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74839420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8-06-25
책 소개
목차
총서를 펴내며
머리말
1 의무교육 시대의 겉과 속
1 교육, 권리이자 의무가 되다
의무교육의 시행|부족한 교실, 요정을 학교로
2 ‘민주’교육이냐, ‘민족’교육이냐
민주주의 교육론과 미국식 자유민주주의|민족주의 교육론과 전체주의
3 새 시대의 학생상과 교과서
공민과 공민의 윤리|기억의 공장 기억의 터, 교과서
4 국민국가, 학교 그리고 가족
학교와 가족제도의 공모: 입학의 필수 조건, 호적부|학교에 가지 못한 아이들: 고아, 사생아, 혼혈아
2 정치의 파고, 학교를 휘감다
1 해방의 에너지, 교실 분위기를 바꾸다
한글을 국어로|귀환 학생, 월남 학생|데모와 맹휴의 일상화: 교실에 살포된 삐라
2 전쟁의 광기와 소용돌이 속에서
출정하는 학도병, 환송하는 여학생|비바람 부는 피난학교|‘인민학생’에서 ‘국민학생’으로, 수복 지구 학생
3 분단 사회와 학교 규율
학도호국단과 데모 권하는 학교|식민교육의 잔재, 검열의 일상화|신체 규율과 위생 규율: 표준화된 신체, 세균 없는 몸|여학생 규율, ‘한국적 현모양처’가 돼라
3 일상의 중심, 공부와 노동과 취미
1 ‘일류’를 향한 욕망과 입시총력전
일류대 합격을 위한 총력전|‘치맛바람’은 억울하다, 사친회와 자모회
2 학생의 또 다른 본분, 노동
김매랴, 살림하랴|학생과 노동자 사이, 고학생
3 문화적 해방구를 찾아라
또래문화: 단짝 친구, S자매, 연애당|삼류 극장과 빵집 그리고 풍기 단속의 무풍지대|은밀한 저항, 은어|소년원에 간 학생
4 놀이와 교양의 중간 지대, 취미
교양 잡지, 에로 잡지, 만화|저속 취향, 고급 취미|학생의 공론장, 교지와 문학의 밤
4 혁명보다 먼저 일어서다
1 4월혁명에 앞장선 학생들
교실에서 거리로|‘소수자’의 투쟁: 여학생, 야간 학생, 중퇴생|시위문화와 혁명의 언어들
2 혁명 이후의 혁명 열기
혁명 ‘영웅’과 위문의 문화정치학|비리 교장 퇴진하라, 학내 민주화운동
3 10대의 정치와 일상, 10대의 혁명과 감성
일상을 포획한 정치, 정치를 횡단한 일상|혁명을 촉발한 감성, 감성을 내장한 혁명
맺음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945년 8월 15일 식민권력이 무너지고 해방이 되자 신사회 건설에 대한 희망과 기대가 넘쳤다.
이런 감정은 '학생 의거'를 촉발했고, 학생은 동일한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저항의 공동체'가 됐다. 감정의 수행성(performativity)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 때문이다.