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74356118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목차
1장 고린도 여행 안내
2장 잃었던 생명 찾았고 광명을 얻었네
3장 성령의 도우심으로 고린도전서 읽기
4장 다시 듣는 바울의 십자가의 도
5장 바울에게 성 문제는 왜 그토록 중요했으며, 우리는 왜 여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6장 자기 이익 추구 경제의 도전
7장 그리스도인의 예배와 봉사, 그리고 성령
8장 부활의 약속
9장 고린도전서의 다음 안내 장소는?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바울의 편지 중 두 개의 편지가 다른 편지들보다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우선, 로마서가 그렇다. 로마서의 경우, 특히 신학적 내용이 중요하다. 하지만, 로마라는 도시에서 살았던 그리스도인들의 삶이 가진 역동성에 초점을 맞춘 내용은 거의 없다. 그런데 고린도전서는 다르다. 여기서 바울은 고린도라는 도시와 그곳에 있는 교회의 삶을 반영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따라서 고린도전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 도시의 역사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수월해 보이는데, 그는 고린도의 부도덕함을 묘사하기 위해 ‘코린티아제스타이’(korinthiazesthai, “고린도 방식으로 놀다”)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나중에 보면,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은 성적 부도덕함의 분위기를 언급하고(7:2), 고린도 교회 구성원들 사이에 그러한 일이 있다는 보고에 몹시 경악한다(5:1). 스트라본(Strabo)의 설명에 의하면 고린도에는 아프로디테 여신에게 바쳐진 성전 창녀들이 천 명 있었다. 또한 아리스토파네스와 스트라본을 포함해서 다른 이들이 묘사한 고린도는 로마의 권위에 복종하길 거부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기원전 146년에 로마 군대에게 파괴되었다. 그 후 고린도는 폐허로 남아 있다가 기원전 44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에 의해 로마의 식민지로 재건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이 도시가 지리적으로 지닌 전략적이고 상업적인 특성 때문일 것이다. _ 1장
바울은 고린도에 있는 교회 안에서 발생한 여러 문제와 폐단에 대해 들으면서 그 교회가 복음의 온전한 의미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들의 해석은 문제가 있었고, 그 결과 고린도 교회 사람들은 성령을 거스르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바울은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육에 속한 사람은 하나님의 성령의 일들을 받지 아니하나니 이는 그것들이 그에게는 어리석게 보임이요, 또 그는 그것들을 알 수도 없나니 그러한 일은 영적으로[오직 성령을 통해서만] 분별되기 때문이라”(고전 2:14). 그와 동시에 고린도 교회의 몇몇 사람들은 성령 안에서 자신을 “지혜로운” 자로 여겼지만, 사실 이들은 그저 교만한 사람일 뿐이었다(4:6b). 바울은 그들에게 성령은 십자가의 도(2:4)를 확증하는 분이시고, 인간이 십자가 안에서 하나님의 구원 목적을 분별하도록 돕는다는 것(2:10-12)을 일깨워 주었다. 하나님의 사건은 하나님의 해석을 요청한다. 하나님의 영이 예수의 십자가 사건 속에서 강력하게 역사하신 것처럼, 하나님의 영은 인간의 삶에서 우리가 믿음으로 이해하고 반응하도록 강력하게 역사할 것임이 틀림없다.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은 우리가 성령의 도움을 가장 잘 받아들여 하나님 앞에서 신실하게 살아가는 법을 알 수 있는 그런 종류의 앎에 도달하도록 몇 가지 방법을 일깨워 준다. - 3장
“지적으로는 모욕적이고 도덕적으로는 격분을 일으킨다.” 십자가에 못 박힌 성자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복음의 내용을 비판하는 자들은 이처럼 질색하면서 이의를 제기한다. 무방비 상태에 있는 사람들에게 행해지는 폭력에 대한 우리의 분노에 불을 지피는 “신적 아동 학대”(cosmic child abuse)라는 문구가 이러한 반응을 잘 요약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십자가를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 신앙을 옹호하기 위한 노력에서 점점 발을 빼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신학자들은 십자가를 부차적인 사건으로 격하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신속한 답을 주고자 하는 유혹을 잠시 뒤로 하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제기해 본다. 고린도전서는 과연 이 주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 4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