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

(인생의 굽이마다 찾아온 옛 글 126편)

김진태 (지은이), 성륜 (그림)
불광출판사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1개 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 (인생의 굽이마다 찾아온 옛 글 126편)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74793159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6-05-14

책 소개

김진태 전 검찰총장이 틈틈이 옛 글을 찾아 읽고 덧붙인 소회를 모아 엮은 책이다. 법정이야말로 인간의 민낯과 세상인심이 여실히 드러나는 곳이다. 법조인으로서, 그는 인간사 애환을 바라보며 느껴야 했던 번민과 소란한 마음을 옛 글에 기대어 풀고 다스렸다.

목차

글머리에

1장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
길재 _술지述志
기대승 _우제偶題
이색 _부벽루浮碧樓
주천난
김시습 _사청사우乍晴乍雨
이항복 _삼물음三物吟
공자진 _기해잡시己亥雜詩
정사초 _한국寒菊
사마천 _보임안서報任安書
이백 _행로난行路難
남이 _북정北征
두보 _등악양루登岳陽樓
굴원 _소사명小司命
김일손 _도한강渡漢江
권필 _한식寒食
최치원 _추야우중秋夜雨中
문천상 _과영정양過零丁洋
권근 _왕경작고王京作古
백거이 _채시관采詩官
이황 _보자계상 유산지서당
步自溪上 踰山至書堂
조식 _제덕산계정주題德山溪亭柱
유우석 _유현도관遊玄都觀
유득공 _송경잡절松京雜絶
송익필 _산행山行
이숭인 _과회음유감표모사過淮陰有感漂母事
이욱 _우미인虞美人
임춘 _서회書懷
서위 _「묵포도도墨葡萄圖」의 제화시
원천석 _개신국호 위조선이수改新國號 爲朝鮮二首
정도전 _방김거사야거訪金居士野居
정몽주 _춘春
정약용 _애절양哀絶陽
조광조 _절명시絶命詩
조송 _기해세己亥歲
김부식 _결기궁結綺宮
청허 휴정 _탐밀봉探密峰
소식 _자제금산화상自題金山畫像
이청조 _하일절구夏日絶句
하완순 _별운간別雲間
한유 _과홍구過鴻溝
허균 _관장벽도위우소절용사장미운
官墻碧挑爲雨所折用死薔薇韻
황현 _절명시絶命詩

2장 차면 줄어들고 비면 차오르고
설암 추붕 _우후雨後
백곡 처능 _감흥感興
경허 성우 _자범어사향해인사도중구호
自梵魚寺向海印寺道中口號
왕안석
유종산 _遊鐘山
나은 _견민遣悶
정섭 _「제난죽석도題蘭竹石圖」의 제화시
대각 _의천독해동교적讀海東敎迹
허백 명조 _홍국紅菊
나옹 혜근 _기광주목사
변계량 _신흥유감晨興有感
김극기 _어옹漁翁
맹자
노자도덕경
묘법연화경
금강반야바라밀경
백운 경한 _출주회산出州廻山
사명 유정 _재본법사 제야在本法寺 除夜
이석형 _영회詠懷
옹정제(胤禛윤진)
원감 충지 _우서일절偶書一絶
이규보 _산석영정중월이수夕詠井中月二首
침굉 현변 _청야문경淸夜聞磬
부휴 선수 _숙공림사宿空林寺
이순신 _행장行狀
유성룡 _징비록懲毖錄
주희 _구곡도가九曲棹歌5
중관 해안 _막상의행莫相疑行
진각 혜심 _대영對影
예장 종경
한산
함허 기화 _도중작途中作
허응 보우 _별보상인別寶上人
황정견
김기추 _임종게臨終偈
태고 보우 _임종게
정관 일선 _상보은태수上報恩太守
측천무후 _개경게開經偈
논어
순자
주역
원효 _금강삼매경론
대방광불화엄경

3장 묻고 싶어라 그리운 그대 있는 곳
가도 _심은자불우尋隱者不遇
서거정 _춘일春日
정지상 _송인送人
김병연 _이별離別
왕발 _등왕각서滕王閣序
박은 _복령사福靈寺
왕유 _송원이사안서送元二使安西
신숙주 _기중서제군寄中書諸君
이상은 _야우기북夜雨寄北
김정희 _도망悼亡
황진이 _봉별소판서세양奉別蘇判書世讓
설도 _춘망사春望詞1・3
임제 _무어별無語別
루쉰 _양취엔을 추모하며楊銓
원세개 _안중근의사만安重根義士輓
장갈 _분서갱焚書坑
유종원 _어옹漁翁
도연명 _귀거래사歸去來辭
두목 _강남춘江南春
박지원 _요야효행遼野曉行
신위 _동인논시東人論詩
이세민 _부득함봉운賦得含峯雲
구양수 _풍락정 유춘豐樂亭 游春
이인로 _소상야우瀟湘夜雨
이제현 _산중설야山中雪夜
장영 _천리수서지위장千里修書只爲墻
정철 _산사야음山寺夜吟
조익 _논시論詩
조조 _단가행短歌行
장약허 _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
제갈량 _출사표出師表
초의 의순 _귀고향歸故鄕
최경창 _고봉산재高峯山齋
최호 _황학루黃鶴樓
하륜 _제광주청풍루題廣州淸風樓
혜초 _여수旅愁
취미 수초 _산거山居
범중엄 _악양루기岳陽樓記
대학
중용
설악 무산 _허수아비

저자소개

김진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사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다. 한국은행을 거쳐 경향 각지에서 검사로 재직했으며 검찰총장을 지냈다. 백봉, 효당, 무천에게서 불교와 역易을 배웠고, 지은 책으로는 『물속을 걸어가는 달』 (학고재) 등이 있다.
펼치기
성륜 (그림)    정보 더보기
물고기, 나비 등 자연을 소재로 해탈과 자유의 메시지를 화폭에 담아 왔다. <흘반난, 밥 먹기 어렵다>에서는 산山이 소재다. ‘홀로 깊고 고요한 산의 품성’을 닮고 싶은 스님의 마음이 그림으로 전해진다.
펼치기

책속에서

하늘 노릇 하기 어렵다지만 4월 하늘만 하랴 做天難做四月天
양잠은 따뜻해야 하고 보리는 추워야 하고 蠶要溫和麥要寒
나그네는 맑기를 바라고 농부는 비를 원하는데 出門望晴農望雨
뽕잎 따는 처녀는 구름 끼길 바라네. 採桑娘子望陰天
(-「주천난做天難」 중에서)

자신의 이기적인 욕망을 내려놓고 삼계일심三界一心 또는 물아일여物我一如가 될 수 있다면 누에에게는 따뜻함이, 보리에게는 추위가, 나그네에게는 맑음이, 농부에게는 비가, 뽕잎 따는 처녀에게는 그늘이 베풀어질 수 있을 것이다.


산을 가다 쉬는 것을 잊고 앉아서는 걷는 것을 잊어 山行忘坐坐忘行
소나무 그늘 아래 말을 세우고 물소리를 듣네. 歇馬松陰聽水聲
내 뒤에 온 몇 사람이 나를 앞서갔는가 後我幾人先我去
각자 그칠 곳으로 돌아갈 텐데 어찌 또 다투는가 各歸其止又何爭
(-송익필의 「산행山行」 중에서)

산길을 가다가 쉬는 것을 잊고, 쉬다가는 가는 것을 잊고, 소나무 그늘 아래에서 물소리를 들으며 세상의 번뇌를 잊는다. 내가 쉬고 있을 때 나를 앞질러 간 사람이 몇이나 될까. 이 좋은 곳에서 함께 쉬면 좋을 텐데 그냥 앞질러 가면 어디로 가는가. 그렇게 급하게 간다고 하여 어디까지 가겠는가.


슬프고도 슬픈 것은 살아 이별하는 것이고 悲莫悲兮生別離
기쁘고도 기쁜 것은 서로 사랑하는 것이네. 樂莫樂兮新相知
(-굴원의 「소사명小司命」 중에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문득 서로 눈이 마주쳤지만 말이 없고 인사가 없다. 곧 떠나야 할 운명이다. 이별만큼 슬픈 것이 있겠는가. 사랑만큼 기쁜 것이 있겠는가. 내용도 노래도 모두 아름답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