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

승한 (지은이), 하지권 (사진)
불광출판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7479598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1-06-18

책 소개

종교를 떠나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이 고무되고 있다. 바야흐로 템플스테이가 활성화되는 초여름, 현재 경기도 가평 대원사에서 템플스테이를 지도하고 있는 승한 스님이 쓴 책이 나왔다. 기존 여행서들과 달리 이 책은 승한 스님과 함께 떠나는 감성 치유 산사기행이라 할 만큼 수많은 치유법을 두루 아우른 책이다.

목차

1. 숨은바위-서울 도봉산 선인봉 석굴암
2. 아궁이 살인사건-부안 내변산 월명암
3. 맑고 향기로운 변소-봉화 문수산 축서사 북암
4. 3일간의 사랑-동두천 소요산 자재암
5. 대승으로 우는 종소리-문경 사불산 대승사
6. 육두문자 법문-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7. 붉은 생명의 절벽-여수 돌산도 향일암
8. 땅 끝에서 만난 하늘 끝-해남 달마산 도솔암
9. 메토이소노를 찾아서-인제 설악산 봉정암
10. 내 마음의 연금술사여, 지리산 뻐꾹새여-산청 지리산 법계사
11. 동백나무 할아버지, 배롱나무 할머니-영광 일명산 연흥사
12. 거기, 우리가 있다-원주 치악산 구룡사
13. 돋을새김과 얕은새김-서울 북한산 삼천사
14. 문신-경주 남산 칠불암
15. 행복한 눈물-창녕 화왕산 관룡사
16. 거울에 나를 비춘다-보은 속리산 복천암
17. 노독(路毒)의 꽃-함평 모악산 용천사
18. 깃발 속으로-제주 한라산 관음사
19. 긴 허공 붉은 안개-태백시 태백산 망경사
20. 내 삶의 이어도-서귀포 마라도 기원정사
21. ‘버림’과 ‘비움’의 문양-영덕 운서산 장육사
22. 곱게 늙은 천 년-구미 태조산 도리사
23. 일천 강에 비친 달-문경 희양산 봉암사
24. 뜻이 높아 왔느냐? 티끌 같아 왔느냐?-순천 조계산 송광사

저자소개

승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승한 스님의 속명은 이진영(李珍英), 법호 효흠(曉欽). 198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2007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었다. 시집으로 『수렵도』 『퍽 환한 하늘』 『아무도 너의 깊이를 모른다』 『그리운 173』 『응시와 가장 가까운 곳』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나를 치유하는 산사기행』 『좋아좋아』 등이 있다. 한국불교태고종 기관지 「한국불교신문」 주간을 역임했다. 2023년 제15회 불교문예작품상을 받았다.
펼치기
하지권 (사진)    정보 더보기
사진작가인 하지권은 대학 졸업 후 월간 『샘이깊은물』 사진 기자로 일했다. 2000년 해인사 팔만대장경 사진 DB 작업을 시작으로, 일본 교토 남선사와 오타니대학의 초조대장경 사진 복원에 참여하는 등 ‘한국불교의 시각화 작업’이라는 주제의식을 가지고 15년 동안 불교 사진을 찍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통산사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사진 작업도 진행 중이다. 사진 작업을 한 책으로는 『서울 북촌에서』, 『선재 스님의 이야기로 버무린 사찰음식』, 『산사의 아름다운 밥상』, 『에피소드 인도』, 『Korean Buddhism』, 『6 Ways to the Heart』, 『Grateful Offerings - Korean Mountain Temple Cooking』 등이 있다. Ha Jikwon has been a professional photographer specializing in Buddhism since 2000. He focuses on the “visualization of Korean Buddhism.” His photos regularly appear in the monthly Buddhist magazine, Bulgwang. He is working with the project for the designation of traditional Korean temples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His photos illustrate the following publications: From Bukchon, Seoul, Seonjae Sunim’s Stories about Temple Food, Mindful Offerings: Korean Mountain Temple Cuisine, Episode India, Korean Buddhism, and 6 Ways to the Heart.
펼치기

책속에서











어려서부터 나는 왠지 절집이 좋았다.
포근했다.
마치 어머니의 품속 같았다.
그래서 자주 갔다.
절집에 가면 나를 만날 수 있어 더욱 좋았다.
잃어버린 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만날 수 있어 더더욱 좋았다.
절집은 나의 전생이고, 금생이고, 내생이었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던 나의 절집들.
그 절집들은
내가, 지금,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가르쳐 주었고,
앞으로도, 어떻게, 살아가야 할 것인가를 가르쳐 주었다.

절집은 또한 내 마음의 초콜릿이었다.
배고프고,
우울하고,
화나고,
외로울 때마다 맛있게 먹었던 내 마음의 붓다 초콜릿들.
그 초콜릿들 속에서 나는 나의 전생을 보기도 했고,
금생과 내생을 보기도 했다.

절집을 순례하는 동안, 나는 내 인생을 다시 배웠다.
힘들고 고됐지만, 나는 기꺼이 내 인생수업을 다시 했다.
절집에 갈 때는 노트와 연필이 필요 없었다.
지우개도 필요 없었다.
부처님 말씀은 받아 적지 않아도 내 마음노트에 자연히 기록되었고,
지우고 다시 써야 할 해답과 정답도 없었다.
모든 것이 해답이고, 정답이었다.

‘문종성번뇌단(聞鐘聲煩惱斷).’
목탁소리와 죽비소리는 내 영혼을 깨우는 소나타였고, 새벽을 여는 법고소리와 범종소리는 내 번뇌와 망상을 단박에 끊어주는 칼이었다.
나는 그것들을 내 마음노트에 기록하며 잠이 들었고, 돌아와서는 그 노트를 한 장 한 장 펼쳐보며 내 삶의 재고품들을 정리했다.
그리하여 절집여행은 내 삶의 많은 부분을 바꿔 놓았다.
몸과 마음을 바꾸어 놓았고,
목적과 가치를 바꾸어 놓았고,
살아가야 할 이유와 방법도 바꾸어놓았다.

절집순례를 마친 지금, 나는 또다시 새로운 순례를 떠나려 한다.
다시 시작하는 절집순례는 좀 더 오랫동안 계속될지도 모르고,
내 인생이 끝날 때까지 영원히 지속될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수많은 나를 다시 만나고, 수많은 나를 다시 떠나보낼지도 모른다.
이 마음 여행기를 쓰기까지 많은 도움을 주신 스님들과 사부대중들께 감사드린다.
또한 많은 분들의 글과 기행문을 참조하고 인용했으나 여행기의 특성상 일일이 주를 달지 못했다. 그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여행기를 마무리하고 있는 지금도 내 마음 속에서는 죽비소리가 울리고, 목탁소리가 울리고, 법고소리와 범종소리가 우렁차게 울려 퍼지고 있다.

2011. 봄날
제령골 명지산에서
승한 쓰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4791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