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관자

관자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서, 고전에서 배우는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제 전략)

관중 (지은이), 신동준 (옮긴이)
인간사랑
7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관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관자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서, 고전에서 배우는 경제 활성화와 국가 경제 전략)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74187453
· 쪽수 : 1567쪽
· 출판일 : 2015-01-20

책 소개

사상 최초의 정치경제학서.『한비자』와 『상군서』 및 『손자병법』 등과 더불어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계책의 보고에 해당한다. 관중이 역설한 경세제민과 부국강병 계책은 부민을 토대로 한 것이다.

목차

역자 서문 11

제1권 관중은 누구인가? 19
제1부 관중은 어떻게 살았을까? 21
제2부 관중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87
제1편 관자사상의 특징 87
제2편 관자사상의 구성 99
제1장 부강주의(富强主義) 99
제2장 존양주의(尊攘主義) 131
제3장 패도주의(覇道主義) 146
제3편 관자사상의 전개 169

제2권 『관자』는 무엇인가? 187
제1부 『관자』는 어떻게 나왔을까? 189
제2부 『관자』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203
일러두기 210
제1편 「경언經言」 213
제1장 목민(牧民) 213
제2장 형세(形勢) 225
제3장 권수(權脩) 240
제4장 이정(立政) 258
제5장 승마(乘馬) 280
제6장 칠법(七法) 302
제7장 판법(版法) 323
제8장 유관(幼官) 328
제9장 유관도(幼官圖) 361

제2편 「외언外言」 368
제10장 오보(五輔) 368
제11장 주합(宙合) 384
제12장 추언(樞言) 413
제13장 팔관(八觀) 438
제14장 법금(法禁) 455
제15장 중령(重令) 469
제16장 법법(法法) 481
제17장 병법(兵法) 510

제3편 「내언內言」 525
제18장 대광(大匡) 525
제19장 중광(中匡) 569
제20장 소광(小匡) 578
제21장 왕언(王言) 망실 633
제22장 패형(覇形) 634
제23장 패언(覇言) 646
제24장 문(問) 665
제25장 모실(謀失) 망실 679
제26장 계(戒) 680

제4편 「단어短語」 700
제27장 지도(地圖) 700
제28장 참환(參患) 703
제29장 제분(制分) 709
제30장 군신(君臣) 상(上) 713
제31장 군신(君臣) 하(下) 733
제32장 소칭(小稱) 755
제33장 사칭(四稱) 766
제34장 정언(正言) 망실 775
제35장 치미(侈靡) 776
제36장 심술(心術) 상(上) 832
제37장 심술(心術) 하(下) 847
제38장 백심(白心) 855
제39장 수지(水地) 869
제40장 사시(四時) 880
제41장 오행(五行) 894
제42장 세(勢) 909
제43장 정(正) 917
제44장 구변(九變) 921

제5편 「구언區言」 924
제45장 임법(任法) 924
제46장 명법(明法) 937
제47장 정세(正世) 942
제48장 치국(治國) 949
제49장 내업(內業) 957


제6편 「잡어雜語」 971
제50장 봉선(封禪) 971
제51장 소문(小問) 976
제52장 칠신칠주(七臣七主) 999
제53장 금장(禁藏) 1019
제54장 입국(入國) 1038
제55장 구수(九守) 1045
제56장 환공문(桓公問) 1051
제57장 탁지(度地) 1055
제58장 지원(地員) 1072
제59장 제자직(弟子職) 1098
제60장 언소(言昭) 망실 1108
제61장 수신(脩身) 망실 1109
제62장 문패(問覇) 망실 1110

제7편 「해언解言」 1111
제63장 목민해(牧民解) 망실 1111
제64장 형세해(形勢解) 1112
제65장 이정구패해(立政九敗解) 1169
제66장 판법해(版法解) 1177
제67장 명법해(明法解) 1199

제8편 「승마乘馬」 1230
제68장 거승마(巨乘馬) 1234
제69장 승마수(乘馬數) 1242
제70장 문승마(問乘馬) 망실 1250


제9편 「구부九府」 1251
제71장 사어(事語) 1256
제72장 해왕(海王) 1262
제73장 국축(國蓄) 1269
제74장 산국궤(山國軌) 1286
제75장 산권수(山權數) 1301
제76장 산지수(山至數) 1321
제77장 지수(地數) 1344
제78장 규탁(揆度) 1356
제79장 국준(國准) 1379

제10편 「경중輕重」 1384
제80장 경중(輕重) 갑(甲) 1388
제81장 경중(輕重) 을(乙) 1423
제82장 경중(輕重) 병(丙) 망실 1448
제83장 경중(輕重) 정(丁) 1449
제84장 경중(輕重) 무(戊) 1481
제85장 경중(輕重) 기(己) 1498
제86장 경중(輕重) 경(庚) 망실 1509

나가는 글 - G2시대와 관자 리더십 1510
부록 1. 『사기』「관중열전」 1541
부록 2. 소순의 「관중론」 1546
부록 3. 관중 연표 1555
참고문헌 1557

저자소개

관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에게 관포지교管鮑之交라는 고사로 잘 알려져 있는 관자管子는 기원전 약 725~645년에 활동한 사람으로 이름은 이오夷吾, 자는 중仲이다. 그는 춘추전국 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정치인 가운데 한 명으로, 중국 역사 전체를 놓고 보아도 최고의 정치인으로 손꼽히기에 손색이 없다. 공자를 비롯해 제갈공명 같은 인물들도 그를 흠모하여 자주 언급하였으며, 심지어 자신을 관중에 비교하기도 했다. 오늘날 관중이 다시 조명 받는 건 그의 지도력이 우리 시대의 요구와 맞아떨어지는 면이 많기 때문이다. 그는 경제를 중시하고 국제 외교에도 능숙했던 대단히 실용적이며 성공적인 정치인이었기 때문이다. 관중의 사상은 유교라는 대외적 명분을 떠받치는 실리적인 사상으로, 중국인의 생각과 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된다. 또한 다양한 조직을 경영하는 현대의 CEO들이 어떻게 조직과 시스템을 유지하고 관리할지에 대해서도 혜안을 제공한다.
펼치기
신동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전을 통해 세상을 보는 눈과 사람의 길을 찾는 고전 연구가이자 평론가다. 100여 권에 달하는 그의 책은 출간 때마다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많은 독자에게 고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2019년 4월 25일 64세를 일기로 영면했다. 저서 및 역서 『삼국지 통치학』, 『조엽의 오월춘추』, 『전국책』, 『조조통치론』, 『중국 문명의 기원』, 『공자의 군자학』, 『맹자론』, 『순자론』, 『노자론』, 『주역론』, 『대학.중용론』, 『인식과 재인식을 넘어서』, 『열자론』, 『후흑학』, 『인물로 읽는 중국 현대사』, 『장자』, 『한비자』, 『조조의 병법경영』, 『귀곡자』, 『상군서』, 『채근담』, 『명심보감』, 『G2시대 리더십으로 본 조선왕 성적표』, 『욱리자』, 『왜 지금 한비자인가』, 『묵자』, 『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마키아벨리 군주론』,『유몽영』, 『동양고전 잠언 500선』, 『관자 경제학』, 『동서 인문학의 뿌리를 찾아서』, 『서경』, 『제갈량 문집』, 『국어』, 『춘추좌전』, 『인물로 읽는 중국 근대사』, 『풍몽룡의 동주열국지』, 『십팔사략』, 『사서로 읽는 항우와 유방』, 『시경』 수정증보판, 『관자』, 『당시삼백수』 수정증보판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