 후기 젊은이에 대한 호칭과 인식
2장_ 새로운 세상, 새로운 젊은이: 문명개화론과 ‘청년’의 도입
개화를 둘러싼 신학·구학 논쟁과 세대 관념의 변화ㆍ‘청년’의 도입과 그것이 직면한 시련
3장_ 청년, 애국심과 계몽에 의해 ‘국민’이 되다
청년, 다시 등장하다ㆍ1900년대 국내의 청년론ㆍ1900년대 유학생의 청년론
4장_ 부형도 없고 선배도 없어라: 1910년대의 청년론
본격적인 근대인으로서의 청년의 부상ㆍ『학지광』 그룹의 청년론ㆍ청년, 일상으로 정착하다
2부 ‘청년’ 개념의 발달과 분화: 1920년대
1장_ 민족과 청년: 민족주의 청년론
1920년대 전반기의 사회운동과 청년ㆍ조선의 청년, 청년의 조선ㆍ청년과 청년성: 어떻게 청년이 될 것인가?ㆍ사회주의 청년론에 대응하기 위한 민족주의 청년론의 전환ㆍ민족주의 청년론과 성性
2장_ 계급과 청년: 사회주의 청년론
진보적 청년론의 대두(1921~1922년)ㆍ전위로서의 청년(1923~1926년)ㆍ계급의 전면적 등장과 ‘청년’의 위상 약화(1927~1930년대 초)ㆍ1920년대 사회주의 청년론과 성性
3부 제국주의 권력과 ‘청년’ 개념의 변화: 1930~1940년대
1장_ 모범청년과 중견청년: 총독부의 청년정책과 ‘청년’ 개념의 변화(1930년대)
총독부의 정책과 청년 통제ㆍ지도와 훈련의 대상이 된 청년ㆍ‘실질’과 ‘착실’로 탈정치화되는 청년: 모범청년ㆍ제국주의 권력과 지역사회를 매개하는 청년: 중견청년
2장_ 계몽과 혁명: 조선인 사회운동의 청년론
계몽적 청년상의 재구성: 민족주의 진영의 청년론ㆍ청년의 계급별 해체와 약화: 사회주의 진영의 청년론
3장_ 청년, 길을 잃다: ‘청년’의 속류화와 파시즘
고뇌하는 청년, 병든 청년ㆍ속류 영웅론과 파시스트 청년론ㆍ입신출세 지향 ‘청년’의 확산
4장_ 전시체제하의 청년(1937~1945년)
조선 청년, 전시 동원의 제일선에 서다ㆍ일제 침략전쟁의 도구, 흥아청년
5장_ 청년, 국가에 속하다
청년단 체제와 국가에 부속된 청년ㆍ국가 소유가 된 청년의 몸ㆍ조선 청년, 황국 군인이 되다
4부 청년의 두 얼굴, 국가 폭력과 저항의 주체: 해방 이후
1장_ 반공청년의 시대(해방~1950년대)
거리에 넘쳐나는 정치·폭력 청년: 해방공간의 좌우익 청년 간 투쟁ㆍ반공국가의 청년ㆍ한국전쟁과 전후의 청년
2장_ 저항과 재건: 청년, 역사의 주체로 다시 살아나다(1960~1970년대)
젊은 사자들의 등장: 4월 혁명과 학생운동ㆍ청년, 재건운동과 새마을운동을 이끌다ㆍ1970년대 청년문화와 저항의 청년 전략
에필로그_ 근대가 호명한 청년, 청년이 만든 근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