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7435511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8-12-17
책 소개
목차
서문 (브랜든 크로, 칼 트루먼)
제1부 신약의 근거
1. 삼위일체와 마태복음 (브랜든 D. 크로)
2. 삼위일체와 마가복음 (다니엘 요한손)
3. 삼위일체와 누가행전 (앨런 J. 톰슨)
4. 삼위일체와 요한복음 (리처드 보컴)
5. 바울과 삼위일체 (브라이언 S. 로즈너)
6. 히브리서와 삼위일체 (조나단 I. 그리피스)
7. 삼위일체와 일반서신 (브랜든 D. 크로)
8. 삼위일체의 계시록 모델 : 요한계시록의 삼위일체 개념에 대한 다니엘서의 영향 (벤저민 L. 글래드)
9. 삼위일체와 구약 성경 : 실재적 존재인가, 해석학적 부과물인가? (마크 S. 지그닐리아트)
제2부 목회와의 관련성
10. 삼위일체의 신비 (스콧 R. 스웨인)
11. 삼위일체와 기도 (칼 R. 트루먼)
12. 삼위일체와 계시 (마크 D. 톰슨)
13. 삼위일체와 예배 (로버트 레담)
14. 삼위일체와 설교 (마이클 리브스)
• 성경 색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저자들은 다양한 신학적 관점을 나타내겠지만, 삼위일체가 성경에 기초해 있으며(제1부) 삼위일체 교리가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느냐에 중대한 문제가 된다는 것(제2부)에는 모두 일치한다.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이런 일치는 지난 수 세기 동안 기독교 정통 교리의 일치를 반영한다. 다른 신학적 교회론적 요소들에 대해 이견이 있을 때조차도, 언제나 기독교 신학은 삼위일체 교리를 하나의 보편적이며 사도적 신앙의 타협할 수 없는 교리로 확증해 왔다. 우리는 저자 개개인이 모든 측면에 있어서 다른 저자들과 완전히 일치하리라고 예상하지는 않지만, 이 책의 범위와 목적은 성경을 신실하게 해석함에 있어서 삼위일체가 필연적이며 동시에 일상적인 삶을 위해서도 필요한 교리라는 것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각기 다른 배경을 지닌 저자들에게 얻어 이를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_ 서문
삼위일체 교리의 견지에서 바울서신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여기에는 피해야 할 두 가지 극단이 있다. 첫째, 후기 교부시대의 삼위일체 이해 방식으로 바울서신을 읽어 냄으로써 바울을 시대착오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삼위일체 교리는 성경 일부분에서 발견되는 진술이 아니라 전체 성경의 가르침에 대한 종합적 판단이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해서 축소주의 이론과 비신학적 해석 방식을 채택해서는 안 된다. “바울은 신성의 본질을 숙고하는 데 시간을 보내지 않았다.”라고 썼던 샌더스의 말은 어떤 의미에서는 옳다. 그러나 “바울로부터 우리는 하나님에 대해 새롭거나 놀랄 만한 것을 배운 적이 없다.”라고 주장한 샌더스는 확실히 틀렸다. 바울은 하나님에 대해 이론적으로 쓰지 않았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하나님의 중대한 교리가 바울의 매우 시의적절한 서신들을 통해 드러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다. _ 5. 바울과 삼위일체
삼위일체 교리는 기독교 신앙의 웅대한 진리이자 최상의 보화이다. 세 위격으로 한 분이신 하나님에 대한 기독교의 가르침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이라는 전능하신 주 여호와 하나님의 지극히 높으시고 거룩하신 이름으로부터 흘러나온다(마 28:19). 이 영광스러운 이름은 참되시고 살아 계신 하나님과 동일하며, 우리는 이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삶과 죽음 가운데서 위로를 받는다. 삼위일체 교리는 하나님이 누구신지 알려 줄 뿐만 아니라 창조에 나타난 성부 하나님의 목적과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성령님의 내주하심의 경이로움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 역사하심도 조명해 준다. 만물이 삼위에서 나오고 삼위를 통하여 삼위 하나님께로 돌아간다. 따라서 삼위일체의 탁월한 빛 가운데 새로운 빛으로 만물을 보게 된다. _ 10. 삼위일체의 신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