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7442586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09-07-10
책 소개
목차
1.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한국 자본주의, 환골탈태의 기로에 서다
글로벌 리밸런싱, 코리아 리밸런싱
신자본주의의 최대변수, 탈출계획
[Way Point] 세계는 평평하다 VS 세계는 평평하지 않다
2. 정부와 시장, 달라진 파트너십
금융위기 ‘시장실패’ 교훈 : ‘보이는 손’이 나선다
위기 이후 한국과 상충되는 경제프레임은 어떻게 할까
돈 보따리 풀었던 각국, 이제는 재정 건전성을 걱정할 때
[Way Point] 시장 < 정부 < 정치의 시대
3. 수출과 내수의 황금 포트폴리오를 짜라
내수를 키워 무역의존도 10% 낮추자
한?중?일 내수통합 ‘비욘드 코리아’
수출만 믿다가 발등 찍힌 싱가포르와 홍콩
[Way Point] 숨어있는 글로벌 돈줄을 찾아라
4. 한국 경제의 새로운 기회 ‘팍스 아시아나’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팍스 아시아나’에 달려 있다
한·중·일 관세동맹, 단일 채권시장으로 돌파구 마련해야
중국의 무서운 힘, 위안화 기축통화 도약 시도
5. 한국 경제 미래 성장 동력을 넓혀라
100대 기업에서 100년 기업으로
왓컴 버블 예상보다 빨리 올 수 있다
위기에 강한 기업에겐 특별한 게 있다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 ‘자영업자’ 어떻게 해야 하나
6.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미리 가본 슈퍼 고령화 사회
인구를 통해 본 한국 경제의 미래
2011년 재테크 대격변 예고
7. 글로벌 역세계화의 도전
역세계화와 글로벌 주요경제축의 변화
중국, 내수와 투자유치로 세계 경제 떠받힌다
일본, 역내분업으로 아시아 경제권 중심 노린다
유럽, 탄소 포획·저장 기술로 그린 르네상스 이끈다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교통 뼈대 바꿨다
미국, 위기 진원지에서 변화 구심점으로
[Way Point] G7 지고 G20 부상한다
8. 그린 슈트 재테크
경기 바닥 통과 후 ‘빅 찬스’를 잡아라
자본시장통합법으로 달라지는 재테크
고위험·고수익 시대는 가고, 세테크를 준비한다
근로장려세제 Q & A
미래 재테크 부동산에 달렸다
고령화 시대 재테크, 연금과 보험
부록_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좌담회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실에서는 오히려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을 더 우려하는 상황이다. 섣불리 금리인상 등 유동성 환수정책을 썼다가는 간신히 고개를 든 경기가 다시 꺾이거나(‘W자형’) 장기 침체(‘L자형’)에 빠질 수도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조만간 금리가 인상기조로 바뀌면 변동금리대출 발(發) ‘한국판 서브프라임 사태’도 우려된다.
2009년 1분기 신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사상 최대치인 92%에 육박하고 있다. 2007년까지만 해도 분기별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85%를 밑돌았으나 2008년 2분기에 90%로 올라선 뒤 3분기 87.2%, 4분기 90.9%를 기록하는 등 상승세를 탔다. 당장의 이자부담 때문에 고정금리보다 최대 2%가량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 대출로 쏠린 것이다. 앞으로 CD금리가 상승하면 신규대출에 붙은 가산 금리도 덩달아 올라 예상치 못한 이자를 감내해야 할 수도 있다. 위기가 지난 자리에 남을 무서운 후유증이다. - 1. 한국 자본주의의 미래 ‘글로벌 리밸런싱, 코리아 리밸런싱’ 중에서
‘비욘드 코리아(Beyond Korea)’와 같은 구상을 한국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아시아 역내 내수를 강화해 미국 등 선진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범아시아적인 내수 확대라지만 그 핵심은 아시아 경제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중·일 3국이다. 이들 세 나라는 전 세계 인구의 23%를 품고 있으며, 전 세계 GDP의 18%, 교역량의 17%를 점유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미래전망이 밝고 역동적인 경제권이라 할 수 있다. 2009년 상반기 엔고(高) 바람을 타고 명동으로 몰려들었던 일본 관광객들은 ‘비욘드 코리아’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줬다는 평가다. 엔화가치가 높아져 한국 내 구매력이 높아진 일본 관광객들은 서울의 명동과 강남 등을 휩쓸고 다니며 푹 처져있던 국내 내수시장에 상당한 활력소가 됐다. - 3. 수출과 내수의 황금 포트폴리오를 짜라 ‘한?중?일 내수통합 비욘드 코리아’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