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제학 애프터스쿨

경제학 애프터스쿨

(경제학자도 훔쳐보는)

매일경제신문 경제부 (지은이)
매일경제신문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6개 6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제학 애프터스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제학 애프터스쿨 (경제학자도 훔쳐보는)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74427085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0-12-20

책 소개

주류 이론에 대한 경제기자의 통쾌한 도전을 담은 책으로, 매일경제 경제부에서 집필하였다. 2008년 가을 이후 본격화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난장판이 돼버린 세계경제. 기존의 경제 상식으로는 좀처럼 이해할 수 없는 경제 현상들을 찾아내 변화의 종착점을 추리해 본다.

목차

Part1 선진국-개도국 위상이 달라졌다
Chapter 01 수정 요구받는 자유무역이론
Chapter 02 선진국-개도국 간 달랐던 경제성적표
Chapter 03 아시아 개도국의 미래

Part2 통화량-물가 미스터리
Chapter 01 돈 풀어도 물가는 제자리 ‘유동성 미스터리’
Chapter 02 입지 좁아진 통화주의 VS 재정지출 필요 역설한 케인스주의
Chapter 03 경기회복 빠른 중국 vs 인도는 물가 걱정

Part3 보호무역주의 부활
Chapter 01 개도국 개방 앞장서던 선진국 보호무역으로 U턴
Chapter 02 과도한 수출 의존도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 건으로

Part4 다다익선 안 통하는 FTA
Chapter 01 취약산업 보호에 비교우위 작동 못해
Chapter 02 FTA 정치논리 따라 체결
Chapter 03 기업들의 FTA 딜레마
Chapter 04 FTA는 시장 개방의 적?
Chapter 05 FTA 늘수록 더 중요해진 다자협정

Part5 빚으로 빚 막는 딜레마
Chapter 01 빚내어 빚 막는 글로벌 경제 출구전략서 진퇴양난
Chapter 02 빚으로 겨우 버티는데 시장이 효율적이라고?
Chapter 03 ‘국가 파산시대’ 오면 해법 없다

Part6 다시 공격받는 케인시언
Chapter 01 케인스 모범생들이 빠진 함정
Chapter 02 힘 받기 시작한 ‘비(非)케인스적 처방’
Chapter 03 재정건전성 통제장치 설치 붐

Part7 보이지 않는 손의 붕괴
Chapter 01 인간은 버블 키우는 비이성적 존재
Chapter 02 위기 때마다 고전했던 고전경제학
Chapter 03 목소리 키우는 효율적 규제론자

Part8 주주자본주의의 종말
Chapter 01 ‘주주가치 최우선’ 명제가 더 이상 선이 아니다
Chapter 02 국내 재벌개혁과 주주자본주의 함수관계
Chapter 03 현대자본주의에서 주주자본주의 위치는

Part9 합리주의 가장한 공매도의 역습
Chapter 01 합리적 투자 가장한 공매도 시장붕괴 뇌관으로
Chapter 01 한국의 공매도는 외국인 전유물
Chapter 01 선진국의 공매도 규제 강화
Chapter 01 공매도와 함께한 ‘스타’ 펀드매니저

Part10 한국 부동산 미스터리
Chapter 01 경기와 거꾸로 가는 한국 부동산 ‘부의 효과’ 사라져
Chapter 02 금리와 부동산 가격의 역학관계
Chapter 03 끝없는 한국 부동산 버블 논쟁

Part11 달러 시대의 종언
Chapter 01 위태로운 ‘달러 제국’
Chapter 02 그리스 은화 ‘드라크마’에서 미국 달러까지
Chapter 03 의심받는 위안화 평가절상

Part12 위기의 단일통화
Chapter 01 위기 봉착한 유로
Chapter 02 아시아 단일통화 논의도 주춤
Chapter 03 지속되지 못한 역사 속 단일통화

Part13 글로벌 임밸런스 vs 로컬 임밸런스
Chapter 01 더 커지는 글로벌 임밸런스
Chapter 02 글로벌 앰밸런스 속 로컬 임밸런스

Part14 글로벌 거버넌스의 부상
Chapter 01 국가 정책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Chapter 02 G(그룹)의 역사

Part15 차선의 경제학
Chapter 01 차선의 이론과 엔高
Chapter 02 차선이 최고가 되는 실물경제

저자소개

매일경제신문 경제부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원 연세대 경제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금융, 증권, 산업, 경제 분야를 주로 취재했고 청와대 출입기자를 거친 뒤 국제부장, 금융부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경제부장으로 경제부처 정책이슈를 총괄하고 있다. 김명수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산업2부, 경제부, 사회부, 지식부, 증권부, 금융부, 국제부 등을 거쳤다. 2012년 뉴욕특파원을 마치고 귀국해 현재 경제부에서 정책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2004년 한국신문상, 2007년 씨티언론인상 등을 수상했다. 윤상환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세계일보를 거쳐 매일경제에 입사했다. 금융부, 정치부, 문화부 등에서 근무했다. 현재 지식경제부와 국세청 등을 출입하고 있다. 채수환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시립대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게이오대 연수를 거쳐 2008년부터 3년간 도쿄특파원을 역임했다. 현재 재정팀장으로 기획재정부를 출입하고 있다. 신현규 서울대 사회학과와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사회부, 증권부, 국제부를 거쳐 지식부에서 2년간 세계지식포럼 디렉터로 일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 농림부 등을 취재하고 있다. 이상덕 한양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경제부에서 기획재정부를 출입하고 있다. 한국기자협회 239회 이달의 기자상과 2011년 씨티언론인상 대상을 수상했다. 김정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졸업 후 통일부를 거쳐 매일경제에 입사했다. 스포츠레저부, 증권부, 정치부에서 근무했다. 현재 지식경제부를 출입하며 실물경제, 에너지정책 등을 담당하고 있다. 전범주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증권부에서 상장사 재무분석과 기업인수합병(M&A) 등 투자은행(IB) 관련 기사를 발굴했다. 외교통상부와 감사원을 출입했고 현재는 한국은행과 연구소, 경제학회를 맡고 있다. 정석우 서울대 동양사학과를 졸업했다. 유통경제부와 사회부를 거쳐 현재는 공정거래위원회와 농림부, 기획재정부를 출입하고 있다. 2011년 씨티언론인상 대상과 한국기자협회 260회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했다. 김제림 서울대 경제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부동산부와 산업부를 거친 후 현재 경제부에서 보건복지부와 외교통상부를 출입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 아시아채권시장발전방안(ABMI) 등 역내 금융협력을 통한 지역적 대응을 통해 급격한 해외자본 유출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경제개발전략에 대한 수정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아시아 국가들의 낮은 기후변화 대응능력이 향후 이 지역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는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01 선진국-개도국 위상이 달라졌다 中


양국간 협정이다 보니 타결도 쉽고 상대국 맞춤식이라 편리한 것은 FTA의 강점이다. 하지만 FTA 체결이 늘어날수록 거래에 있어서 불편함이 커지는 것도 사실이다. 이를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다자간 협상이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를 생산하는 기업은 제품이 다른 나라에서 작동만 되면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러나 FTA가 맺어지고 해당국가에서 관세혜택을 받으려고 한다면 그 국가의 기준에 맞춰야 한다. 문제는 FTA 체결국가가 워낙 많아지다 보니 각 국가별 원산지 규정을 따져서 그에 맞춰서 생산을 해야 한다. 그만큼 수출업체 입장에서는 업무가 늘어나는 셈이다. 특히 대기업보다 인력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들의 충격이 심각하다.
- 04 다다익선 안 통하는 FTA 中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거시경제실장은 “최근 부동산 가격 수준은 경제 펀더멘털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버블이 있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부동산 시장이 급락하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균형가격을 찾아가는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한국 부동산 가격이 이미 조정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장에서 가격 버블은 이미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임달호 현도컨설팅 대표는 “지난 2006년 12월이 부동산 가격의 고점으로 보는데 지금은 당시 가격보다는 30~40% 정도 하락했다고 볼 수 있다”며“이미 어느 정도 가격이 조정을 받은 상황이기 때문에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하는 상황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그는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가 안 되고 있는 상황이라 당분간은 부동산 가격이 L자형의 침체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 10 한국 부동산 미스터리 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