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74833275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07-11-15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서문
1. 제도적 배경
수도원과 대학
르네상스 궁정
과학아카데미
아카데미 주변의 여성들
파리의 살롱
여성들의 아카데미
2. 귀족들의 모임
수학에 몰린 호기심
과학계의 귀부인들
자연철학자 마거릿 캐번디시
캐번디시는 페미니스트?
물리학자 에밀리 뒤 샤틀레
3. 수공업 전통의 여성 과학자들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과 곤충 사업
독일의 여성 천문학자들
베를린 과학아카데미의 마리아 빙켈만
아카데미 천문학자가 되기 위한 노력
길드 전통과 전문과학의 충돌
아카데미로의 짧은 귀환
보이지 않는 조력자들
4. 여성의 전통
산파술
인류의 건강과 기쁨을 위한 식이요법
정당화된 여성 배척
5. 과학 표현을 둘러싼 논쟁
과학은 언제 여성이 되었을까
알레고리 읽기
남성적 알레고리
여성 도상은 실재한 여성을 나타냈을까
여성 도상의 쇠락
문체들의 충돌
공격 받는 살롱: 남성적 문체?
6. 우주론의 충돌: 자연 질서에서 찾는 성과 젠더
고대 우주론: 여성은 불완전한 남성이다
르네상스와 근대 초의 페미니즘
데카르트와 로크, 무시가 상책?
폴랭과 익명의 영국 여성
근대 해부학과 성차의 문제
7. 피부 한 꺼풀 차이? 성차를 과학으로 탐구하다
여성 골격의 등장
만들어진 이상: ‘호모 퍼펙투스’와 ‘페미나 퍼펙타’
남자, 만물의 척도
성과 인종의 유사성
8. 상보성 이론의 승리
가정으로 돌아가라
상보성 이론의 의학적 근거
상보성 이론의 정치적 토대
균형을 잃은 의학적 근거
남성성, 사회적 가치의 척도
여성, 과학에서 추방되다
대중과학의 등장과 비르투오사의 쇠락
식물학은 여성적인 학문인가
9. 차단된 공직의 길
‘성차별주의’ 해부학자 마리 티로 다르콩빌
독일 최초의 여성 내과의사 도로테아 에르크스레벤
독일 최초의 여성 박사 도로테아 슐뢰처
가족의 조수: 캐롤라인 허셜
10. 여성 배척과 지식 체계
과학은 가치중립인가?
특권을 가진 목소리, 과학
규범을 마련하며: 칸트의 예
차이를 과학으로 보장한다는 것
주
참고문헌
색인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아카데미는 여성을 과학의 중심 무대에서 멀어지게 만들었지만, 과학활동 자체를 멈추게 하지는 못했다. 이제부터 살펴보겠지만, 17세기와 18세기에는 실험과학뿐만 아니라 박물학이나 자연철학을 연구하는 여성이 많았다. 비록 수는 적지만 이 여성들은 과학에 진정한 공헌을 했다.-p57 중에서
여성에게 식물학을 권한 가장 큰 이유는, 여성들이 아무리 열정을 가져도 비전문가 수준을 넘어설 무언가가 없는 학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루소는 들레세르에게 식물학 공부는 적당히 열중하라고 충고했다. "친애하는 친구여, 식물학에 마땅한 수준보다 더 많은 의미를 두지는 마십시오."-p326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