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애소설 영미편

연애소설 영미편

너대니얼 호손, 도리스 레싱 (지은이), 오정화, 장옥경, 이소영 (옮긴이)
글빛(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애소설 영미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애소설 영미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영미소설
· ISBN : 978897300863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0-01-22

책 소개

2004년에 출간된 <연애소설: 한국편>에 이은 「연애소설」 시리즈 두 번째 책으로, 영국과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 12인의 사랑에 대한 소설과 글을 모았다. 기쁨(연宴).슬픔(애哀).소외(소疎).담론(설說) 의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프랜시스 베이컨, 나다니엘 호손, 버지니아 울프, F. 스콧 피츠제럴드, 도리스 레싱 등 16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시기를 어우르는 저명한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들을 소개함으로써, 그동안 사랑에 대한 생각은 어떻게 변해왔는지, 영국과 미국, 여성과 남성 작가들이 그리고 있는 사랑

목차

책머리에: 사랑의 기쁨과 슬픔과 고통, 그리고 영미 연애소설

연宴 그녀의 입술은 기쁨의 샘이었다
폭풍우 _ 케이트 쇼팬 - 이소영 옮김
로마의 열병 _ 이디스 와튼 - 장옥경 옮김
서부지방 순회재판에서 _ 토머스 하디 - 이소영 옮김

애哀 나보다 당신의 본성에 독이 더 많지 않았을까요?
라파치니의 딸 _ 나다니엘 호손 - 이소영 옮김
에밀리를 위한 장미 _ 윌리엄 포크너 - 장옥경 옮김
밤비노 _ 메이 싱클레어 - 오정화 옮김

소疎 난 누구보다 아름다운데 왜 행복할 수 없죠?
유산 _ 버지니아 울프 - 장옥경 옮김
19호실로 _ 도리스 레싱 - 오정화 옮김
겨울의 꿈 _ F. 스콧 피츠제럴드 - 장옥경 옮김

설說 우리는 장미와 같다. 열정으로 만발한
사랑에 대하여 _ 프랜시스 베이컨 - 이소영 옮김
사랑 _ D. H. 로렌스 - 장옥경 옮김
사랑의 미스터리 _ 크리스토퍼 래쉬 - 오정화 옮김

원문 출처
저자 소개

저자소개

너새니얼 호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세기 미국 문학의 거장이자 미국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소설가. 1804년 매사추세츠주 세일럼에서 태어났다. 17세기 신대륙 개척 시대에 건너온 청교도 가문의 후손으로, 그의 선조 중에는 세일럼 마녀재판을 주도한 판사가 있었다. 이로 인한 가문의 비극적 역사와 죄의식은 호손의 문학 세계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가 되었다. 보든 대학 시절 시인 헨리 롱펠로, 후일 미국 대통령이 된 프랭클린 피어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 졸업 후에는 12년간 고향집에서 은거하며 치열한 독서와 습작 생활을 이어갔다. 1837년 첫 단편집 『두 번 들은 이야기』로 에드거 앨런 포의 찬사를 받았다. 1839년부터 보스턴 세관 검사관으로 근무했고, 1842년 결혼 후 콩코드의 ‘낡은 목사관’에 머물며 에머슨, 소로 등 당대 지성인들과 교류했다. 1846년에는 단편집 『낡은 목사관의 이끼』를 발표했다. 같은 해에 세일럼 세관 검사감독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849년에 정권이 바뀌며 강제로 해임되었다. 1850년, 46세에 발표한 『주홍글씨』는 그의 대표작이자 미국 문학이 유럽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개척했음을 선언하는 이정표가 되었다. 허먼 멜빌은 호손의 문학적 깊이에 경의를 표하며 『모비 딕』을 그에게 헌정했다. 이후 『일곱 박공의 집』(1851), 『블라이드데일 로맨스』(1852), 『대리석 목신상』(1860) 등을 통해 인간 내면의 어둠과 빛을 탐구했다. 말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어 고통받다가 1864년, 오랜 벗 피어스와의 여행 중 플리머스에서 생을 마감했다. 호손은 청교도적 도덕주의와 낭만주의적 상상력을 결합해 인간 영혼의 비극적 진실을 파고든 작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죄와 속죄, 은밀한 죄책감의 심리적 작용을 다룬 그의 작품들은 현대에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펼치기
너새니얼 호손의 다른 책 >
도리스 레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9년 페르시아(현 이란)에서 영국인 부모 앨프리드와 에밀리의 딸로 태어나, 가족과 함께 당시 영국 식민지였던 아프리카 남로디지아(현 짐바브웨)로 이주해 어린 시절을 보냈다. 십대 초에 학교를 그만두고 독학하면서 전화교환원, 타이피스트 등으로 일했다. 두 번의 이혼을 경험한 후 1949년 런던에 정착해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1950년 첫 장편소설 『풀잎은 노래한다』 발표 이후, 『마사 퀘스트』 『금색 공책』 『19호실로 가다』 『다섯째 아이』 『런던 스케치』 등 50권이 넘는 책을 썼다. 레싱은 계급, 인종, 성별의 격차로 빚어진 인습과 폭력, 억압에 평생 저항해온 작가이자, 공산당에 가입하는가 하면 아파르트헤이트 저항 운동, 반핵 운동 등 현실 정치에도 목소리를 높인 지식인이었다. 서머싯 몸 상, 메디치상, 아스투리아스 왕세자상 등 수많은 상을 받았고 200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08년 <타임스> 선정 ‘전후 위대한 영국 작가 50인’에 이름을 올렸다. 2008년 발표한 『앨프리드와 에밀리』는 1990년대 후반부터 뇌졸중으로 투병하면서도 작품활동을 멈추지 않았던 그의 마지막 결실이다. 제1차세계대전을 거치며 돌이킬 수 없이 부서진 부모의 삶과 자신의 기억을 예리하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재구성해냈다. 무엇보다 백인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여성 내면의 삶을 작품화하여 “문학의 얼굴을 바꾼 작가”로 평가받는 레싱은 2013년 런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오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코넬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現 명예교수), 한국여성연구원장, 이화인문과학원장, 인문대학장, 대학원장을 역임하였고,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장, 한국여성학회장 등으로 활동하였다. 저서로 『19세기 영국 여성 작가와 기독교』, 『오만과 편견: 한없이 ‘작은 나’의 성장서사』, 『19세기 영국소설 강의』(공저), 편저로 『젠더와 재현: 영미 문학과 문화를 통해 본 여성 문제』, 『이민자 문화를 통해 본 한국 문화』, 『영어영문학연구 50년』 등이 있으며, 역서로 『여성과 일상생활: 사랑, 결혼, 그리고 페미니즘』, 『연애소설: 영미편』(공역),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 비평』(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장옥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화여대, 한성대를 거쳐 현재 항공대에 출강하고 있다. 역서로 『영미여성소설론』(공역), 주요 논문으로「18세기 영소설에 나타난 작가의 독자의식」등이 있다.
펼치기
이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에서 출생해서 미국 뉴욕에서 초등학교를 다녔다. 한국으로 돌아와 중·고등학교를 마치고 이화여자대학교에 입학해 영문학을 전공했으며,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교환학생으로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에서, 초빙학자로 미국 버클리대학교에서 수학한 바 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양영어실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생을 위한 영작문 학습서인 Write Now(공저)를 비롯해 『영화로 읽는 영미소설 1: 사랑 이야기』(공저), 『연애소설』(공역) 등 다수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솔직하고 넘치는 그녀의 열정은 아직 한 번도 자극되지 않았던 그의 육감적 본능의 깊은 곳까지 침투하여 반응케 하는 하얀 불꽃과도 같았다. 그의 손이 닿았을 때 그녀의 가슴은 떨리는 환희에 스스로 항복하여 그의 입술을 유혹했다. 그녀의 입술은 기쁨의 샘이었다. 그가 그녀를 가졌을 때, 삶의 신비의 바로 그 경계선에서 그들은 함께 황홀경에 빠졌다.
-케이트 쇼팬,「폭풍우」중에서


두 개의 눈물방울이 그녀의 젖은 얼굴을 타고 내려와 윗입술 위에서 떨렸다. “나는 누구보다도 아름다워요. 그런데 왜 행복할 수 없는 거죠?” 그녀가 더듬더듬 말했다. 그녀의 젖은 눈이 평정심을 유지하고 있던 그의 마음을 찢어놓았다.
- F. 스콧 피츠제럴드,「겨울의 꿈」중에서


그녀는 녹색 공단 침대보 위에 누웠는데 다리가 으슬으슬했다. 일어나 서랍장 맨 밑에 개켜져 있는 담요를 찾아 조심스럽게 다리에 덮었다. 그녀는 거기에 만족스럽게 누워 방으로, 그녀의 허파 속으로, 머릿속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가스의 희미하고 부드러운 쉬익 소리를 듣고 있었다. 어두운 강으로 떠내려가면서.
- 도리스 레싱,「19호실로」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