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4797942
· 쪽수 : 888쪽
· 출판일 : 2020-04-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해제
1 근본법문(根本法門) 경 (1 Mūlapariyāya-sutta)
2 일체의 번뇌[漏] 경 (2 Sabbāsava-sutta)
3 원한다면 경 (6 Ākaṅkheyya-sutta)
4 옷의 비유 경 (7 Vatthūpama-sutta)
5 버리는 삶 경 (8 Sallekha-sutta)
6 정견(正見) 경 (9 Sammādiṭṭhi-sutta)
7 사자후(獅子吼) 작은 경 (11 Cūḷasīhanāda-sutta)
8 괴로움 덩어리[苦蘊] 큰 경 (13 Mahādukkhakkhandha-sutta)
9 괴로움 덩어리[苦蘊] 작은 경 (14 Cūḷadukkhakkhandha-sutta)
10 황무지 경 (16 Cetokhila-sutta)
11 꿀 덩어리 경 (18 Madhupiṇḑika-sutta)
12 사유의 바탕 경 (20 Vitakkasanthāna-sutta)
13 톱의 비유 경 (21 Kakacūpama-sutta)
14 독사의 비유 경 (22 Alagaddūpama-sutta)
15 거룩한 소원(所願) 경 (26 Ariyapariyesanā-sutta)
16 코끼리 발자국의 비유 큰 경 (28 Mahāhatthipadopama-sutta)
17 고씽가에서 설하신 작은 경 (31 Cūḷagosiṅga-sutta)
18 소 치는 사람의 비유 큰 경 (33 Mahāgopālaka-sutta)
19 쌋짜까에게 설하신 작은 경 (35 Cūḷasaccaka-sutta)
20 쌋짜까에게 설하신 큰 경 (36 Mahāsaccaka-sutta)
21 갈애[愛]의 소멸 큰 경 (38 Mahātaṇhāsaṅkhaya-sutta)
22 앗싸뿌라에서 설하신 큰 경 (39 Mahā-assapura-sutta)
23 앗싸뿌라에서 설하신 작은 경 (40 Cūḷa-assapura-sutta)
24 쌀라 사람들에게 설하신 경 (41 Sāleyyaka-sutta)
25 교리문답 큰 경 (43 Mahāvedalla-sutta)
26 교리문답 작은 경 (44 Cūḷavedalla-sutta)
27 과보(果報)를 받는 법(法) 큰 경 (46 Mahādhammasamādāna-sutta)
28 꼬쌈비에서 설하신 경 (48 Kosambiya-sutta)
29 지와까에게 설하신 경 (55 Jīvaka-sutta)
30 우빨리에게 설하신 경 (56 Upāli-sutta)
31 많은 느낌 경 (59 Bahuvedaniya-sutta)
32 라훌라에게 설하신 큰 경 (62 Mahā-Rāhulovāda-sutta)
33 말룽꺄에게 설하신 작은 경 (63 Cūḷa-Māluṅkya-sutta)
34 말룽꺄에게 설하신 큰 경 (64 Mahā-Māluṅkya-sutta)
35 나라까빠나에서 설하신 경 (68 Naḷakapāna-sutta)
36 끼따기리에서 설하신 경 (70 Kīṭāgiri-sutta)
37 악기왓차곳따에게 설하신 경 (72 Aggivacchagotta-sutta)
38 디가나카에게 설하신 경 (74 Dīghanakha-sutta)
39 마간디야에게 설하신 경 (75 Māgandiya-sutta)
40 싸꿀우다인에게 설하신 큰 경 (77 Mahāsakuludāyi-sutta)
41 싸마나만디까에게 설하신 경 (78 Samaṇamaṇḑikā-sutta)
42 웨카낫싸에게 설하신 경 (80 Vekhanassa-sutta)
43 랏타빨라에게 설하신 경 (82 Raṭṭhapāla-sutta)
44 마두라에서 설하신 경 (84 Madhurā-sutta)
45 보디 왕자에게 설하신 경 (85 Bodhirājakumāra-sutta)
46 앙굴리말라에게 설하신 경 (86 Aṅgulimāla-sutta)
47 가르침의 탑(塔) 경 (89 Dhammacetiya-sutta)
48 짱끼에게 설하신 경 (95 Caṅkī-sutta)
49 데와다하에서 설하신 경 (101 Devadaha-sutta)
50 부동(不動)의 경지에 유익한 경 (106 Āṇañjasappāya-sutta)
51 가나까 목갈라나에게 설하신 경 (107 Gaṇākamoggallāna-sutta)
52 고빠까 목갈라나에게 설하신 경 (108 Gopakamoggallāna-sutta)
53 보름날에 설하신 큰 경 (109 Mahāpuṇṇama-sutta)
54 차제(次第) 경 (111 Anupada-sutta)
55 여섯 가지 검증(檢證) 경 (112 Chabbisodhana-sutta)
56 많은 계(界) 경 (115 Bahudhātuka-sutta)
57 40개의 큰 법문 경 (117 Mahācattārīsaka-sutta)
58 들숨날숨[出入息] 주의집중 경 (118 Ānāpānasati-sutta)
59 몸[身] 주의집중 경 (119 Kāyagatā-sutta)
60 공성(空性)을 설하신 작은 경 (121 Cūḷasuññata-sutta)
61 행복에 전념하는 사람 경 (131 Bhaddekaratta-sutta)
62 업(業)을 분별하신 작은 경 (135 Cūḷakammavibhaṅga-sutta)
63 개요(槪要)를 분별하신 경 (138 Uddesavibhaṅga-sutta)
64 무쟁(無諍)을 분별하신 경 (139 Araṇavibhaṅga-sutta)
65 계(界)를 분별하신 경 (140 Dhātuvibhaṅga-sutta)
66 찬나에게 설하신 경 (144 Channovāda-sutta)
67 뿐나에게 설하신 경 (145 Puṇṇovāda-sutta)
68 육육(六六) 경 (148 Chachaka-sutta)
69 6입처(六入處)에 속하는 큰 경 (149 Mahāsaḷāyatanika-sutta)
70 지각수행(知覺修行) 경 (152 Indriyabhāvā-sutta)
저자소개
책속에서
152개의 경을 50개씩 셋으로 나누어 ‘근본’, ‘중간’, ‘최종’이라는 제목의 3편으로 편성하고, 남은 2개의 경은 제3편에 넣어서 제3편은 52개의 경을 수록하게 된 것이다. 각 편은 5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장은 10개의 경을 담고 있으며, 제3편 마지막 장은 12개의 경으로 되어있다.
이 책 『정선 맛지마 니까야』는 이 가운데 70개의 경을 가려 뽑았으며, 편과 장의 구분 없이 순서대로 배열하고, 각 경의 서두에 ‘해제’를 붙여서 이해에 도움을 주었다. 선정된 경은 중복되는 내용을 생략하여 번역하였으며, 이전의 경에 나오는 동일한 내용은 간략하게 줄이고, 각주를 통해 그 경을 참고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분량을 줄였지만 내용은 빠짐이 없게 하였다.
불교에서 수행이란 있는 그대로 아는 것이다. 8정도는 있는 그대로 보며 살아가는 것이고, 이러한 삶 속에서 수행이 완성된다는 것이 「6입처(六入處)에 속하는 큰 경」의 요지이다.
첫 번째 경인 「근본법문(根本法門) 경」에서 모든 가르침의 근본이라고 선언한 ‘abhijānāti’는 이렇게 「6입처(六入處)에 속하는 큰 경」에서 전모(全貌)가 드러나며, 마지막 경인 「지각수행(知覺修行) 경」에서 6근(六根)을 수호(守護)하는 지각수행(知覺修行)으로 귀결된다. 이와 같이 불교의 모든 수행은 ‘abhijānāti’의 과정이며, 『맛지마 니까야』는 이러한 수행의 과정을 체계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근본법문(Mūlapariyāya)이라는 이름의 이 경을 『맛지마 니까야』의 편집자가 첫 경으로 선정한 것은 『맛지마 니까야』의 편집 의도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부처님께서는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쳤는가? 『맛지마 니까야』의 편집자는 이 경을 서두에 배치함으로써 이 물음
에 대한 답을 이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