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죽은 신의 인문학

죽은 신의 인문학

이상철 (지은이)
돌베개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죽은 신의 인문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죽은 신의 인문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신화/종교학 > 종교학 > 종교학 일반
· ISBN : 9788971998540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8-07-02

책 소개

신이 사라진 시대, 신학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저자는 신학이 자족적이고 폐쇄적인 종교의 범주에 갇혀 있어서는 시대와 호흡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목차

프롤로그―‘인문/신학’이라는 새로운 상상력

1부. 파국의 윤리
Intro. 인문정신은 왜 윤리적이고, 윤리는 왜 파국인가?


1장 주체여, 안녕!―자기의 윤리
윤리학 일반에 관하여|코기토의 탄생과 근대의 출현|근대성의 정점, 칸트의 선험적 주체|문제적 인간, 미셸 푸코|주체의 윤리에서 자기의 윤리로

2장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타자의 윤리
‘타자’는 어떻게 시대의 화두가 되었는가|헤겔의 타자론?내 안에 너 있다|포스트모던 시대의 타자론|너희가 레비나스를 아느냐|타자의 얼굴, 타자의 윤리|그래서 레비나스는 위험하다

3장 법 바깥의 정의를 향하여―환대의 윤리
해석과 해체|데리다의 해체주의|해체주의와 윤리의 조우|환대, 법 바깥의 정의를 향하여|해체주의적 윤리를 실천하기

4장 내 안의 결핍과 부재를 응시하는 힘―실재의 윤리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쉽게 이해하는 욕망론|욕망의 전복성|안티고네, 쾌락 원칙을 넘어서|실재의 귀환과 실재의 윤리|윤리는 파국이다


2부. 신 없는 신학
Intro. 신이 사라진 시대에 신을 말한다는 것


5장 할리우드의 엑소더스 변천사―신을 바라보는 관점과 상상
왜, 모세인가?|두 얼굴을 가진 모세|홍해와 요단강 사이, 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신을 만나는 자리 혹은 신이 오는 자리

6장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십계명」 중 제2계명을 향한 발칙한 생각
「십계명」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신의 이름을 둘러싼 미스테리|신의 이름을 부른다는 것|유령과 차연 그리고 신|그러니 신의 이름을 망령되이 부르지 마라

7장 메시아는 가라―전통적 메시아주의에 대한 전복적 해석
메시아는 언제 도래하는가|메시아를 둘러싼 농담, 거짓말 그리고 진실|유대교 메시아 vs. 기독교 메시아|‘메시아적인 것’의 정치학 혹은 윤리학

8장 무신론자의 믿음―21세기 비종교사회에서 다시 종교를 묻다
이유 있는 신학의 귀환|발터 벤야민, ‘유물론자의 신학’을 낳다|유물론과 신학의 동거|믿음 없는 신앙|종교 없는 종교 또는 감산의 사랑|무신론자의 믿음

9장 종교개혁, 중세라는 텍스트를 해체하다―종교개혁 500주년 삐딱하게 보기
종교개혁의 시차적 관점|성경 번역과 중세의 몰락|성경 번역에 깃든 해체성|종교개혁은 미완의 혁명|종교개혁의 현재성|혁명은 계속된다

10장 민중신학 전 상서―어느 소장학자의 민중신학을 향한 제언
민중신학, 한국 신학의 위대한 성취이자 자랑|연극이 끝나고 난 뒤|부정의 변증법|민중신학의 위기|민중신학의 부정성|민중신학과 타자


3부. 비판과 성찰, 고백과 애도
Intro. 한국 사회의 디스토피아적 증상에 대하여


11장 인문학 열풍의 아이러니
인문학 열풍의 요체|스펙 우선주의|힐링 지상주의|인문학의 기원 혹은 전통|인문, 인간의 무늬|다시, 인문학이다

12장 옥바라지 골목 철거를 둘러싼 서사
열 번째 재앙|서대문 옥바라지 골목 잔혹사|장소의 몰락|기억의 종말|‘종교적인 것’에 관하여|문설주에 피를 바른 그 집

13장 여성 혐오, 그 중심에 교회가 있다
너희의 손에는 피가 가득하다|혐오 공화국|여성 혐오 발언의 메커니즘|그녀들의 반격, 미러링|한국 교회, 여성 혐오의 인큐베이터|국가의 거짓말|여성 혐오라는 집단무의식

14장 자살에 관하여―신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
어느 신학교 노교수의 자살|자살에 대한 해석|자살률 1위에 드리운 그림자|뒤르켐의 『자살론』|신의 음성, 신의 위로|신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신정론에서 인정론으로

15장 세월호, 바람 그리고 유령
바람만이 아는 대답|바람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마르크스의 유령, 데리다의 유령|참사의 현상학|세월호의 유령이 대한민국을 배회하고 있다|바람이 불어오는 곳, 바람이 불어가는 곳|부디 그날까지 우리 곁에 머물라!

16장 동성애 혐오를 혐오한다
마녀사냥, 한국 교회를 뒤덮다|혐오와 한국 개신교|동성애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성경은 그렇게 말하지 않았다|동성애 혐오에 대한 저항과 성경의 해방적 전통

에필로그―무엇을 할 것인가?

감사의 말|발표 지면|참고문헌|찾아보기

저자소개

이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신대에서 신학수업을 받았다. 그 후 미국 멕코믹 신학대학원 석사를 거쳐 시카고 신학대학원에서 ‘레비나스의 타자의 윤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크리스챤아카데미 원장, 한백교회(기장) 담임목사, 한신대 신학과 겸임교수로 활동하는 N잡러 인문/신학자이다. 대중문화와 사회현상에 드러난 당대의 문화적, 윤리적 이슈를 해명하는 작업에 관심이 크고, 시시각각 새로운 형태로 변모하는 자본의 패권적 질서에 맞서 신학적으로, 윤리적으로 제동을 거는 것이 신학함의 중요한 이유라 생각한다. 앞으로 어떻게 변모할지는 모르겠으나 지금까지는 주로 레비나스의 타자론, 데리다의 해체론, 지젝의 실재론에 기대어 글을 써왔다. 근래에는 ‘포스트휴먼시대, 이타성에 바탕한 신학적 인간학, 혹은 윤리학’이라는 주제에 꼿혀 있다. 신학적으로 영향을 준 인물을 꼽으라면 강원용과 안병무, 본회퍼와 테드 제닝스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제11차 WCC 칼스루에 총회(2022) 한국준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교회 고백 문서: 한국교회 코로나 문서’(NCCK, 2022), ‘한국기독교장로회 제7문서’(2023) 집필위원으로 참여했다. 단행본으로 『죽은 신의 인문학』과 『탈경계의 신학』이 있고, 『전쟁 넘어 평화: 탈냉전의 신학적 인문학』, 『바이러스, 팬데믹, 그리고 교회』, 『인간 너머의 인간』, 『아픔 넘어: 고통의 인문학』, 『코로나19와 한국교회의 사회인식』, 『한국 기독교의 보수화, 어느 지점에 있나』, 『민중신학, 고통의 시대를 읽다』, 『십계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등 10여 권의 공저와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인문/신학'에 대한 책을 쓰고 있노라고 지인들이게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문/신학'이 뭐냐고 질문했다. 인문학적으로 신학 하기, 혹은 신학과 인문학의 대화를 둘러싼 책인가, 라는 반문과 함께 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