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74793449
· 쪽수 : 575쪽
· 출판일 : 2017-05-25
책 소개
목차
1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를 통해 본 불교 조각의 조성 배경
1. 조선 전반기(1392~1608)
1) 아미타신앙과 아미타불상 2) 미륵신앙과 미륵보살상
3) 석가신앙과 석가불상 4) 약사신앙과 약사불상
5) 법신불 사상과 비로자나불상 6) 관음신앙과 관음보살상
7) 지장신앙과 지장보살상
8) 나한신앙과 나한상
2. 조선 후반기 제1기(1609~1724)
3. 조선 후반기 제2기(1725~1800)와 제3기(1801~1910)
2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의 구성
1. 조선 전반기(1392~1608)
2. 조선 후반기 제1기(1609~1724)
3. 조선 후반기 제2기(1725~1800)와 제3기(1801~1910)
3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와 불사(佛事) 직임(職任)
1. 조선시대의 승직(僧職) 제도
2. 조선 전반기 불상 조성기와 승직(僧職)
3. 조선 전반기 불상 조성기와 직임
1) 연화(緣化)와 연화문(緣化文) 2) 『선원청규』와 직임
3) 조선 전반기 불상 조성기와 직임
4. 조선 후반기 제1기 불상 조성기와 직임
1) 불사(佛事)와 증명(證明)
2) 불사(佛事)와 화주(化主)
5.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상 조성기의 증명(證明)과 화주(化主)
1) 불사(佛事)와 증명(證明)
2) 불사(佛事)와 화주(化主)
4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의 조각승(彫刻僧)과 직위(職位)
1. 조선 전반기 조각승의 명칭과 직위
2. 조선 후반기 제1기 조각승의 명칭과 직위
1) 조각승의 명칭과 역할
2) 조선 후반기 제1기 조각승의 직위(職位)
3) 조선 후반기 제1기 조각승의 계보
3. 조선 후반기 제2·3기 조각승의 명칭(名稱)과 직임(職任)
1) 조각승의 명칭과 역할
2)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상 조성에 참여한 화승(畵僧)
3) 조선 후반기 제2·3기 조각승의 계보
5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의 시주자와 시주물목(施主物目)
1. 조선 전반기 불상 조성의 시주자
1) 왕실 발원 및 관직명이 보이는 불사와 시주자
2) 승려와 일반인이 참여한 불사와 시주자
2. 조선 후반기 제1기 불상 조성과 시주층(施主層)의 변화
1) 왕실 발원 불상과 시주자
2) 조선 전기의 사장(社長)
3) 조선 후기 시주 계층으로서의 거사(居士)와 사당(舍堂)
3.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상 조성기에 나타난 거사(居士)와 사당(舍堂)의 역할
4.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와 시주물목(施主物目)
1) 조선 전반기 시주물의 종류
2) 조선 후반기 제1기 시주물의 종류
3) 조선 후반기 제2·3기 시주물의 종류
6장 조선시대 불상 조성기와 불상의 이동
1. 조선 후반기 제1기 불상의 원 소재지와 불상의 이동
2. 조선 후반기 제2·3기 불상의 원 소재지와 불상의 이동
부록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기록 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